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3 Download: 0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학교적응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학교적응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on Schoo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Authors
장혜원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정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가가 중학생들의 학교적응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들의 학교적응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서울에 소재한 5개의 중학교를 선정하여 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답변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65부를 제외한 435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적응과 자기효능감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정도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은 단체종목, 여학생은 개인종목에 참여한 경험이 많았으며, 참여기간은 성별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참여빈도와 참여시간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빈도가 높고, 참여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참여종목은 1학년은 단체종목, 대인종목, 개인종목 순으로 참여율이 높았고, 2학년과 3학년은 단체종목, 개인종목, 대인종목 순으로 참여율이 높았다. 참여기간은 학년이 높을수록 길었으며, 참여빈도는 1학년에 비해 2학년과 3학년이 높았으며, 참여시간은 1학년에 비해 2학년과 3학년이 길었다. 조사대상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참여정도는 참여여부와 참여횟수는 성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참여기간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길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참여정도는 학년이 높을수록 참여여부, 참여기간, 참여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적응과 자기효능감 수준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학교적응과 자기효능감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학교적응과 자기효능감 수준은 참여기간은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빈도와 참여시간에 따른 학교적응은 하위 영역인 학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주 4회, 주 2회 및 주 1회 참여하며, 2시간 미만 참여하는 학생들의 학업 수준이 가장 높았다. 학업을 제외한 나머지 학교적응 하위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경우 참여기간, 참여빈도 및 참여시간의 모든 자기효능감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참여정도에 따른 학교적응과 자기효능감 수준은 참여여부, 참여기간 및 참여횟수에 따른 학교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참여정도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학교스포츠클럽 리그에 참여한 학생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참여기간과 참여횟수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학교적응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는 학교적응과 자기효능감은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이 학교적응도 원만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장려하고, 중학생들이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질 높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다.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학업 수준을 높이려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주 4회, 2시간 미만으로 운영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학교스포츠클럽 리그에 참여하는 것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발달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학교적응의 학업을 제외한 다른 하위 영역인 심리적 안정성, 사회관계 영역, 학교생활및 자기효능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중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도움을 주고 자기효능감을 개발 하기 위해 보다 질 높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개발과 실천이 필요하며, 좀 더 내실 있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운영이 요구된다.;The study had an objectiv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To achieve the goal, surveys were conducted in five middle schools in Seoul and total 435 results were used as analysis data. Independent samples T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Duncan’s post-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rried out by using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he overall result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ir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the level of scholwork, one of the subdivis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was found to be higher for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four times a week, and less than 2 hours a day. The level of self-efficacy shown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icipation level.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leagues,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but the level of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higher for students wh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leagues. But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number of participation and the period of participation. Thir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subdivis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schoo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had statistical correlations. With the above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club, and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 on schoolwork. But it was found that, generally,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This implies that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go against the purpose of its implementation. Therefore, it is critical to develop and conduct school sports club programs with better quality, and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are expected to be stably opera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