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19 Download: 0

문화재 분야 한영 번역용 온라인 전문용어사전 구축 방안 연구

Title
문화재 분야 한영 번역용 온라인 전문용어사전 구축 방안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Building an Online Terminology Dictionary : Focused on Korean-to-English specialized translation dictionary in the heritage field
Authors
박현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통역번역대학원 통역번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지선
Abstract
본 연구는 문화재 분야 한영 번역 시 번역사가 전문용어와 관련하여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번역 보조 도구로서의 온라인 문화재 한영 번역사전의 원형적 모델을 제시하고 그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번역사는 분야 비전문가인 동시에 TL(target language) 비모국어 화자이기도 하므로 SL(source language) 용어를 이해하는 단계는 물론 이를 TL로 표현하는 과정에서도 여러 가지 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전문용어사전의 부재에 따라 다른 사용자를 대상으로 편찬된 여러 종류의 사전을 함께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는다. 이는 사전편찬자들이 번역사만의 특수한 니즈(needs)가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지 못하며 이해한다 하더라도 규모가 제한적인 시장에 투자하기를 꺼리는(Law 2009, 54) 경향에서 일부 기인한다. 특히 고어 및 한자어로 점철되어 있으며 TL 문화권에 대응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많은 문화재 분야의 경우 초기 단계부터 번역 상황에서의 사용을 목적으로 편찬된 전문용어사전, 즉 ‘번역 사전’의 개발이 필요하다. 문화재 분야 번역이 국가 이미지 제고와 직결되며 점차 그 양과 범위가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한영문화재번역사전의 편찬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1) 문화재 분야 한영 번역 시 번역사가 참조 수 있는 이언어 전문용어사전 현황 고찰, 2) 번역 보조 도구로서 이들 전문용어사전의 활용성 검토 및 개선점 제시, 3) 선진 사례로서 참고할 수 있는 해외 번역 지향 전문용어사전의 특징 분석 및 시사점 도출, 4) 실질적인 사전 모델 및 구축 방안 제시라는 네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기존 사전의 분석을 위한 분석틀 구축을 위해 우선 번역학, 사전학, 전문용어학 분야에서 번역사가 번역 작업 시 필요로 하는 사전류의 내용 및 구조 등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구체적으로 어떠한 항목 혹은 접근법을 필요로 하는지를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번역 사전 모델 구축을 위한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다음으로 현재 국내 시장에 나와 있는 문화재 분야 한영 전문용어사전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들 사전의 번역 보조 도구로서의 활용성을 파악하기 위해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과 관련해서는 선행 연구에서 도출한 이론적 시사점을 토대로 큰 틀의 분석틀을 수립한 후, 이를 사전 편찬자 중심에서 사전 사용자 중심으로 인식을 전환한 사전학적 기능주의에 따라 문화재 분야 한영 전문용어사전에 맞게 수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분석틀은 크게 사전의 기능(텍스트의 번역)과 관련된 내용적 요소와 사전 참조 행위 등의 사용자 경험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로 구분하였다. 해외 사전 현황 분석은 해외 이언어 혹은 다언어 전문용어사전 중 번역 관련 기관이 그 편찬 혹은 제작 과정에 참여하였거나 번역사를 잠재적 사용자로 상정한 온라인 사전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은 통번역 관련 기관에서 구축한 전문용어사전 3종, 즉 유럽연합의 IATE, 스페인 그라나다대학교 통번역대학원의 EcoLexicon, 캐나다 번역국의 TERMIUM Plus®를 포함한다. 이들 3종의 사전 모두 문화재 분야에 특정한 전문용어사전은 아닌 관계로 한국 문화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일본 건축사 및 예술사 사전 JAANUS도 분석 대상에 추가하였다. 다음으로 앞의 세 가지 방법(선행 문헌 연구, 국내 및 해외 사전 현황 연구)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통합해 번역 효율을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문화재 분야 한영 전문용어사전의 원형적 모델(이하 『문화재한영번역사전』)을 제시하고, 실제 번역 프로젝트에서 활용된 자료를 이용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인 도쿠위키(DokuWiki)를 사용해 구체적인 모습까지 구현해 보았다. 기존 사전에서는 번역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필요한 하위 개념 혹은 고유명사가 표제어로 수록되어 있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제어 추출에 있어 상향식 및 하향식 방식을 접목하였다. 즉 전문가가 작성한 용어집 및 해당 분야의 기본 용어 목록을 바탕으로 표제어를 추출하는 한편으로 번역 텍스트에서 관련성 기준, 즉 번역 과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하위 및 구체적 개념까지 표제어로 수록함으로써 사전의 효용성을 높였다. 또한 기존 사전이 표준화 관련 사항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문화재한영번역사전』에서는 원칙적으로 순화 혹은 표준화된 용어를 표제어로 수록하고 고어, 비표준어 등은 이칭으로 처리하였다. 이 외에도 표준화 관련 지침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웹사이트를 하이퍼링크로 연결하는 한편 용어의 통일 등 표준화 관련 논의가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내용을 수록함으로써 표준화 관련 노력의 효과적 홍보 창구로서 기능하고자 하였다. 대역어와 그 유의어 간에 명확한 구분이 필요한 경우나, 문화정체성이나 지정학적 함의 등 이데올로기적 측면의 고려가 필요한 용어 등 번역 시 특별히 유의할 사항이 있을 경우 대역어 밑에 관련 내용을 ‘[Translation Note]’ 형식으로 삽입하였다. [Translation Note]를 효과적으로 작성하기 위해서는 번역이 이루어진 자료에 기반해 번역용 전문용어사전을 구축하는 상향식 접근법을 취할 필요가 있다. 실제 번역 과정에서 어떤 용어가 어떤 측면에서 문제가 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이에 기반해 차후 동일 문제에 직면하게 될 번역사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와 해결책을 제시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번역 작업 시 해당 사항을 철저히 문서화할 필요가 있다. 『문화재한영번역사전』은 또한 TL 비모국어 화자인 사전 사용자에게 불규칙 변화형, 성별 정보 등 TL 관련 문법 정보를 제시하고 ‘유용한 표현’ 항목을 통해 연어, LSP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시각 자료가 불충분하다는 점 또한 기존 사전의 단점으로 지적되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기관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해당 웹사이트로 하이퍼링크를 연결하였다. 유사 개념 간의 정확한 구분이 필요하거나 전체-부분 관계를 보다 명확히 시각화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XMind를 이용해 개념도를 작성해 제공하였다. 원형적 모델이기는 하나 실질적 모델을 전문 번역사이기도 한 연구자가 직접 구현해 봄으로써 이를 통해 대규모 사전 프로젝트에서 번역사가 내용적인 부분에서 뿐만 아니라 구축 및 운영 과정에 전반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번역 사전의 품질 제고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실질 수요자인 번역사의 역할 확대와 더불어 사전 내용의 정확성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해서는 협업적 접근 방식을 제안하였다. 분야 전문가이며 TL 비모국어 화자인 번역사가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거나 혼동할 수 있는 개념 및 언어적 측면에 대한 사항을 번역사 입장에서 원고를 작성하고 분야 전문가 및 TL 모국어 화자에게 검수 받는 방식을 절차화 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문화재한영번역사전』은 또한 도쿠위키를 활용함으로써 자료를 쉽게 수정 및 추가, 삭제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외에도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문화재 분야의 각종 표준화 관련 노력의 결과물을 반영해 이를 전파하는 창구로서 사전이 효과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문화재 분야 한영 번역용 전문용어사전, 즉 문화재 한영 번역사전의 실질적 구축을 위한 방안을 구축 주체, 절차, 원칙 측면에서 모색해 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번역이라는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사전의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만큼 사전 사용자인 번역사의 니즈를 가장 잘 파악하는 번역사들이 사전 편찬 및 운영 과정에서 적극적 역할을 하는 것을 바람직한 안으로 제시한다. 