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윤정-
dc.contributor.author김소연-
dc.creator김소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8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899-
dc.description.abstractIn recent year, policies that enhance career education are implemented by government. In school, It is trying to career education in a variety of ways. These ways are way through the independent curriculum like <career and job>, way through the some sections in specific subjects, way to integrate the curriculum and way to utilize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is ‘career education’ has a point of view that student wisely cope steps and process of life rather than the education to focus on the employment and the entrance into a university. This study agrees with the aforementioned concept and has a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career theory. Career development takes place in whole life with individual development. And students should be educated career awareness, career decision-making capacity and solving skills in a period of high school. The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arts curriculum is designed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Students have a time to understand themselves through the arts curriculum and this curriculum is designed to investigate a objective art-related career information. And this study suggests a one way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rough the arts curriculum by applying this program,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investigated a trend in the career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er development in high school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about the career education and development theory. And I investigated a career education in school by analyzing a current education courses. Second, to studied about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career maturity through previous research. I analyzed the learner through pre-survey and made art-relat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Third, I applied students the programs(Total 8 session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ere 79 students of arts high school in Po-hang.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career maturity I carried out the pre and post test using career maturity test was made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urth, I used a SPSS Ver. 19.0 and analysed data by paired t-test.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tal score of students participated in art-relat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 test. Second, a sub-area of career maturity attitude, skills and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 test. Especially, this study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planning and independence of attitude, self-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e profession hope of skills and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actions of behavior. Finally, this study showed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 career maturity score. Therefore, I demonstrated the effect of art-related career exploring program on career maturity.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in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and presents the availability of career education through art curriculum. ;최근 진로 교육은 국제 사회에서 핵심적인 국가 정책 중 하나이며(OECD, 2004),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몇 년 동안 정부 주도하에 진로교육을 강화하려는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임언, 2008).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는 전 국민의 생애에 걸친 진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진로개발 지원 5개년 계획을 수립한 바 있으며 , 2016년 4월 5일에는 교육부에 의해 자유학기제 안착과 확산을 위한 ‘제 2차 진로교육 5개년 기본계획(2016~2020)’도 발표되었다. 하지만 현재 학교교육에서 진로교육은 많은 문제를 갖고 있으며, 지식 위주의 학습과 단편적인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어 진로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장원섭, 2006). 국가차원의 정책을 통해서 학교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진로교육이 시도되고 있다. 현행 교육과정에서 진로교육은 <진로와 직업>과 같이 독립된 교과를 통한 방법, 특정 교과에 일부 단원으로 편성하는 방법, 교과에 통합하는 방법,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하여 교과 외 활동을 통합하는 방법 등 으로 이루어진다(임언, 2008). 여기에서 ‘진로교육’은 진학, 취업 중심의 직업교육을 넘어서, 학생이 모든 삶의 단계와 과정에서 현명하게 대처하기 위한 생애 전반적인 관점으로 본다. 본 연구는 위의 진로교육 개념에 동의하며, 진로이론 중 발달적 관점을 취한다. 즉 진로의 발달은 개인의 성장과 함께 전 생애에 걸쳐서 일어나며 고등학생 시기에 발달해야 할 진로 의식, 진로 결정 능력, 해결 능력 등이 교육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일반 교과 중 미술교과 통한 진로교육을 설계하였다. 미술 교과를 통해 학생 스스로 자신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갖고, 객관적인 미술 관련 진로 정보를 탐색하고 선택하는 과정이 되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미술교과를 통한 진로탐색 활동의 한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과 진로발달이론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진로교육의 동향과 고등학생 시기의 진로발달 특성을 알아보고, 현행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을 조사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사전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를 분석한 뒤 미술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셋째, 포항시 소재의 예술 고등학교 1학년 79명에게 총 8차시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이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개발한 진로성숙도 검사를 이용하여 사전 ‧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진로성숙도 검사를 통해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test 검증을 분석하여 본 프로그램의 유의미성을 검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사전 ‧ 사후 검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전체 총점은 사전 ‧ 사후 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났고, 대응표본 t-test 검증 결과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인 태도, 능력, 행동 영역에서 사전 ‧ 사후 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태도 영역’에서는 계획성과 독립성, ‘능력 영역’에서는 자기이해와 희망 직업에 대한 지식,‘행동 영역’에서는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 항목이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검사결과는 진로성숙도 전체와 하위영역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미술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예술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 탐색 프로그램의 기초연구로서 뿐만 아니라 미술교과를 통한 진로교육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5 II. 이론적 배경 7 A. 진로 교육 7 B. 진로이론과 진로성숙 12 C. 현행 교육과정과 진로교육 32 III. 연구 방법 53 A. 연구대상 및 절차 53 B. 연구도구 58 IV. 연구 결과 및 논의 81 A. 연구 결과 81 B. 논의 100 V. 결론 103 참고문헌 105 부록 109 ABSTRACT 1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449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미술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예술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Art-related Career Exploring Program on Career Maturity : Focusing on 1st Grade Arts High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Kim, so youn-
dc.format.pagevi, 137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김남시-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