View : 1121 Download: 0

조선후기 산형(山形)백자 연구

Title
조선후기 산형(山形)백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s
권현미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study about the reason why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s had been develop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analyzing the social factors such as the change of Bun-won(分院) and the cultural factors such as the prevalence of the Wa-yoo(臥遊) trend.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 other mountain-shaped works such as San-dae(山臺) and Goe-suk(怪石) on the white porcelains was analyzed on this study. Also,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硯滴), brush washer(筆洗), incense burner(香爐) and brush stand(筆架) were classified b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decoration techniques. The background of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s’production consists of the three parts. The first one is the change of Bun-w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artisans of Bun-won had financial difficulties because they did not get payed properly from the government and Won-yeok(員役) and Byeon-soo(邊首) who were managing the porcelain workshops have created conflict for their own financial interest. So, artisans of Bun-won started to make and sell porcelains to general people not for the government, and the phenomenon was so severe that the government had to acknowledge the situation and finally permitted it. After the privatization of Bun-won, consumers of white porcelains were extended from royal family members and officials to noblemen, scholars, even the ordinary people. The second part is the prevalence of Wa-yoo tre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lots of scholars were fond of sightseeing to the mountains, especially Gum-gang mountain. They also wanted to appreciate the mountains and rivers in their own house, so Wa-yoo trend was all the vogue at that time. They adorned their rooms with a variety of objects that resembled the nature and had a tendency to collect those ornament. The tendency was called ‘Byeok(癖)’. The third factor was the visual culture. The perspective on the material had been changed gradually in the 16th century and the new visual culture emerged in 17th century. The white porcelai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flected the philosophy and the tendency of scholars who thought that the material was as important as the spirit and followed the new visual culture. Next, the influence of the other mountain-shaped works on the white porcelains was analyzed. The representatives among those works were San-dae and Goe-suk. San-dae was a mountain-shaped decorative symbol used in the special royal occasion which was originated from Sin-la’s banquet, Palgwanhoe(八關會). There were two sorts of San-dae, Chimhyang-san(沈香山) and Young-ji(影池); The first one was used when there was a royal progress. And the second one was used for an ornament as a background of the court dancing banquet. There is so much similarity between San-dae’s Jap-sang(雜像) and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s’ decorative appendages in terms of the implication and symbolism. Goe-suk was an oddly shaped stone in the aristocratic garden. A number of noble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nted to adorn their garden by imitating mountains and rivers. Goe-suk was used for a stony mountain centered in the garden or the pond. However, the real Goe-suk is not left at all in South Korea. So, it was helpful to compare the Chinese garden model’s feature and the reference of literature. The shape of Goe-suk could be estimated from the description of several literature writt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sultingly, the rocky shape and the characteristic motif of Goe-suk influenced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s in many ways.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s are characterized by the complex decorative techniques such as the relievo, intaglio, openwork and the coloration techniques such as cyanide, copper, iron underglaze. Though the white porcelains that reflected the philosophy and tendency of the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ve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object, there have been only few studies about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s because of the lack of existing relics and literature record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general aspects of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s including its production, the usage, and the background were closely examined the concept and the formative originality of relic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the total 108 pieces of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brush washer, incense burner and brush stand b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decoration techniques.