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은경-
dc.contributor.author김민유-
dc.creator김민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9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954-
dc.description.abstract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사회는 수많은 지식들이 계속 생겨나고 있으며 직업의 세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직업이 전문화 되면서 어떤 직업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직업은 우리의 삶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자아를 인식하고 자신의 흥미와 연결시켜 직업을 생각하는 시기는 초등학교시기 부터이다. 이 시기의 진로지도는 개인의 흥미, 능력, 가치관을 활용하여 진로를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로교육은 학생들에게 행복한 인생을 누릴 수 있게 하고, 성공적인 자아상을 정립하여 충분한 인생을 즐기며 사회건설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진로교육이 강조됨에 따라 교육부 (2015)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통합한 진로활동을 전국 초등학교에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이 빠르게 변화하는 직업 세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부터 진로교육이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진로의식 함양을 위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적용하여‘나의 미래모습 그리기’라는 수업제제로 자신의 미래 직업을 표현활동 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진로를 계획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계획함으로써 독립심을 기를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학습자들의 진로의식을 높여주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였고,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진로교육 학습-지도안을 위하여 2009개정 교육과정과 미술과 지도서를 분석하였으며 진로에 관한 공통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단원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진로지도 연구의 목적과 그에 따른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교수-학습 지도안을 적용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A초등학교 6학년 두 개 학급 총 5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두 개 학급은 실험집단 29명, 통제집단 29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집단 간의 동질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미술에 대한 관심 및 사전지식’ 설문지를 통해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2016년 3월 22일부터 4월 8일 동안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수업-지도안을 총 8차시에 걸쳐 각각 차시별로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인 ‘계획성’,‘자기이해’,‘일에 대한 태도’,‘독립심’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진행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7차시에 걸쳐 미술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의 진로성숙도를 측정하는 평가도구는 정익중⋅임진영⋅황매량(2011)이 개발한 초등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 도구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v.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자가 개발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적용한 실험집단 미술수업이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미술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성숙도뿐만 아니라 그의 하위요소인 ‘계획성’,‘자기이해’,‘일에 대한 태도’,‘독립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본 연구자가 개발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적용한 실험집단 미술수업이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미술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의 영역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진로의식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수업-지도안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의 진로의식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실제 학교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고, 학습자의 진로의식 함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In modern society, a numerous amount of knowledge is constantly born, and the subdivision of jobs is underway. As jobs become specialized, it has a great influence on your life that which one you will choose. The time when we start to acknowledge one-self and make a link between a job and one's interest is a period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period, career counseling make use of a student's own interest, ability and one's value to help their to make a proper decision. Career Education let students enjoy a happy life and set a successful image of one-self leading them to help making a better society. Also, as career education is highlighted more than even in a 2009-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 has announced that it will introduce a career activity which is integrated with creative activities to elementary schools across the nation. In accordance with it, for learners to actively get accustomed to a fast-changing job world, career education has become more significant starting off from the higher grades at elementary schools. In this study, I developed and applied a teaching-learning guide for a learner's career consciousness cultivation then used "Drawing Myself in the Future" as a topic in class and let students think of one's future career with own understanding of oneself. In addition, I rendered them a chance to plan out their future work on their own, which helped them to establish a feeling of independence, eventually to cultivate their career consciousnes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is on the basis of my speculating a theory on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therefore the study further looks into the goal and the content of Career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Also, for a teaching-learning guide I analyzed a 2009-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guidelines on art class. Then I examined the sections including common elements in terms of careers. So forth, I state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its necessity. To apply the teaching-learning guide I selected, as study subjects, two classes of 58 sixth graders at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wo classes separately formed the control group of 29 students and the experimental group of 29. In order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each group, I performed a homogeneity test by letting students fill up a questionnaire of "Interest and Prior Knowledge in Art". From March 22nd to April 08th, I performed eight times of teaching-learning guide that I developed and for each time I tried to cultivated a student's 'planning', 'self-awareness', 'work ethic', and 'independence' which all belong to the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maturity. As well, for the control group, seven times of traditional teaching was done in art class. As for a method to evaluate each subject's career maturity, I chose and utilized “Career Maturity Evaluation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2011)” which was developed by Yik-Joong Jeong, Jin-Young Lim and Mae-Liang Hwang.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I used SPSS v. 21.0 Statistic Package Program in order to statistically resolve the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like the following. Firstly, the control group that took an art class which the teaching-learning guide was applied t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that had a traditional art class not only in career maturity but also in its subordinate factors such as 'planning', 'self-awareness', 'work-ethic and 'independence'.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in art class which teaching-learning guide was applied to received a better review in sections of 'theme expression', ''expression method', 'model elements and principles', than the control group in a traditional art class did. Consequently, it is clearly shown that the art class to which the teaching-learning guide was applied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ixth graders' career consciousness cultivation. The study adjusted the teaching-learning guide and learned its effect on learners' improvement in career consciousness. Furthermore, in search of its actual use in clas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e verification of its educational effect in terms of cultivating a learner's career conscious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II. 이론적 배경 4 A. 자아존중감의 이해 4 1. 자아존중감의 개념 4 2. 자아존중감의 중요성 7 B. 진로의식성숙과 진로교육 11 1. 진로의식성숙 11 2. 진로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14 III. 연구방법 20 A. 연구대상 및 절차 20 B. 연구도구 25 C. 자료처리 63 IV. 연구결과 및 논의 64 A. 연구결과 64 B. 논의 73 V. 결론 75 참고문헌 78 부록 82 ABSTRACT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3854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자아존중감 확립이 학습자의 진로의식 함양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6학년의 미술수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Self-Esteem Development On Learner's Career Consciousness Cultivation : Sixth Graders in Art Class-
dc.format.pagevii, 109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