따라서 사전편찬자 혹은 전문용어학자라는 확장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적 인프라 양성 측면에서 번역사 교육과 관련한 방안도 살펴보았다. 문화재 분야 번역은 한국의 이미지를 해외에 제대로 전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그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품질 제고를 위한 여러 가지 방안 중 번역사가 작업 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고품질의 번역 사전을 구축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번역 사전 모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구축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번역 사전은 일종의 ‘원형(prototype)’ 사전으로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 및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다른 언어 쌍 및 분야에도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본적으로 온라인 사전으로 구축되므로 IT 분야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모바일 사전, 번역 메모리, 빌트인 사전 등으로도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또한 사전학적 기능주의에 기반해 구체적인 사전 평가틀을 제시하였다는 데에도 그 의의가 있다 할 수 있다. 이는 사전 비평뿐만 아니라 사전 구축에 있어서도 보다 객관적이고 일관된 접근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또한 문화재 분야 번역 시 다양한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특히 단순한 용어의 ‘치환’이 아니라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고려한 번역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측면을 반영한 대역어 및 용례 추출이 중요함을 보여줌으로써 실무 번역사의 인식을 환기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is study presents a prototype model for an online "translation dictionary" to help translators effectively solve various terminological problems that they face in translating texts in the heritage sector from Korean to English, and explores ways to build such a dictionary. As non-experts in the field and non-native speakers in the target language (TL), translators need a range of information, not only to understand terminologies in the source text (ST) but also to express the concepts in the TL. Due to a lack of terminology dictionaries that provide both the cognitive and communicative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way, translators are forced to consult various resources published or built for other user groups. This inconvenience is partly attributed to the fact that "lexicographers are still unfamiliar with the very sophisticated demands and specialized needs of the professional translator, whom they still tend to see as a kind of language learner, and publishers are reluctant to venture into what they see as a risky field with a limited market" (Law 2009, 54). As heritage texts are full of difficult terminologies (e.g. archaic or Chinese-character based words), and as many concepts related with traditional Korean culture have no corresponding concept in the target culture, there is need for a "translation dictionary" conceived specifically for use in Korean-to-English translation in the field. The need is urgent given that translation in the heritage field is closely associated with representing Korea and enhancing its mage around the world and demand for such transl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both in terms of amount and diversity. As such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i) the availability of bilingual terminology dictionaries in the heritage field; ii) the effectiveness of the dictionaries as a translation aid and suggestions to improve them; iii) the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oriented terminology dictionaries overseas to be emulated; and iv) a prototype model of a Korean-to-English translation dictionary for the heritage field and ways to build it. To set up a framework for analysis of existing dictionaries,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the fields of translation studies, lexicography and terminology, dealing with various aspects of dictionaries that are required in translation situations. The aim was to draw up theoretical suggestions for approaches and lexicographic data to build the envisaged translation dictionary. Nex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existing bilingual (Korean to English) terminology dictionaries in the heritage field to assess their effectiveness as a translation aid. Based on theoretical suggestions from the literature review, a general analytical framework was set up and the details were revised to fit the heritage dictionaries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theory of lexicography, wherein the emphasis is shifted from the publisher to the user. The framework largely consists of content elements needed to serve the intended function of the dictionaries (i.e. translation), and "user interface" elements associated with user experience. As for the terminological dictionaries overseas,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a focus on those built online by translation-related institutes or organizations, or those intended to be used by translators: IATE, the EU's multilingual term base; EcoLexicon, the terminological knowledge base on the environment by the University of Granada, Spain; and TERMIUM Plus® by Canada's Translation Bureau. JAANUS, or the online dictionary of Japanese architectural and art historical terminology, was also reviewed due to its