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is a representative work because the largest number of relics among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s remained up to date. They were classified into the type Ⅰ, Ⅱ, Ⅲ by the characteristic features and the existence of the decoration on the base. Type Ⅰ is a bell-shaped water dropper which has various decorations on the base. Type Ⅱ is also a bell-shaped water dropper, but it does not have the decoration on the base. Type Ⅲ is a rocky mountain-shaped water dropper.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 brush washer is similar with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in terms of the decoration techniques. It is presumed that they were located in a set on the desk in the scholar’s room. In this study, they were classified into the type Ⅰ and Ⅱ b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Type Ⅰ is a circular shaped brush washer and type Ⅱ was a semicircular shaped brush washer. Type Ⅰ brush washer was subclassified by the existence of a decorative mountain peak on the center of the bowl. And type Ⅱ brush washer was subclassified by the existence of a jar at the side of the bowl.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is a kind of the incense burner and divided to two part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n this study, two pieces of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and two pieces of the lid of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were analyzed in the aspect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decoration techniques.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 brush stand usually has 3, 5, and 7 peaks and if there are holes it them, they put brushes in those holes, and if there are no holes, they lean brushes on brush st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the type Ⅰ, Ⅱ, Ⅲ and the others b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Type Ⅰ is a brush stand which had 5 holes in every peaks and type Ⅱ has just 3 holes among 5 peaks. And type Ⅲ brush stand has no hole in the peaks, so peaks are very sharp on top.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s have great significance in the following three features. First, their production and development had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change of Bun-won, the sightseeing trend to Gum-gang mountain, the prevalence of Wa-yoo trend and visual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condly, they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an-dae and Goe-suk which were used in the royal banquet. Thirdly, it is a noteworthy fact that artisans used splendid decoration techniques and various coloration method in them.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s could be regarded as a luxurious ornament for noblemen and scholars, so they reflected the thought and the tendency of consum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 of identifying the background of various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s’production and the similarity between the other mountain-shaped works and white porcelains. The main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he profound analysis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decoration techniques of the mountain-shaped white porcelains and the first attempt to classify them based on those features.;본 논문은 조선후기 산형백자를 分院의 변동과 같은 사회적 원인과 臥遊 문화의 유행과 같은 문화적인 요인에 따라 형성된 시각문화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발전과 전개과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궁중 연향 속 장식품인 山臺와 사대부 정원 문화의 주된 요소인 怪石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산형물이 산형백자에 끼친 영향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 산형백자 중 문방용품으로 애호되었던 연적, 필세 등에 대해서도 그 기형과 장식기법에 따른 분류와 의미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산형백자가 조선후기에 유행하게 된 배경에 대해 문헌과 회화 자료 등을 통해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로 분원의 변동을 들 수 있다. 