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1 Download: 0

중등 음악과 교육실습 지도교사와 예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Title
중등 음악과 교육실습 지도교사와 예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Preliminary Music Teacher and Current Music Teachers :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the Role Performance
Authors
이수경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근주
Abstract
This paper’s purpose is that doing comparison survey research between teacher and preliminary teacher in the process of teaching experience course for music class, who experienced student teaching course before. This study carries out survey targeting in a total number of 120 participants who are constituted by 51 numbers of current teacher and 69 numbers of preliminary instructors. Plus, this research utilizes a questionnaire as a research tool. The finding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is paper analyzes music teacher’s understanding, based on a background variable, about role performance by music instructor. In parts of teaching-learning method, student guid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mostly found that they think each of male teachers, high school instructors and others having career more than 21 years are better than female teachers, middle school instructors and the others having career less than 21 years. Second, this research examines preliminary music teacher’s understanding, based on a background variable, about role performance by music instructor. Like above, in parts of teaching-learning method, student guid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generally found that they consider each of preliminary male teachers, preliminary middle school instructors have an edge on preliminary female teachers, preliminary high school instructors. Indeed, when it comes to middle school, this study found that preliminary music teachers generally regard that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freshman are doing better than others. In the case of high school case, unlike middle school,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3rd grade are considered as excellent performers than others. In other words, current teachers who are thinking they are doing very well short of preliminary teacher’s expectations. Third, this paper then analyzes music teacher’s understanding, based on a background variable, about role performance by preliminary music instructor. Also, in parts of teaching-learning method, student guid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see that they think each of male teachers and high school instructors better than female teachers and middle school instructors. Plus, they consider that highly experienced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in school more than 21 years are doing better than others with short career. Fourth, this research investigates preliminary music teacher’s understanding, based on a background variable, about role performance by preliminary music instructor. In parts of teaching-learning method, student guid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check that they regard each of preliminary male teachers, preliminary high school instructors are better than preliminary female teachers, preliminary middle school instructors. And, when it comes to middle school, this study found that preliminary music teachers generally regard that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2nd do their job very well. In the case of high school case, unlike middle school,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1st grade are considered as excellent performers. Preliminary teachers, however, consider that they performed not very well in class, which means that current teachers’ assessment is exceed their own evaluation for themselves. In this part, this study found that preliminary teachers who are having the first experience of educational instructing feel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Next, this paper then draws a comparison to the understanding about role performance by music instructor, between preliminary and current music teachers. Current Guidance teachers are more likely to satisfying their performance in class than preliminary teacher’s expectation. Last but not least, this paper compares the understanding about role performance of preliminary music instructor, measuring preliminary music teacher against current music teachers. Preliminary teachers are less likely to satisfying their performance than current teacher’s assessment, in parts of teaching-learning metho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y think, however, student guidance area is better than current teachers. This study could predict that preliminary teachers are having difficulty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and also dissatisfying about their role performing. Contrarily they are pleased with themselves about their student guidance due to their high degree of interests for student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difference in understanding for teacher’s role performance in the process of instructing experience course. So there is a need for further study about this issue. Therefore, through this research, first of all, additional studies should confirm appropriate role performance for effective interaction to satisfy class teachers’ expectation in the process of instructing experience course. This study is hope Music education specialists to go through successful instructing experience course.;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을 경험한 현직 음악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음악과 교육실습과정에서 지도교사와 예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을 비교 조사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중·고등하교 현직 음악교사 51명,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69명, 총 120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지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지도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지도, 학생지도, 전문성 신장에서 대체로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고등학교 교사가 중학교 교사보다, 그리고 21년 이상의 고 경력인 교사가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지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지도, 학생지도, 전문성 신장에서 대체로 남 예비교사가 여 예비교사보다, 중학교 예비교사가 고등학교 예비교사보다, 그리고 중학교의 경우, 담당학년이 1학년인 예비교사가, 고등학교의 경우, 담당학년이 3학년인 예비교사가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지도교사가 본인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한 것에 비해, 예비교사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경변인에 따른 예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지도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지도교사는 교수학습지도, 학생지도, 전문성 신장에서 대체로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고등학교 교사가 중학교 교사보다, 그리고 21년 이상인 고 경력인 교사가 예비교사가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배경변인에 따른 예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는 교수학습지도, 학생지도, 전문성 신장에서 대체로 남 예비교사가 여 예비교사보다, 고등학교 예비교사가 중학교 예비교사보다, 중학교의 경우, 담당학년이 2학년인 예비교사가, 고등학교의 경우, 담당학년이 1학년인 예비교사가 스스로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지도교사가 인식한 예비교사의 역할수행에 비해 예비교사는 스스로 역할을 잘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이는 실제 교육현장을 처음 경험한 예비교사가 교육실습을 통해 이론과 실제 사이에서 괴리감을 느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지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지도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지도교사는 예비교사보다 교수학습지도, 학생지도 및 전문성 신장에서 스스로의 역할 수행에 만족하고 있었으나, 예비교사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예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지도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예비교사는 지도교사보다 교수학습지도 및 전문성 신장에서 스스로 역할을 잘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한 반면, 학생지도에서는 역할을 더 잘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는데. 이는 예비교사가 현장에서 교수학습지도와 전문성 신장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역할수행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반해, 높은 학생 개개인에 대한 관심으로 학생지도에 대한 역할수행에 스스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중등 음악과 교육실습과정에서 담당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음악과 교육실습에서 담당교사의 역할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상호관계가 이루어지도록 올바른 역할수행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음악과 교육실습으로 연계되는 데에 본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