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덕현-
dc.contributor.author조연주-
dc.creator조연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3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9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32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본인이 창작한 작품들의 미학적 특징을 분석하고 여타 작가들의 그것과 차별화될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인은 ‘풍경’이라는 거대한 주제를 회화 매체를 통해 탐구해왔다. 풍경은 좁은 의미에서 자연 풍경을 의미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포괄한다. 특히 오늘날에는 인간이 주변 환경과 맺는 관계가 복잡해지면서 풍경을 그린 그림들 역시 그만큼 다양해지고 세부적인 갈래로 나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풍경화를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탐구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이상적인 세계를 표현하는 전통적인 동아시아 산수화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인은 단지 산수화의 필획, 색감, 여백 등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조형성뿐만 아니라 산수화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와 문화적 맥락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종병(宗炳)의 와유(臥遊) 개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문에서는 와유 개념으로 인하여 발생하게 된 산수화의 모사, 차용의 제작 방법에 대해 논한다. 한편 두 번째 방법론은 현실적인 세계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풍경화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본인은 기하학적 원근법으로부터 비롯된 서양 풍경화의 사실주의적 속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사진이 등장한 이후의 서양 풍경화와 풍경 사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문에서는 이렇게 풍경화와 풍경사진을 모두 살펴보면서 풍경화에서 사진으로 이어지는 사실성과, 그것이 구체적으로 작품에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두 가지 탐구에 대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는 본인의 작품들을 살펴본다. 각각의 작품들은 서로 상이한 제작 동기를 가지고 있고, 실제로 매우 다른 방식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작품의 조형성과 작품의 맥락 또한 대조적이다. 그러나 최근의 작업에 이르러 서로 다른 방법론과 결과물들이 뒤섞이고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본인의 작업은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본인은 이러한 작품 제작의 흐름을 정-반-합에 이르는 변증법적 논리로 풀어보고자 한다. 풍경화는 과거와 현재를 통틀어 보편적인 주제였던 만큼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풍경화가 고유의 존재 가치를 인정받는 까닭은 좁은 의미의 자연풍경(landscape)이든, 넓은 의미에서 인간을 둘러싼 풍경 전반(scenery)이든, 인간은 늘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 없고 주변의 풍경, 즉 환경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는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시대와 개인에 따라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다. 풍경을 그린 회화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가치가 있는 것은 동일한 주제 안에서 계속적인 변주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인은 본인의 작품이 그러한 ‘관계’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과 표현으로써 새로운 ‘변주’로 이해될 수 있기를 바란다.;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y art works and to determine their aesthetic distinctions. The author has studied landscape through painting media. Although landscape means natural scenery in a narrow sense, it also includes the meaning of environments that surround human beings in a broader sense. Especially, as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has become complicated, landscape painting also has been diversified and divided into lots of small genres. For this reason, the author conducted research on landscape painting in the following two different ways. The first method is studying the traditional Oriental landscape painting, ‘Sansuhwa’, which represents the ideal nature. The author did not only explore the visual aspects of Oriental landscape painting but also explored its inherent meanings and cultural contexts. Moreover, the author tried to explain those aspects while mainly focusing on the concept of ‘dream journey(臥遊)’ which was created by Bing Zong(宗炳). In this connection, chapter Ⅱ covers the practice of mimesis and appropriation in Sansuhwa, the distinctive producing methods which were contributed by dream journey.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ethod is studying the Western landscape painting which depicts and documents the realistic view. The author explored the Western landscape painting’s realistic aspects originated from the geometrical theory of perspective. The author also researched the changes of landscape after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By explaining the attributes of the Western landscape painting and photography, chapter Ⅲ covers the common attribute as a documentary, which is discovered in both media. Lastly, chapter Ⅳ covers my art works as a result of the two explorations. Each of the works divided into two parts has different main motive, and their semantic and formative aspects are contrast to each other. However, the author’s current works move in a new direction while the two different works were combined by mutually interacting and influencing each other. In chapter Ⅳ, the author accounts for this flow in the work production by applying Dialectical logic, presented in a threefold manner-thesis, antithesis, synthesis. As a universal subject ranging over the past and present, landscape painting has existed in different types of form. The reason why landscape painting is valued all time is that human beings cannot exist solely but exist in a relationship with landscape, the natural world surrounding humans. Because this relationship is not immutable,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For this reason, lots of variations were available in the same theme, and landscape painting can keep it’s own values even in the present.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and the art works can be interpreted as a new and independent variation about such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landscap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산수, 영원한 꿈 5 A. 이상세계를 표현하는 산수화 5 B. 산수화의 모사와 차용 15 Ⅲ. 풍경, 순간의 실재 23 A. 현실세계를 관찰하는 풍경화 23 B. 풍경을 기록하는 사진 26 Ⅳ. 산수와 풍경34 A. 두 갈래의 세계 34 B. 낯선 세계들의 조우 51 Ⅴ. 결론 66 참고문헌 68 Abstract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7122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낯선 세계들의 조우(遭遇)-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range encounter of sansuwha and landscape-
dc.format.pagevi,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