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영찬-
dc.contributor.author김규희-
dc.creator김규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2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25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의 ‘동학 농민 운동’에 반영된 민주적 가치를 분석하고 ‘동학 농민 운동’의 ‘민주적 가치’ 수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절차는 문헌연구방법의 대표적 유형인 내용분석방법을 따랐다. 분석준거를 설정하는 과정은 3단계로 나뉜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선행연구자들이 제시한 민주적 가치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민주적 가치는 의미가 비슷한 것끼리 범주화하였다. 이 과정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평정을 1회 실시하였다. 평정결과인 예비 민주적 가치를 준거로 하여 현직교사 15명에게 델파이 설문을 1회 실시하였다. 델파이 결과를 토대로 최종 민주적 가치를 도출하였다. 선정된 민주적 가치를 분석준거로 하여 『한국사』교과서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단원의 ‘동학 농민 운동’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단위는 내용분석의 질적 측면을 고려하여 맥락단위로 기준을 삼았다. 수업 설계의 중점사항은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동학 농민 운동의 민주적 가치를 체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두었다. 또한 교수방법도 민주시민교육의 취지에 맞게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쌍방향 소통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를 통해 『한국사』교과서‘동학 농민 운동’서술부분에는 정의, 인권, 애국심(충성), 자유, 평등, 준법, 참여, 책임(약속이행) 순으로 민주적 내용 요소가 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민주적 가치’ 수업 방안으로 ‘Why-Pie를 맞춰라’와 ‘핵심문장 릴레이’수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다음과 같은 차별성을 갖는다. 첫째, 민주시민교육 내용으로써 ‘민주적 가치’를 구체화하고 가치 준거를 객관적 과정을 통해 도출하였다. 둘째, 『한국사』교과서 ‘동학 농민 운동’내용을‘민주적 가치’ 준거로 분석하였다. 셋째, 『한국사』교과서 ‘동학 농민 운동’의 ‘민주적 가치’수업 방안을 개발하여 역사교과의 민주적 가치 수업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The present study aims to analyze the “democratic values” reflected in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of the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and present a teaching method for the “democratic values”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In terms of analysis procedure, we followe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 representative type of literature research method.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analysis criteria is divided into three steps. First, we extracted the democratic values presented by precedent researcher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extracted democratic valu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meanings. We conducted an expert evaluation with six professionals to increase the objectivity of this process. We carried out a Delphi survey with 15 in-service teachers by setting the preliminary democratic values, which were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s indicators. Based on the Delphi survey results, we drew the final democratic values. We conducte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in “Chapter IV. Change of International Order and Mov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State”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by setting the selected democratic values as the analysis criteria. We established the context units as the analysis unit by considering the qualitative aspects of the content analysis. The main focu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was to make students naturally learn the democratic values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through classes. In addition, the teaching methods consisted of interactive techniqu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to meet the objective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Through our research, we determined that the descriptive passages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contained democratic content elements in the order of justice, human rights, patriotism, freedom, equality, compliance, participation, and responsibility (fulfillment of promises). Moreover, we developed a “Why-Pie” worksheet and a “Key Sentence Relay” class as part of the teaching method for “democratic valu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differences from previous research. First, we specified “democratic values” as the content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drew the value criteria through the objective process. Second, we analyzed the content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based on “democratic values.” Third, w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classes on democratic values in the history subject by developing the teaching method for the “democratic values”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내용 및 방법 2 Ⅱ. 민주시민교육과 역사교육 4 A. 민주시민과 민주시민교육 4 1. 민주시민의 개념 4 2. 민주시민교육의 개념 6 3. 민주시민교육과 민주적 가치 7 B. 민주적 가치와 역사교육 11 1. 민주적 가치교육과 역사교육 11 2. 민주적 가치와 동학 농민 운동 16 Ⅲ. 민주적 가치에 관한 내용분석 19 A.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19 B. 분석대상 및 분석범위 21 C. 분석준거 24 D. 분석단위 34 E. 분석결과 35 Ⅳ.동학 농민 운동의 민주적 가치 수업 방안 39 A. 수업설계 39 B. 교수학습지도안 44 C. 수업자료 47 Ⅴ. 결론 및 논의 55 참고문헌 59 부록 62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248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한국사』교과서 ‘동학 농민 운동’의 민주적 가치 내용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the “Demoratic Values” in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in the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dc.format.pagev,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