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11 Download: 0

중한 문학 번역의 다시쓰기에 대한 연구

Title
중한 문학 번역의 다시쓰기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Rewriting in Korean Translations of Chinese Literature : Focusing on the case study
Authors
신다영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통역번역대학원 통역번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혜림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의 시사주간지 『아주주간(亞洲週刊)』이 1999년 선정한 ‘20세기 중국어 소설 100강’에 오른 작품 중 2000년대 이후 (2001년 ~ 2014년 8월 현재) 한국에서 번역 출판된 작품을 André Lefevere의 다시쓰기(Rewriting) 이론에 입각해 분석, 기술한 기술번역학적 연구(descriptive translation study)이다. Lefevere(1992c: 9)는 번역이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다시쓰기(the most obviously recognizable type of rewriting)” 이며 “가장 영향력이 큰(the most influential)” 형태의 다시쓰기라고 주장하면서 시스템적 관점에서 출발어 문학이 도착어 문학 번역 시스템 내부의 전문가(ex. 번역자)와 시스템 외부의 후원자(ex. 출판사)에 의해 도착어 문화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와 시학에 따라 다시쓰기된다고 말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시쓰기 이론에 입각하여 ‘20세기 중국어 소설 100강’작품 중 2000년대 들어 한국의 문학 번역 시스템에 의해 선택되어 번역∙출판된 작품들이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 그리고 그 중 28개 작품을 대상으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여 번역 텍스트의 다시쓰기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기술하였다. 우선, ‘20세기 중국어 소설 100강’작품 중 2000년대 들어 한국의 문학 번역 시스템에 의해 선택되어 번역∙출판된 작품들이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2000년대에 번역된 47개 작품의 출판(초판)연도, 시대적 배경, 주제, 장르, 저자의 출신 지역, 성별 등을 분석했으며, 그 결과 작품의 시대적 배경, 주제, 장르 등이 매우 다양하며 여성 작가 작품의 비중과 대만∙홍콩 등 화인(華人) 문학의 비중이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텍스트 분석은 2000년대에 번역된 47개 작품 중 28개 작품을 선정하여 3단계에 걸친 사례 분석을 실시했다. 1단계는 예비 데이터 분석 단계로, 작품의 제목, 메타텍스트, 일반 전략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작품 제목의 번역에서 매우 다양한 번역 전략을 확인할 수 있었고, 메타텍스트에서도 다양한 다시쓰기 전략에 대한 언급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충실성’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독성 등을 위해 다시쓰기가 불가피했다는 번역 전략에 대한 언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 전략의 경우, 일부 텍스트를 제외한 대부분의 번역 텍스트가 원 텍스트를 완역하였는데, 부분 번역된 텍스트는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원 텍스트와는 작품의 이미지 자체가 상당히 달라지는 다시쓰기가 이루어졌다. 2단계는 거시적 분석 단계로, 텍스트의 구획 및 각 장의 제목, 서술, 대화 구조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일부 작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번역 텍스트가 원 텍스트의 텍스트 구획과 장 제목을 따르고 있었으나, 서술과 대화 구조에서는 비교적 큰 폭의 다시쓰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서술의 경우, 디테일한 서술의 축약, 대화 전후의 짧은 서술 생략, 해석 강화 등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고 대화 구조에서는 원 텍스트에 없는 경어 체계의 도입을 통해 한국 문화 특유의 위계적 인간 관계로의 다시쓰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3단계는 미시적 분석 단계로, 어휘, 문법 패턴, 수사 기법, 양상, 화행 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인명∙지명∙상호명, 사물, 동식물, 관습, 문학 관련 요소, 역사, 예술, 제도, 종교, 성, 몸짓 언어, 비규범적 행위 등 담화 세계와 관련된 12개 요소와 비유, 관용적 표현, 의성어∙의태어, 활유, 반복, 이미지, 유표적 표현, 욕설, 인칭대명사, 문장 종결 유형, 양상, 화행 등 언어와 관련된 12개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고, 역주, 표현 대체, 표현 추가, 생략 등 번역자에 따라 매우 다양한 번역 전략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단계의 텍스트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중한 문학 번역 시스템의 다시쓰기는 인물간 관계가 원 텍스트에 비해 위계화되는 다시쓰기처럼 거의 모든 번역 텍스트에서 확인되는 다시쓰기가 있는가 하면, 개별 번역자와 번역 텍스트에 따라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다시쓰기도 있었다. 원 텍스트의 낯선, 새로운 요소를 수용하는 문제에 있어서도 역주나 표현의 추가를 통해 도착어 문화의 독자들에게 출발어 문화의 낯설고 새로운 요소를 적극적으로 소개한 다시쓰기가 있는가 하면, 표현의 대체를 통해 도착어 문화의 담화 세계와 언어로 다시쓰기하여 낯설고 새로운 요소를 제거한 다시쓰기도 있었다. Lefevere는 시스템적 관점에서 도착어 문화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와 시학에 의해 다시쓰기가 이루어진다고 간략히 언급했지만, 본 연구의 텍스트 분석 결과는 도착어 문화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와 시학 못지 않게 개별 번역자의 이데올로기와 시학 내지는 번역 전략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다시쓰기 양상을 유발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비교적 많은 수의 작품을 대상으로 특정 작품, 저자, 역자에 국한되지 않는 다시쓰기를 기술하고 다시쓰기 사례의 유형화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만, 유형화 시도는 본 연구의 의의임과 동시에 한계이기도 하다. 유형화를 하는 과정에서 한 개의 사례가 복수의 요소와 관련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이는 연구자의 유형화 체계가 아직 보완되어야 할 점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문화’자체가 본래 복합적인 현상이고 언어는 또 문화를 구성하는 일부이자 문화를 표현하는 수단이기에 각각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드러날 수 밖에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가 중한 문학 번역 시스템의 다시쓰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체계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This research is a descriptive translation study which aims to analyze and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nslations of Chinese novels, with reference to André Lefevere’s rewriting theory. Lefevere (1992c: 9) has defined translation is the most obviously recognizable and potentially the most influential type of rewriting. Having literary systems in mind, he described rewriting is bound to happen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of a literary work according to a certain ideology or poetics of a target language (TL) culture, under constraints of professionals inside the TL literary translation system (e.g. translators) and patronage outside of the system (e.g. publisher). Using this rewriting concept as the main theoretical framework, this research selected the Korean translations of “100 greatest Chinese novels in the 20th century” named by the Chinese newsmagazine Yazhou Zhoukan as target texts, and examined the backgrounds and relevant information of such texts and then conducted detailed text analysis. Of said target texts, forty seven translations published under selection by the Korean literary translation system after the 21st century (i.e. January 2001 from August 2014) were chosen for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the translations, and twenty eight translations were chosen for the text analysis. Detailed process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ublished translations under selection by the Korean literary translation system after the 21st century, forty seven translated text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publication year (based on the year of first edition), time setting, main theme, genre, region of birth and gender of the author, etc.