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효정-
dc.contributor.author송아름-
dc.creator송아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9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982-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우리는 현대 사회의 급격한 사회구조와 가치관의 변화로부터 적응과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경쟁하며 긴장해야하는 상황에 마주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획일적인 교육제도와 치열한 입시경쟁 등과 같은 상황은 청소년들에게 정서적 갈등과 혼란을 가져오며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부적응, 학교폭력, 따돌림 등과 같은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미성숙한 시기로 자아정체감을 정립하고 올바른 인격체로 성장하기 위한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올바른 성장 발달 과정을 위해 청소년기에 다양한 경험과 활동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2009개정 교육과정은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의 정신을 바탕으로 공동체발전에 기여하는 사람을 인간상으로 제시하며 학생들의 공동체의식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공동체의식은 다양성이라는 특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서 구성원들과 친밀한 관계 속에서 소속감과 유대감, 일체감을 형성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홍나리(2010)의 연구에 따르면 동료들과 함께하는 협력미술활동은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한 방법적 도구로서 공동체의식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타인과의 협동심을 기르거나 구성원간의 갈등과 경쟁을 완화시켜 공동체적인 삶의 기반을 영위할 수 있는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및 협동과정에서 배려와 사회성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공동체의식 형성에 긍정적인 GI 협동학습 모형을 중학교 2학년의 미술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연구내용 및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GI 협동학습 모형과 공동체의식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현재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적용 가능한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본 연구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둘째, 중학교 2학년에서 시행되고 있는 2009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한 뒤, 공동체의식 함양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단원을 선정하여 ‘캠퍼스 맵 픽토그램 디자인’수업을 개발하였다. 이때 학습자가 상호 협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GI 협동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수업을 설계하였다. 셋째, 선정한 단원을 중심으로 교수-학습 지도안과 ‘한국 공동체의식 검사지’를 활용하여 평가도구를 작성하였다. 넷째, 연구의 대상으로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한 K중학교 2학년 두 개의 학급 총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을 구성하여 공동체의식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여 검증한 후, 사전과 사후 공동체의식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다섯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독립변인은 GI 협동학습 모형으로,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에 따라 설계된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을 7차시 진행하고, 통제집단에는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지 않은 전통적 모둠활동으로 7차시 미술수업을 진행한 후 공동체의식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집단의 검사지 결과를 SPSS WIN 21.0v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동체의식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물을 비교하여 분석한 후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은 중학교 2학년의 공동체의식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은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제집단보다 높은 공동체의식을 보였으며 그 중 특히 자발적 참여 및 의사표현 영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상대적으로 자율성과 공공의식, 권위적·배타적 집단주의 영역에 가장 작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지 않은 미술수업보다 중학생의 공동체의식 함양에 효과가 있으며 표현 및 실기결과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미술 수업에서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다양한 학습 방법을 위한 연구와 시도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Recently we find ourselves in the era in which drastic change of social structure and values requires us to be more competitive and strained ceaselessly for the adaptation and growth. Especially, the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characterized with uniform education and fierce entrance exam competition brings the youth mental conflict and chaos and eventually causes social problems like young people’s maladjustment, school violence, and outcast. Young people are in progress when it comes to physical, mental, and social growth. They set up identities and they are on an important point to be a desirable human being. So, we need to provide the young people with a variety of experiences and activities to help them achieve successful growth. Education process version 2009 suggests the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to community in the context of cosmopolitan spirit of caring and sharing. And it stresses the necessity of community-spirit focused education. Community spirit is to be made gradually in the atmosphere of respecting diversity in life. Therefore, to develop the spirit, forming the sense of belonging, unity, and friendship in intimate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in a community is important. According to the study of Hong Nari of 2010, cooperative art activity with friends, as a tool for enhancement, brings about positive effect for fostering community spir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way of art study in which a student can thrive on a community driven society by raising cooperative mind or alleviating conflict or competition against friend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GI cooperative model on the community spirit of the student by applying the model to the art class of the middle school 2nd grade. GI cooperative model is believe to have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altruism and community spirit in the course of interaction and cooperative among members of society. The contents and the wa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we contemplated on the theories and preceding research data to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GI cooperative study model and that of community spirit and tried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study by extracting factors applicable to middle school art classes from it. Secondly, we developed ‘campus map pictogram design classes’ by selecting appropriate chapters which are believed helpful to foster community spirit after analyzing learning course and text of 2009 which are now in effect. We designed the class based on GI cooperative study model to enhance cooperative problem solving performance of students. Third, we completed writing of valuation tools by use of teacher-study instruction guideline as well as ‘Korea’s community spirit check-list’ by Jeong Jin-Kyeong(1999) pivot on the selected study chapter. Fourth, we divided the 2 classes of K-middle school in Kyunggido-Seongnam into experiment group of 30 and controlled group of 30 which were verified to have homogeneity in the community spirit and measured how the difference of community spirit development took place between the 2 groups. Fifth, we applied GI cooperative model designed based on this study to experiment group and executed 7-consecutive art classes. And we had traditional 7-consecutive classes without GI cooperative study model. Finally did we execute post-inspection about community spirit for the 2 groups. Lastly, we analyzed the inspection result based on comparison between pre and post inspection result about community spirit conducted with the help of SPSS SIN 21.0v statistics package program and finally reached the conclusion. To sum up the study, we found out as follows. First, GI cooperative study model applied art class has positive impact on developing community spirit among the 2n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GI cooperative study applied art class shows better community spirit than those of controlled group in every sub-factor. It has relatively large impact in the domain of voluntarily participation and expression whereas relatively small impact in the area of self-control, public awareness, authoritativeness and exclusiveness. Therefore, our study showed that art class applied with GI cooperative model has positive impact on fostering community spirit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on the performance of expression and practical technique. We hope that there be a variety of studies and trials for improving community spirit in art clas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7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0 Ⅱ. 이론적 배경 11 A. 공동체의식의 이해 11 1. 공동체의식의 개념 11 2. 공동체의식의 구성요소 13 B. GI 협동학습 모형의 이해 15 1. 협동학습 개념 및 유형 15 2. GI 협동학습 모형 23 C. 중학교 미술수업에서 공동체의식과 GI 협동학습 26 1. 2009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26 2. 중학교 미술수업에서 공동체의식과 GI 협동학습 36 Ⅲ. 연구방법 38 A. 연구대상 및 절차 38 1. 연구 대상 38 2. 연구 절차 41 B. 연구 도구 42 1. 수업 도구 42 2. 평가 도구 68 C. 자료 처리 71 Ⅳ. 연구결과 및 논의 73 A. 연구 결과 73 B. 논의 89 Ⅴ. 결론 및 제언 91 참고문헌 93 부록 96 ABSTRACT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631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2학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Art Class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on a sense of Community-
dc.format.pagevi, 13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