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남시-
dc.contributor.author이수빈-
dc.creator이수빈-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1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2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242-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는 급속도로 발달한 디지털 기술사회로 학습자가 지식을 단순히 익히는 것보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사회에 빠르게 적응해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것을 요구한다. 교육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유동하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창의적으로 적응하며 사회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식인 교육에 힘을 쏟아야 하고, 사회 변동에 촉각을 세워야 한다. 이를 위해 학교에서는 사회와 유리된 교육이 아닌 사회적 쟁점들을 반영한 교육을 학습자에게 제공해야 하며, 학습자는 민주적인 시민의식을 체득하고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또한 고등학교 교육 목표에서 단순히 지식을 학습하기보다 자기주도적으로 평생학습을 실행하고, 생활에서도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기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문제해결력의 삶에 나타나는 비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성격과 일치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사회적 쟁점 중심의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포스터 디자인’을 주제로 선정하였고, 연구 수업 후 실효성 검증을 통해 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문제해결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문헌 및 선행 연구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쌓고 문제해결력과, 사회적 쟁점과의 관계를 밝혔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미술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하여 사회적 쟁점을 수업 주제로 삼을 수 있는 적절한 단원을 선정 후 수업을 설계하였다. 동일한 교육과정을 밟은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헤프너와 피터슨(Heppner & Peterson, 1982)가 고안한 문제해결력 인식 검사를 고등학생의 수준에 맞게 수정·번안한 조민진(2014)의 검사지로 사전 동질성 검증을 통해 두 학급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게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과 수업을 진행했고,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수업이 끝난 후 두 집단에게 사후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해 변화를 분석하였고, 문제해결력 검사 분석을 토대로 한 결과와 수업 결과물을 질적 분석해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과 수업의 영향을 검증하고 결론을 도출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은 고등학교 2학년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시켰다. 둘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은 학습자의 미술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를 높였으며, 다음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상승시켰다. 셋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학생들의 미술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은 학생들의 협동·상호 소통 능력을 높였다. 다섯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은 실기 결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위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시켰고,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통해 체계적으로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전인적인 학습을 촉진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2학년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어,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과 수업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As the fastest-growing digital technological society, the 21st century demands that learners solve a problem creatively by adapting the ever-changing society quickly rather than they widen their knowledge simply. Education is targeting people drifting in the changing society, so watches social change, and intellectual education adapting this creatively and changing the society positively should be tried. For this, school should give learners not education isolated from reality but education reflecting social issues. Through this, learners should learn democratic civic awareness and should promote problem solving skill. 2009 Revised Art Curriculum demands conducting lifelong study dominantly and raising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in life rather than learning simple knowledge in high school educational objective. This agrees with skill solving non-structured problem in problem-solving life, and critical and creative characteristic. Hereupon, this study develops art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social issues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Poster design for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is selected as class topic for this, and after study class, the researcher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lass on cultivation of problem solving skill of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through effectiveness verification. Procedure and method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piled through literature and advanced researches of social issu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sues and problem solving skill is reveal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and problem solving skill is defin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model.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class is designed after selecting proper unit that can make social issues as class subject by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in art class of high school. Targeting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taking same curriculum, two classes are selected through a preliminary homogeneity test with questionnaire of Cho Minjin(2014) modifying and translating problem solving skill recognition inspection devised by Heppner & Peterson(1982) based on levels of high school students, so art class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to an experimental group is conducted, and traditional class is applied to a control group. After the study class, change is analyzed by applying post problem solving skill test to both groups, and the effect of art class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is verified and the conclusion is drawn by quality analysis of result based on an analysis of problem solving skill test and class outp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rt class focusing on social issues improves problem solving skill of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Second, art class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increase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art class of learners, and increases confidence of next class. Third, art class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has a positive impact on acquiring and understanding knowledge of art. Fourth, art class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increases cooperation and mutual communication capacity of students. Fifth, art class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has a positive impact on a performance result. Based on above results, social issues-oriented art clas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improves problem solving skill of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motivation and scholastic achievement.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o verify that learners can promote holistic learning through process learning systematically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However, these results are only from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located in Goyang-si, Gyeonggi-do, so it is limit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research work. Therefore, a follow-up study needs to expand the scope of a study object. In addition, the researcher hopes that various studies and continuous effort of art class focusing social issues in educational practice will be conduc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4 A. 문제중심학습모형 4 1. 문제중심학습모형의 정의 4 2. 문제해결력과 문제중심학습모형의 관계 10 3. 문제중심학습모형과 사회적 쟁점 14 B. 고등학교 미술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모형 적용 18 1. 2009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미술교육 18 2. 고등학교 미술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모형의 적용의 의의 23 Ⅲ. 연구방법 25 A. 연구대상 및 절차 25 1. 연구대상 25 2. 연구절차 26 B. 연구도구 27 1. 수업도구 27 2. 측정도구 5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60 A. 연구결과 60 B. 연구논의 75 Ⅴ. 결론 및 제언 77 참고문헌 80 부록 83 ABSTRACT 1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020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문제중심학습모형을 활용한 사회적 쟁점 중심 미술수업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in High school art class focusing on social issues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 Focused on the 2th Graders in High School-
dc.format.pagevi, 142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