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은경-
dc.contributor.author이기윤-
dc.creator이기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8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827-
dc.description.abstractIn order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culture of society,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interpret it. Art, a visual medium consisting of the basis of the culture becomes more important as visual culture in modern society develops rapidly. Especially, Art Appreciation education presents a direction by rendering learners to have an appreciative eye so forth one can understand and decide. Also, for learner’s receiving modern culture and information in an independent way, it is essential to have an active art education in the field. In a 2009 revision of Art Education curriculum, the section of appreciation is stated and highlighted as one of its aims. When applying Feldman’s Art Criticism Model to appreciation class, it becomes available to get out of the traditional teaching, which is oftentimes lecture-centered. In a process of practicing the activity of appreciating, a person is able to cultivate an ability to analyze the subject, gather information and put it together on one’s ow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et the second graders in middle school have an ability to criticize, which also enables them to appreciate an art piece and judge it aesthetically through Feldman’s Art Criticism Model. To verify the purpose of the study, I theoretically studied Feldman’s theory, a 2009 revision of Art Education curriculum and prior studies, and on the basis of them I set a specific research method. The subjects for the research were the second graders in two classes at Y middle school located in Guro-gu, Seoul. Two selected classes were going through the same educational schedule at the time, and each of them participated in six trials of classe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of 24 and the control group of 24, 48 students in total. A whole instruction-teaching guide for the control group was written by applying Feldman's Criticism Model to it. In the first and second trial, students appreciate art pieces according to the fourth criticism model presented in the textbook. And in the third and fourth trial, they learned the criticism model and method while filling in the criticism activity sheet NO.1 and No.2. In the fifth and sixth trials, the students wrote a critical comment. Then the evaluation was done on the basis of the critical comments. And the evaluation methods are divided into the evaluations on a critical comment and observation. Consequently, the average total score on evaluating the critical comments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which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well, the average total score on evaluating observation was higher in the control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one 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study presents a positive result from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fficiency of Feldman's Art Criticism Model and therefore working on further diverse studies regarding the main thesis are of necessity.;사회의 문화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비판적으로 문화를 해석해 낼 필요가 있다. 미술은 이러한 문화들의 기반을 이루고 있는 시각매체로서 현대 사회의 영화, TV, 만화, 광고 등의 시각문화가 급속도로 발달하면서 그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미술 감상 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미적 안목을 발달시켜 미술을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한다. 학습자가 현대문화와 정보를 주체적으로 받아들이고 삶 속에서 향유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미술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미술과의 목표로 “인간의 삶 속에서 미술을 이해함으로써 비평적 사고력과 미적 감수성을 길러 생활을 풍요롭게 영위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을 가지도록 하는데 있다”고 밝히며 감상영역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통해 미술비평이 미술감상수업에 어떠한 영향과 효과를 가져 오는지 알아보고자한다. 감상수업에서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할 경우, 교사의 강의위주의 전통적 수업에서 벗어나게 된다. 비평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는 자기주도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스스로 대상을 분석하며 정보를 수집하고 종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목적은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통해 작품을 감상하고 미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비평능력을 키우고자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펠드먼의 이론,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선행연구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구체적인 연구방법을 제작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소재한 Y중학교 2학년 두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두 학급은 동일한 교육과정 중에 있으며, 실험집단 24명, 통제집단 24명으로 총 48명의 학생이 각각 6차시의 수업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에는 펠드먼의 비평단계를 적용하여 전체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1~2차시에는 교과서에 제시된 4가지 비평방법에 따라 미술작품을 감상하고, 3~4차시에는 펠드먼의 비평단계에 따라 비평 활동지1,2를 작성하며 비평의 단계와 방법을 익힌다. 5~6차시에는 비평문을 작성한다. 통제집단에는 1~4차시까지 전통적인 강의식 감상수업을 진행하며 5~6차시에는 실험집단과 마찬가지로 비평문을 작성한다. 평가도구는 5~6차시에 작성한 비평문평가와 관찰평가로 나누어진다. 비평문평가도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미술과 감상영역의 평가기준과 박영주·노용(2007)이 ‘비판적 사고력 중심 미술 감상비평활동이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의 글쓰기와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활용한 평가기준 표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하였다. 관찰평가도구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사가 학습자의 수업참여도 및 준비물과 비평문작성과정을 관찰하고 기록하여 관찰평가를 진행한다. 평가 결과물의 통계처리는 SPSS ver 18.0을 활용하였다. 비평문 평가 항목인 ‘기술, 분석, 해석, 평가, 언어능력’의 평균 총점이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관찰 평가 항목인 ‘수업 참여도 및 준비물, 비평문 작성과정’ 의 평균 총점 또한,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감상수업이 학습자의 비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비평문평가와 관찰평가의 통계적인 검증 결과,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감상수업이 비평능력을 측정하는 각 평가항목에서 학습자의 점수 향상을 이끌어내었다.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감상수업은 실험집단 학생들로 하여금 미술작품의 특징과 의미를 스스로 인지하도록 하였고, 미술작품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아가, 미술작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학생들과 의견을 교환할 수 있었으며, 미술작품의 가치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의 교육적 실효성에 대하여 위와 같이 긍정적인 연구결과를 제시하였으므로, 이후 연구에서도 펠드먼의 미술비평 단계에 관하여 교육적 성과를 내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필요성이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내용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미술감상과 비평 4 1. 미술감상의 개념 및 의의 4 2.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영역 6 3. 미술감상에서 비평의 의의 8 B. 펠드먼의 미술비평 이론과 단계 10 1. 펠드먼의 미술비평 이론 10 2. 펠드먼의 미술비평 단계 11 Ⅲ. 연구방법 15 A. 연구대상 및 절차 15 1. 연구대상 15 2. 연구절차 19 B. 연구도구 21 1. 수업도구 21 2. 평가도구 54 C. 자료처리 57 Ⅳ. 연구결과 및 논의 58 A. 연구결과 58 1. 평가내용의 기술통계 58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 비교 60 B. 논의 63 Ⅴ. 결론 66 참고문헌 68 부록 70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578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감상수업이 비평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s of Appreciation Class with Feldman's Model of Art Criticism on Critical Skills : For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Keeyoon Lee-
dc.format.pagev, 93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contributor.examiner최은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