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경원-
dc.contributor.author이경아-
dc.creator이경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3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3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듀이의 ‘하나의 경험’을 근거로 하여 도덕과 수행평가의 준거를 탐색하는 것이다. 도덕과 평가의 본질은 학생의 도덕성 발달과 인격함양에 도움이 되는 평가이다. 때문에 도덕과 평가는 학업성취도 및 도덕적 판단 능력과 실천 의지를 판정하는 자료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도덕과 학습 진전 상황을 기록하여 궁극적으로는 학생의 도덕성 발달과 인격함양을 촉진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이러한 도덕과 평가의 본질을 가장 잘 실현할 수 있는 평가로 수행평가가 도입되었지만, 수행평가가 시행된 지 17년이 지난 지금도 뚜렷한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도덕과에서의 수행평가는 학생이 자신의 도덕적 지식이나 기능 및 가치․태도를 나타내는 과정이나 결과를 교사가 보고 전문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상 한 명의 교사가 많은 학생들을 혼자서 평가해야 하기에 때문에 수행평가는 교사에게 어려운 일일 수밖에 없다. 학생들과 학부모는 수행평가를 위한 과제를 부담스럽게 여겼고, 교사의 수행평가 전문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가에서는 국가교육과정상의 목표와 내용을 분석하여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능력 혹은 특성의 형태로 진술해 놓은 ‘성취기준’을 제시하게 된다. ‘성취기준’은 학습된 결과에 대한 평가 기준이기에 ‘성취기준’만으로 도덕과 평가가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과 인격함양을 촉진하는데 도움을 주기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연구자는 도덕성이 형성되는 과정에 따른 평가기준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 동안 제시되어왔던 도덕과 평가의 준거들은 대체로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차원으로 구분되어 제시되어 왔다. 통합된 도덕성은 이러한 요소들을 각각 평가한 후 총합하여 평가되어 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요소들이 상호 작용하여 발달되어지는 정도를 평가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평가 준거는 교수-학습방법과 관련되어 지는데, 최근 프로젝트학습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프로젝트 학습은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자신들의 학습하는 방법을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으로, 학생들 스스로가 문제를 찾아내어 해결방안을 모색한 후 조사 및 탐구를 통하여 결과를 확인하고, 그것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학습되어지는 것이다. 이것은 듀이의 ‘하나의 경험’의 과정과 흡사하다. 우리의 ‘경험’은 환경(자연적, 사회문화적)과 상호 작용하여 이루어졌기 때문에 행동적, 지적, 정서적, 사회적, 문화적, 도덕적 측면의 다양한 요소들이 통합되어 우리의 행동적, 정서적, 지적 성향이 되는 습관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습관의 체제들은 우리의 인격, 즉 도덕성이 된다. ‘하나의 경험’은 불안정함, 의심스러움, 불확실함이 직접적으로 느껴지는 문제 상황에서 시작하여 탐구를 통해 문제를 순조롭게 해결하여 완결된 경험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내내 우리는 원하는 결과를 떠올리며 그 결과를 이루기 위해 탐구하기에 여기에는 탐구를 이끄는 통제 원리가 되는 특질인 ‘통일성’이 있게 된다. 완결되어 완성된 경험에는 우리의 필요와 관심이 해소되어 만족감과 성취감이 있으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가 더해져 경험주체와 대상이 모두 성장하게 된다. 연구자는 ‘하나의 경험’의 구조에 근거하여 수행활동을 시작-전개-완결로 구분하여 그에 따른 평가준거를 탐색해보았다. 수행활동의 시작단계는 문제 상황을 감지하고 문제해결의 필요와 관심을 인식하는 단계로, 도덕적 문제 상황의 감지력과 도덕적 호기심을 평가준거로 제시하였다. 수행활동의 전개단계는 탐구의 단계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상상을 통해 가설을 정립하게 된다. 관찰에서 가설로, 가설에서 관찰로의 연속적인 흐름 속에서 검증되지 않은 가설들은 버려지게 되고, 확증된 가설은 수용되어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가 창조되고, 이 의미는 다음 활동에서 또 다른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기 위해 사용되어 진다. 이 단계에서 제시된 평가준거는 도덕적 관찰력, 도덕적 상상력, 도덕적 조작력,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해석력이다. 수행활동의 완결의 단계는 활동의 전개단계에서 발견한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구체적 문제 상황에 적용하여 그 의미와 가치를 실감하는 단계이다. 제시된 준거는 활동의 완결성과 통일성이다. 이 단계에서 느끼는 만족감과 성취감, 그리고 새로운 의미와 가치가 학생들의 인격에 녹아들어 학생들은 도덕적으로 성장하게 되고, 문제 상황도 질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도덕과 프로젝트 수업과 수행활동이 연구자가 제안한 수행평가 준거에 주목하여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의 도덕성의 발달이 가능할 것이며, 수행평가의 자료들을 축적하게 된다면 학생들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게 되며, 도덕과 교육도 개선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standard of ethics and performance assesment based on Dewey's theory on experience. The essence of ethics and assesment is conducive appraisal to students' development of morality and character building. Owing to such traits, ethics and assesment should not only carry its meaning as an academic material that determines academic achievement and moral judgment capability and practice will, but also support students' morality development and character building in the end by keeping track of moral and academic progress. In this sense, performance achievement was adopted as the ultimate assesment tool that is able tor realize the essence of ethics and evaluation, however, performance assesment has not shown any distinct achievement since it was adopted for the past 17 years. In moral studies, performance assesment is professionally evaluated by an instructor observing students' progress or outcome of showing their moral knowledge, capability, value and attitude. Considering the reality of Korean education, performance assesment must be demanding task for an instructor since he/she has to evaluate many students on their own. Students and parents found assignments for performance