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동호-
dc.contributor.author남달리-
dc.creator남달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7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777-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북한의 대외수입과 북한 당국의 정책적 결정 사이의 연관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 수입 품목의 구조 변화를 연구 사례로 선택했다. 그리고 이를 북한 경제정책의 기조 변화와 연계해 시기별 특징을 구분함으로써 북한의 경제정책과 북한 수입 품목의 연관성 분석을 시도했다. 1990년대 초 사회주의권 붕괴 이후 북한의 경제는 심각한 위기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북한 당국은 사회주의 경제건설의 기본 노선을 유지하면서도, 이전보다 개혁·개방적인 정책들을 시도하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뿐만 아니라 제한된 자원과 재원을 특정 산업 부문에 집중 투자, 발전시키는 전략을 선택했다. 본 연구에서는 1994년부터 2014년까지를 연구대상 기간으로 한정하고, 북한 경제정책의 기조 변화를 중심으로 ‘제1시기(1994~1997년) 고난의 행군 극복 시기’, ‘제2시기(1998~2005년) 사회주의 강성대국 제시기’, ‘제3시기(2006~2009년) 경제정책 보수화기’, ‘제4시기(2010~2014년) 인민생활 향상 강조기’로 구분하였다. 북한의 수입 품목 분석은 UN Comtrade Database에서 제공하는 무역 통계를 활용했다. 이를 바탕으로 1994년부터 2014년 사이 북한의 수입 거울통계를 집계하고, HS 1992년 6단위 기준 총 4,833개의 수입 품목을 분석했다. 먼저, 북한 경제정책과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를 산업별로 분류하고, 수입 품목의 산업별 구조 변화와 주요 수입품의 수입량 변화를 분석했다. 그리고 각 시기별 수입 품목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의 수입 품목은 북한의 경제정책과 연관성을 보인다. 제1시기 북한 당국은 식량 문제 해결을 위해 농업 부문에 정책적 주안점을 두었다. 수입 또한 농업 관련 부문이 급증하는 모양새를 보였다. 제2시기와 제3시기 북한 당국은 ‘강성대국건설’을 경제 목표로 제시하고, 국방공업과 중공업 부문의 우선 발전을 강조했다. 특히, 대내외적 불안이 심화한 제3시기 경제정책 기조는 더욱 보수화된다. 수입 또한 중화학공업 부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제2시기 북한은 중화학공업제품의 수입을 크게 늘리며 강성대국의 기틀을 구축했다. 이러한 증가세를 바탕으로 제3시기 북한의 수입 중 중화학공업품이 약 65%를 차지했다. 이를 통해 제2시기와 제3시기 북한의 수입에서 중화학공업 부문이 차지하는 중요도가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제4시기 북한 당국은 ‘인민생활 향상’을 강조하며 경공업 부문의 발전을 정책적으로 우선시한다. 북한의 수입 품목 구조 또한 경공업제품의 수입 증가를 바탕으로, 1996년 이후 계속 유지되어온 ‘중화학공업제품 - 1차 산품 - 경공업제품’ 순서의 수입 구조가 ‘중화학공업제품 – 경공업제품 - 1차 산품’의 순서로 변했다. 북한은 경제 규모가 크지 않아 대외무역을 통해 수입되는 물자가 북한의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그런 의미에서 북한의 수입 품목 연구는 북한의 경제를 이해하는 하나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더하여 북한의 수입 품목이 북한의 경제정책과 연관성을 가지므로, 향후 북한의 수입 품목에 관한 면밀한 분석이 추가로 이루어진다면 북한 경제정책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북한의 경제 변화를 예측하는 자료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foreign importation of North Korea and the policy determination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al changes of North Korea’s importation item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case. Then, the 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economic policies and importation items of North Korea was conducted by associating them with the changes of North Korea’s economic policies and classifying their periodical characteristics. After the collapse of Socialist Bloc in the early 1990s, the North Korea economy was suffered from severe crisis. While maintaining the basic principles of the Socialist economic construction,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ttempted to overcome the circumstances by trying more renovated and liberal economic policies compared to the past. Moreover, the government selected the strategies to selectively invest and develop limited resources and properties in specific industry sectors. The years from 1994 to 2014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target period of this study and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stages based on the changes of North Korea's economic policies: ‘the first period (1994~1997) of March of Ordeal overcome’, ‘the second period (1998~2005) of the Socialist Strong and Prosperous State(Kangsong-Taeguk) suggestion’, ‘the third period (2006~2009) of economic policy conservatism’, ‘the fourth period (2010~2014) of people’s living improvement emphasis’. For the analysis of North Korea’s importation items, the trade statistics provided from UN Comtrade Database was utilized. Based on the data, the mirror statistics of North Korea from 1994 to 2014 was collected, and total 4,833 importation items were analyzed by the 6-unit