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남시-
dc.contributor.author김민정-
dc.creator김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9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934-
dc.description.abstractTwenty first century is about developing scientific technology that created numerous media contents which made new generation to have less experience of previous analog based media society. Modern society creates lots of various type of images and sides with media contents that consist of personal society aspects on global digital streams. Because peer culture is created by numerous social aspects of media, it is important to students have right education system to develop their understanding and critical thinking of various media contents. Evolving media-literacy would lead students to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for current various media's contents. Unfortunately, teenagers are exposed to the weak media-literacy education system. They need to define their identity to express opinions on various culture, game, and industry by critical thinking. Technology's development caused various and complex broad contents of media which stimulated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cultural media contents. In other words, teenagers need to be educated by various topics and cultures to approach for understanding the issues by educational techniques by media-literacy. Not only teenagers but also artists are influenced by overflowing media contents. And it is only beginning of revival of creating various art works by modern society with numerous contents influence. That is to say media-literacy education can be demonstrating its ability to show improvement to analyse how to critical thinking on various media contents. According to " Art for Life " author Tom Anderson, media-literacy is one of method to holistic approach to the art curriculum through classroom illustrations and comprehensive art content to work on student's critical thinking in various topics. So this paper's purpose is to encourage media-literacy with problem based learning (PBL) education to perform with overflowing media modern society. First, paper will approach with theoretical background to define the media-literacy, then method of revival media-literacy education to improve problem based learning (PBL) by lecturing the teaching designed model. There will be explan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media-literacy and problem based learning (PBL) with necessity of art criticism education.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art criticism education with media-literacy, I created one of instructional method to apply to B highschool, which is located at Gyeong gido Anyangsi. Selected forty students are eq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controlled group and experiment group. I applied and tested the instructional method on controlled group of 4th trial, and experiment group of 6th trial. I gave students to have opportunity to submit their work for art contest by using critical thinking of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 Art contest was about making photomontage. So students needed to apply their critical thinking on selected media images to make their photomontage. They needed to find out the point of those selected images by critical thinking. To submit photomontage, they need to apply analytical thinking to search to select the given images to conclude critical thinking to complete their work. I tested and analysed both of these homogeneity controlled group and experiment group's results by the method of problem based learning (PBL) media-literacy. By using Korean Press Foundation (2009) and Wonseop Lee (2014)'s indicator, inspection had been done for those groups of students. Also student's performance exam had been rated by Korean development institue's scale method. I found out the different effects and results by applying media-literacy with problem based learning education to controlled and experiment group's work results by proceeding traditional criticism understanding education. Here are following results of conclusion that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method education and media-literacy with PBL education. First, There are more positive influence on media-literacy with PBL education than traditional education. Second, media literacy improved understanding level of students to express their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by using given photo images. Third, student's performance art work showed media-literacy with PBL education impacted students to enhance the level of expression on their works with detailed thoughts. Therefore, not only high school art education, but also media art criticism education with problem based learning system will bring positive effect on various areas of developing student's awareness.;21세기는 과학기술의 발전되어 다양한 매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더 이상 아날로그적 향수를 느낄 수 없는 첨단 시대가 되었다. 