assesment burdensome, and therefore raised question on instructors' professionalism on performance assesment. To cope with this problem, the country offered 'standard of accomplishment', which stated capabilities or traits that students should accomplish based on analysis of goals and contents of national education process. Since the 'standard of accomplishment' is an academic standard on learning outcome, it would be difficult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morality and character if evaluation of moral studies is only performed based upon 'standard of accomplishment'. Consequently, I found this issue needs a valuation basis in the process of morality establishment. Standards of moral studies suggested until this day have been mostly distinguished in terms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scale. Integrated morality should evaluate the extent of how each factors interact and develop, rather than evaluating such factors respectively and combine them into total. A valuation basis for this is linked with teaching-learning method and project learning is receiving attention these days. Project learning is a curriculum which students voluntarily find their learning method. The study is carried through the process of students finding problems on their own, searching for resolutions, investigating and exploring, identifying outcome, and sharing it. This is similar to process of Dewey's 'An experience'. 'An experience' refers to a completed experience with perfect resolution to a problem that started out from unstability, doubts, and uncertainty but resolved through exploration. Such completed 'An experience' contains satisfaction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since the subject of the experience solves his or her need and interests. While expecting desirable outcome, a sense of 'unity' is added, which is a control principle that drives exploration to realize expected outcome. To completed experience, a new meaning and value is added so that the subject and agent of experience both grow. I explored valuation basis by distinguishing performing activity into three parts, 'Beginning-Development-Completion', based upon the structure of 'An experience'. The beginning stage of performing activity based on 'An experience' detects problem and feel the need for resolution. This stage suggests sensitivity and ethical curiosity of moral issues as a valuation basis. The beginning stage is an exploration stage, which establishes hypothesis through imagination and observe with objectivity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the continuous flow of observation to hypothesis, hypothesis to observation, unverified hypotheses are abandoned and certified hypothesis is accepted and used as a resolution. In this course, the new meaning is created and this meaning is used to create another meaning in the next activity. Valuation basis provided in this stage are moral power of observation, moral imagination, moral manipulation, moral judgment, and moral interpretation. The completion stage of performing activity is a stage which realizes its meaning and value by applying new meanings and values detected in the previous stage and applying to a problem situation. Suggested basis are completion and unity. A sense of satisfaction, accomplishment and new meaning and its value blends into students personality and they grow up morally and also the problem situation changes in qualitative manner. If an education of moral project studies and performance activity is done focusing on valuation basis suggested by a researcher, it will be able to develop students' morality. Also, it'll be better to understand students as well as improve moral studies education if materials of performance assesment are accumula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Ⅱ. 선행연구 분석 7 A. 도덕과 수행평가 준거에 관한 선행연구 7 B. 하나의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 13 Ⅲ. 듀이 '하나의 경험'의 구조와 특성 19 A. '하나의 경험'의 의미 19 1. 서양철학사 속에서의 '경험' 19 2. '상호작용'으로서의 '경험' 21 3. '하나의 경험'의 의미와 특성 25 B. '하나의 경험'의 구조 29 1. 문제 상황이 감지되는 일차적 경험 31 2. 탐구를 통해 의미를 찾아가는 이차적 경험 33 3. 통일되어 완성되는 '하나의 경험' 38 Ⅳ. 듀이 하나의 경험에 근거한 도덕과 수행평가 준거 탐색 41 A. 활동의 시작단계에서의 수행평가 준거 41 B. 활동의 전개단계에서의 수행평가 준거 43 C. 활동의 완결단계에서의 수행평가 준거 49 Ⅴ. 결론 및 논의 53 참고문헌 56 ABSTRACT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80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듀이 ‘하나의 경험’에 근거한 도덕과 수행평가 준거 탐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earching for valuation basis in performance assesment at moral studies, based on Dewey's 'An experience'-
dc.format.pagevi, 61 p.-
dc.contributor.examiner조경원-
dc.contributor.examiner이지애-
dc.contributor.examiner김미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