particular relevance to Korean heritage. Based on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analysis of terminology dictionaries at home and abroad, a prototype model was suggested for a translation dictionary that can facilitate translation of heritage-related texts from Korean to English (hereinafter the "Dictionary"). Using materials from a translation project in the heritage field and DokuWiki, an open source software, the Dictionary was given a concrete form and visibility. One of the problems of existing terminology dictionaries was the poor coverage of specific concepts that actually appear in the source text to be translated, as opposed to general or broad concepts. To resolve this problem, both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were adopted to select the lemmas of the Dictionary. They include those selected based on glossaries compiled by experts in the heritage field and lists of essential terms, as well as specific terminologies selected in terms of relevance to translation. Given that some existing dictionaries do not reflect standardization efforts in the field, standardized or "purified" terminologies were, in principle, included in the Dictionary as lemmata. The Dictionary is also intended to serve as an effective channel to promote such invaluable efforts by providing links to websites dealing with related standardization guidelines and describing standardization issues for further discussion. Special notes were added in the form of "Translation Note" when caution is required in translation—for example, in the case of terminologies with ideological implications such as cultural identity and geopolitics, or those whose TL correspondence should be clearly differentiated from its synonyms. The bottom-up approach using translated materials is particularly useful for writing the translation notes. Based on concrete information as to which terminologies present what kinds of problems to translators, answers or at least hints to them can be given for handling the same problems. To better serve this purpose, there is need for thorough documentation of how the terminological problems were tackled in translation projects. Considering that its users are non-native TL speakers, the Dictionary also provides TL-related linguistic information such as irregular inflections, collocations and phraseology. A lack of illustrations was also pointed out as a shortcoming of the existing dictionaries. Given this, the Dictionary provides links to websites operated by the public sector where useful illustrations are available. When it was necessary to visualize relations among associated concepts such as part-to-whole relationships, mindmaps were created using the XMind software. By putting the Dictionary in concrete form—albeit a prototype model—this author, a professional translator herself, seeks to show that as active participants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dictionary projects, translators can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improving the quality. Besides the expanded involvement of translators, the intended users of the Dictionary, collaborative approaches are recommended to enhance its accuracy and credibility. Procedures need to be drawn up to enabl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ictionary by the writers-cum-translators to be checked by field experts and native TL speaker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complicated concepts and standardization issues. Last but not least, the study explores ways to build the envisaged translation dictionary for use in the heritage sector in terms of who should build and operate it, as well as which procedures and principles should be followed or applied. Given the Dictionary's intended use in translation situations, translators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its publication and operation as they best understand the needs of the users. Hence, this study also deals with translator training that will enable them to serve extended roles as lexicographers and terminologist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ranslation in the heritage field in representing Korea outside the country, systematic efforts have not been made to improve the translation quality. The availability of credible translation dictionaries would be one of the most efficient ways to directly improve quality. As suc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a concrete prototype model for the translation dictionary and ways to build it. It also can be adapted for various uses through further research in other language pairs and fields. Through collaboration with IT experts, the model can also be revised to develop mobile or built-in dictionaries and translation memory. This study includes a framework devised to evaluate dictionaries based on the lexicographic function theory, which should be a more objective and consistent approach to both dictionary criticism and dictionary making. Another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e presentation of concrete examples demonstrating the need to consider diverse aspects in translating materials in the heritage field. It is expected to raise the awareness of translators to the fact that heritage translation is a complicated process entailing careful consideration of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통역번역대학원 > 통역번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