첨단시대는 수없는 미디어 이미지를 양산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 환경을 다양한 정보와 시각이미지로 가득 차게 하였다. 미디어가 만들어 내는 사회 문화적 영향아래 또래문화를 형성하고 미디어를 무의식적으로 소통하는 청소년은 미디어 대한 비판적 이해능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능력을 미디어리터러시(media-literacy)라고 하며, 이는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가치 있게 활용하여, 자신의 메시지로 가공하여 창조를 통해 소통하는 능력이다. 그러나 청소년들은 대중문화와 게임, 산업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 자기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파악하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미디어가 생산 되고 있으며 자신의 문화 속 미디어를 파악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즉 청소년들을 둘러싼 다양한 시각문화를 활용한 다양한 주제 및 문화전체를 포함하는 내용의 교육을 필요로 하며 이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증진시키는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청소년뿐만 아니라 미술가들도 넘쳐나는 미디어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미디어를 활용하는 작품들은 방식과 활용이 나날이 다양해지고 있다. 즉, 미디어리터러시는 미디어를 활용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도 길러질 수 있다. 앤더슨 Anderson(2007)의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 따르면 매체, 단명한 산물, 저작권, 권한, 출처, 진실 그리고 의미와 관련된 문제들은 많은 미술가들이 탐구하는 주제이며 이는 미디어리터러시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고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논문은 미디어 리터러시가 강조되어가는 현 시점에 부응하여 미디어리터러시를 증진하기 위한 미술비평수업을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Learn ing)을 적용하여 설계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탐구하였고, 미디어 리터러시를 증진하기위한 미술비평 교육의 교수방법으로 문제중심학습을 선택하였다. 이에 미디어 리터러시와 문제중심학습의 관계를 밝히고, 미술비평교육의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미술비평교육에서 미디어리터러시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고등학교 미술비평수업이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현장적용을 위한 수업설계를 계획하였고, 경기도 안양시에 위치한 B고등학교 동아리수업에서 4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6차시와 통제집단 4차시의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미술비평수업은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생들이 해결해야할 문제를 공모전 나가기로 제시하였다. 공모전의 내용은 포토몽타주작품 만들기이며, 학생들은 공모전을 나가기 위해 포토몽타주 작품을 비평하고 작품 속에서 미디어 이미지를 알아본다. 학생들은 미디어를 알아보는 과정에서 미디어의 종류와 비판점을 찾기 위해 선정한 미디어 이미지를 분석한다. 또한 학생들은 공모전 형식에 맞는 포토몽타주작품을 제출하기위해 문제해결계획을 수립하고 차용할 작품 비평 활동과 미디어 이미지 분석의 탐색과 재탐색과정을 거쳐 포토몽타주 작품 만들기의 대한 문제해결책을 고안하게 된다. 본 논문은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미술비평수업이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한국언론진흥재단(2009)의 검사도구와 이원섭(2014)의 검사지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재구성하였으며, 한국교육개발원의 평가도구를 통해 실기물을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동질성이 검증된 두 집단 중 실험집단에는 독립변인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미술비평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미술 감상·비평수업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미술비평수업이 전통적인 미술비평수업보다 학습자의 미디어리터러시 증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미디어리터러시의 하위영역인 비판적 이해능력 ,소통능력, 미디어 활용능력, 사진을 활용한 주제표현은 문제중심학습으로 인해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거쳐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소통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활용하여 주제를 표현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실기 결과물 평가에서도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미술비평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작품표현에 있어 우수한 결과를 받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고등학교 미술비평수업은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실제 학교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II. 이론적 배경 4 A. 미디어리터러시(media-literacy)의 이해 4 1. 미디어리터러시의 정의 4 2. 미디어리터러시의 구성요소 8 3.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9 B.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12 1. 문제중심학습(PBL)의 개념과 특징 12 2. 문제중심학습(PBL)의 과정 15 3. 문제중심학습(PBL)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관계 18 C. 미술비평교육의 이해 19 1. 미술감상과 미술비평 19 2.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21 3. 미술비평교육에서 미디어리터러시의 필요성 27 Ⅲ. 연구 방법 29 A. 연구 대상 및 절차 29 1. 연구대상 29 2. 연구절차 32 B. 연구도구 33 1. 수업도구 33 2. 평가도구 67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7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71 A. 연구결과 71 1. 미디어 리터러시 측정결과 71 2. 결과물 평가 78 B. 논의 81 Ⅴ. 결론 및 제언 84 참고문헌 87 부록 90 ABSTRACT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654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고등학교 미술비평수업이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fluence of strengthening media literacy by PBL(Problem Based Learning) on high school criticism art education-
dc.creator.othernameKim, Min Jung-
dc.format.pageviii, 116 p.-
dc.contributor.examiner김남시-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