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elected novels demonstrated a diverse span of time settings, main themes, and genres with high percentage of female and Chinese authors residing outside of Mainland China including Taiwanese and Hong Kongers.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actual forms of rewriting taken in the translated texts, text analysis of twenty eight translations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titles, meta-texts, and general strategies were analyzed as preliminary data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diverse translation strategies were used in the title translations. Various remarks about rewriting strategies were also found in the meta-text analysis. A remark worthy of note in the meta-texts is that the translator made “faithfulness” to the source text a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the translation, but had no choice but to rewrite the original for improving readability, etc. In terms of general strategies, most of the translated texts were the full representations of their originals, but the partially translated text was mostly rewritten with totally different images from the original in its contents. In the second stage, division of text, titles of chapters, narratives, and dialogue structures were examined as macro-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translations faithfully followed the division of text and titles of chapters of the originals; however, the narratives and dialogue structures often allowed tremendous forms of rewriting. In terms of the narratives, translators often abridge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originals, omitted short descriptions before or after dialogues, and added their own interpretations. Translators also added honorific expressions in the dialogues, which did not exist in the source texts, showing rewriting patterns that reflect the hierarchical human relationships unique to the Korean culture. In the third stage, selection of words, grammatical patterns, rhetorical techniques and realizations, modality and speech acts were investigated as micro-analysis. The analysis identified twelve components related to the universe of discourse which include the names of persons, places and shops, objects, animals and plants, customs, literature-related components, history, art, systems, religion, gender, body language, and unnormative behaviors; twelve components related to the language which include analogy, idiomatic expressions, onomatopoetic and mimetic words, personification, repetitions, images, marked expressions, swear words, personal pronouns, sentence final endings, modals, and speech acts; and diverse translation strategies unique to the individual translators which include the use of footnotes and replacement, addition, or deletion of expres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above three-staged text analyses,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The forms of rewriting taken in the Korean translations of Chinese literature can be divided into those which are identifiable in almost all translated texts (e.g. rewriting in a way that builds more hierarchical character relationships than the originals) and those identifiable on a case-by-case basis in the individual translators and translated texts. In terms of accepting new and unfamiliar components in the source texts, rewriting took ununified forms: while certain translations actively introduced new and unfamiliar components in the source language culture, other translations eliminated and replaced such unfamiliarities by means of rewriting in a form acceptable in the universe of discourse and language of the target language culture. Although Lefevere declared a rewriting of an original text is carried out by reflecting a certain ideology and a poetics in the target language culture, the findings of the text analysis in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 translation strategies held by individual translators, in addition to the ideology and poetics in the target language culture, would bring out very complicated and diverse forms of rewriting in the translation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descriptions of the rewriting found in relatively large number of Korean translations of Chinese literatures, not limited to specific works, authors or translators, and attempting to classify the forms of rewriting in detail. However, such attempt for the classification might serve as a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s well as significance. One case found in the course of classification often fell within multiple categories. This phenomenon might show the necessity of supplementatio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adopted in this study in further research, but demonstrate the complexities of “culture” itself and the integrated nature of a language as an element constituting a culture and as means of expressing the culture.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an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of rewriting that arises in the Chinese-Korean literary translation systems and be further systemized by more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통역번역대학원 > 통역번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