standard of HS 1992. First, to understand the relation with North Korea economic policies, they were classified per industry sectors, and the changes of major importation items and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importation items per industries were analyzed. The features of the importation items per each period were explored as well. According to the analysis findings, there was relevance between the importation items of North Korea and its economic policies. In the first period, the North Korean government put policy emphasis on the agricultural sector to solve the food problems. In terms of the importation, it was found that the items related to the agricultural sectors rapidly increased. In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Strong and Prosperous State(Kangsong-Taeguk)’ as its economic objective and highlighted the prior development of the national defense industry and heavy industry. In particular, the principle of the economic policies of the third period in which the internal and external instability was intensified became highly conservative. In these periods, the importation was mainly centered on the heavy chemistry industry as well. In the second period, North Korea prepared the foundation of Strong and Prosperous State as rapidly increasing the importation items of the heavy chemistry industry. Based on such rising trend, the items of the heavy chemistry industry occupied approximately 65% among the North Korea importation of the third period. Accordingly, it was assum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heavy chemistry industry sector increased in the North Korea importation of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In the fourth period, the North Korean government stressed ‘the enhancement of people’s living’ and prioritized the development of the light industry sector in policies. Its importation item structure was also transformed as follows based on the importation rise of the light industry items: from the order of ‘heavy chemistry industry items – commodities products – light industry items’ to ‘heavy chemistry industry items – light industry items - commodities products. Since North Korea does not have large economic scale, the properties from foreign importation considerably have high influences on real economy in North Korea. In this sense, the study on the importation item of North Korea can be utilized as a material to understand North Korea economy. Moreover, since the importation items of North Korea are related to the economic policies of North Korea, it is expected that additional analysis on the importation items of North Korea in details can contribute to verifying the credibility of the economic policies of North Korea and predicting its economic shif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3 C.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6 1. 연구대상 6 2. 연구방법 7 II. 북한 무역 통계 11 A. 북한 무역 통계의 종류 11 B. 북한 무역 통계의 신뢰성 16 C. 무역 통계의 분류 기준 18 III. 북한의 경제정책과 시기별 변화 25 A. 북한 경제정책의 기본 노선 25 1. 자립적 민족경제 건설 노선 25 2. 중공업 우선 발전 노선 27 3. 군사경제 병진 노선 29 B. 1990년대 이후 시기별 경제정책의 기조 변화 31 1. 제1시기(1994~1997년) 고난의 행군 극복 시기 32 2. 제2시기(1998~2005년) 사회주의 강성대국 제시기 34 3. 제3시기(2006~2009년) 경제정책 보수화기 37 4. 제4시기(2010~2014년) 인민생활 향상 강조기 40 IV. 북한의 대외수입 구조와 품목 분석 43 A. 북한의 대외무역 현황 43 1. 대외무역 추이 43 2. 수출입 추이 47 B. 북한 대외수입 품목의 구조 분석 51 1. 1차 산품 52 2. 경공업제품 55 3. 중화학공업제품 58 C. 북한 대외수입 품목의 수입량 분석 62 1. 1차 산품 64 2. 경공업제품 69 3. 중화학공업제품 74 V. 북한 대외수입 품목의 시기별 특성 81 A. 제1시기(1994~1997년) 먹는 문제의 우선적 해결 81 B. 제2시기(1998~2005년) 강성대국의 기틀 구축 85 C. 제3시기(2006~2009년) 중화학공업품 집중 수입 89 D. 제4시기(2010~2014년) 전통적 수입 구조의 변화 91 VI. 결론 96 참 고 문 헌 100 ABSTRACT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343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1994~2014년 북한의 경제정책과 수입 품목의 연관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economic policies and the importation of North Korea from 1994 to 2014-
dc.creator.othernameNam, Dal Ri-
dc.format.pageviii,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