조선후기 분원에서는 진상 자기에 대한 대금을 지불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분원의 장인들이 생활고를 겪고 있었으며, 員役과 邊首들은 서로 자신들의 사사로운 이익을 취하고자 하여 갈등을 빚고 있었다. 분원 장인들의 사번이 횡행하였고 급기야는 분원이 민영화되기에 이르렀으니 분원 백자의 소비는 왕실을 넘어서 사대부, 중인을 비롯하여 서민에게까지 확대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새로운 소비층의 필요와 취향이 반영된 여러 새로운 자기가 제작되게 되었다. 둘째로 조선후기에 사회적으로는 양반의 수가 늘어나고, 선비들 사이에서는 유람 풍조가 성행하여 금강산 유람이 유행하면서 산형 기물로 사랑방을 치장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염원을 와유로 치환하고자 하였다. 한편 癖이 유행하여, 이러한 완상품에 대한 수집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사회·경제적인 영향으로 말미암아 조선후기에는 16세기부터 시작된 觀物論이 17세기 이후 변화하면서 물질 자체를 중시하는 시각문화가 발달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제작과 유통이 증가하게 된 산형백자에는 이를 향유하는 계층의 사상과 경향이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선후기 산형백자에 영향을 준 산형물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궁중 연향 속 장식품이었던 山臺와 사대부들의 정원에 놓였던 怪石이 대표적이었다. 산대는 중국 고대의 기록과 신라 팔관회의 기록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는 산형물로서 조선후기 궁중에서는 왕과 왕비의 이동시 사용된 沈香山과 궁중춤을 연행할 때 사용된 影池가 있다. 특히 산대의 잡상과 조선후기 산형백자에 장식된 첩화 요소 사이에는 상징성의 측면에서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괴석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는데 실제 대다수를 차지하였던 형태인 疊石 방식의 괴석이 대부분 소실되어 현재 거의 전해지지 않아 이를 묘사한 조선의 문헌과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었던 당시 중국 정원의 예를 통해서 그 형태를 추측해 보았다. 특히 중국 陝西省 西安市에서 출토된 명기 중 건물 모형에 포함된 괴석은 각종 문헌에 등장하는 조선후기의 괴석과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어 당시 괴석의 형태를 추측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또 이를 통해 조선후기 다양한 산형물들과 산형백자의 기형을 비교하였을 때 많은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假山으로서의 산대와 괴석의 형태는 당시 臥遊를 위해서 선비들이 가까이 두고 사용하기 위해 제작했던 산형백자의 형태에 자연스럽게 많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후기는 새로운 조형들이 등장하는 시기로 분원리에서 많은 산형백자가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양각, 음각, 첩화, 투각 등이 결합된 복합적인 장식기법과 청화, 동화, 철화 안료를 혼용하여 채료하는 화려한 채색기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토대로 분석한 산형백자는 당시 수요층의 성향을 반영하듯 정형화되지 않은 다채롭고 자유로운 조형이 두드러진다. 그동안 산형백자는 절대 편년 자료와 유적 출토 예가 적어 기형의 변화 양상과 양식 변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필자가 파악한 총 108점의 산형백자연적, 산형백자필세, 산형백자향로 및 산형백자필가의 기형 및 장식기법에 따른 분류를 시도하였다. 산형백자연적은 현존하는 산형백자 유물 중에서 수량이 가장 많은 산형백자의 대표적인 기물이다. 본 논문에서는 총 45점의 산형백자연적을 기형을 중심으로 장식요소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형태상 鐘形이면서 저부장식이 있는 Ⅰ유형과 종형이면서 저부장식이 없는 Ⅱ유형, 그리고 巖峰形의 Ⅲ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산형백자필세는 전반적인 장식기법에 있어서 산형백자연적의 표현 양식과 유사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완상적 성향이 강한 기물로서, 산형백자연적과 짝을 이루어 사랑방 내의 書案이나 사방탁자를 장식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산형백자필세 총 21점을 분류하고 양식을 분석하였다. 산형백자필세는 크게 鉢形의 Ⅰ유형으로, 半圓形인 Ⅱ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필자가 분석한 21점 중 17점(80.9%)은 제작 당시에 필세의 내저면 중심부에 산봉우리를 함께 성형한 경우 Ⅰ-A형으로, 내저면에 산봉우리가 부착되지 않는 경우 Ⅰ-B형으로 분류 가능하였다. 필세 측면에 소형의 壺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Ⅱ-A형으로, 壺가 없는 경우 Ⅱ-B형으로 분류하였다. 산형백자향로는 조선시대 선비들이 방에서 글을 읽거나 인격수양을 위해 향을 피우는 경우 사용하였는데, 향로만의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전세품 산형백자향로 2점과 출토된 산형백자향로 뚜껑편 2점을 기형과 장식기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산형백자필가는 보통 3개, 5개, 또는 7개의 봉우리에 구멍이 뚫려 있어 붓을 꽂거나 기대어 둘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특히 필자가 파악한 필가 40점 중 30점(75%)이 5개의 구멍을 가진 필가, 즉 五峰形의 필가였으며, 표면에는 기물에 따라 장식을 위한 여러 가지 문양이 표현되었다. 필자는 이렇듯 현전하는 산형백자필가 중 五峰形 필가를 중심으로 五峰이 모두 뚫려 있는 경우 Ⅰ유형, 五峰 중 三峰만 뚫려 있는 경우 Ⅱ유형, 五峰 중 하나도 뚫려 있지 않은 尖峰形의 경우 Ⅲ유형으로 분류하고, 그 외의 특징적인 형태의 필가는 기타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산형백자가 어떤 배경을 통해 유행하게 되었는지 확인하고, 그 기형과 장식기법이 이전의 가산으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 고찰하였다. 또 새로운 분류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산형백자의 다양한 면모를 확인하였으며, 문인의 취향을 반영함과 동시에 갖가지 조각 기법으로 효과를 배가하고 다양한 채료를 병용함으로써 장식의 절정에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조선후기 산형백자의 성격과 의의에 대해 정리하면, 첫째, 조선후기 분원의 변동과 금강산 유람, 와유문화의 유행, 도시의 시각문화의 성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둘째, 기형과 세부 묘사에서는 궁중 연향에 사용된 산대와 정원에 배치되었던 괴석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셋째, 조선후기 산형백자는 그 자체적으로 우수한 미적 가치를 지닌 예술작품으로서, 당시 수요자들의 생각과 기호를 반영하였으며, 복합적인 장식기법과 화려한 채색기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논문은 조선후기 산형백자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의 영향을 분석하고, 산형백자의 형태에 영향을 끼친 조선후기 산형물에 대해 규명하였으며, 이전의 연구에서 시행되지 않았던 조선후기 산형백자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를 시도한 것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