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6 Download: 0

북한이탈여성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연계 자궁경부암 예방 교육의 효과

Title
북한이탈여성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연계 자궁경부암 예방 교육의 효과
Other Titles
Effect of Education on Cervical Cancer Prevention and Human Papillomavirus for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Authors
안소연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효정
Abstract
As health dispar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ould greatly impede stable unification, strategies for promoting North Korean refugees’ health are required.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have the higher prevalence rate of cervical cancer and human papillomavirus(HPV) than women from South Korea, and yet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ducation on cervical cancer prevention which targets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on cervical cancer prevention and human papillomavirus for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and to assess the effect of the program.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are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in their 20s residing in South Korea. There were 21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15 to April 2016. ADDIE model was adopted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and the contents include women’s health, cervical cancer, HPV and HPV vaccine. The program consists of 4 weekly sessions and each session is 50-minute long.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educational program on cervical cancer prevention was provided once a week and 4 times in total. After the experiment had been completely over, the control group was given the printed book of the educational program tha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a brochure made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ffect of the education was confirmed by measuring subjects’ cervical cancer knowledge, HPV knowledge, attitude toward HPV vaccination, and intention for HPV vaccin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s of cervical cancer knowledge(U=40.00, p<.001), HPV knowledge(U=4.50, p<.001), and attitude toward HPV vaccination(U=128.00, p=.013)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However, on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intention for HPV vaccination(Z=-2.33, p=.020)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ntention for HPV vaccination between the groups(U=197.50, p=.559). The price of HPV vaccination which can be burdensome for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is a possible reason for this result.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on cervical cancer prevention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cervical cancer knowledge, HPV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HPV vaccination of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Furthermore, various support plans to relieve the burden of the cost of HPV vaccine for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should be built so that the increase in cervical cancer knowledge and HPV knowledge can promote the increase in intention for HPV vaccination. In conclusion, efforts must be put in place by all stakeholders in establishing health policies for reducing health dispariti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o prepare for unification.;남북 간 여성 건강 격차는 통일 시 의료비 지출 부담 상승을 야기하여 통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북한이탈여성의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북한이탈여성의 경우 자궁경부암과 인유두종 바이러스 유병률이 높아(문가을 등, 2014; 안선영, 2015; HPV Centre, 2014) 성관련 예방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남북 간 여성 건강 격차 완화에 기여하기 위해 북한이탈여성의 특성을 고려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연계 자궁경부암 예방 교육을 개발하여 시행하였고, 예방 교육이 자궁경부암과 인유두종 바이러스 지식,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접종에 대한 태도 및 백신접종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2015년 10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접종을 맞지 않은 20대 북한이탈여성 중 실험군 21명, 대조군 2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확산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대조군의 자료수집 후 실험군의 자료수집 및 실험 처치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연계 자궁경부암 예방 교육은 Seels & Richey(1995)의 애디(ADDIE) 모형에 따라 여성의 생식 건강, 자궁경부암과 인유두종 바이러스 관련 지식,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을 주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예방 교육은 내용 구성 시 북한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병기하고 외래어를 최소화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예방 교육은 북한이탈여성들이 학업과 경제활동을 병행하고 신분 노출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별교육으로 진행하였다. 실험군에게 본 예방 교육을 주1회 50분씩 총 4회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실험이 종료된 후 연구자가 개발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연계 자궁경부암 예방 교육 책자와 국가암정보센터 브로셔를 제공하였다. 본 예방 교육의 효과는 김정효, 박미경(2009)이 개발한 자궁경부암 지식 도구, 김혜원, 안혜영(2007)이 개발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지식 도구, 박혜민, 오현이(2014)가 개발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접종에 대한 태도 도구, McRee 등(2010)이 개발하고 이은지, 김현옥(2011)이 번안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접종 의도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Mann-Whitney Test, Chi 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고 교육의 효과는 Wilcoxon Signed Rank Test와 Mann-Whitney Test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인유두종 바이러스 연계 자궁경부암 예방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자궁경부암 지식(U=40.00, p<.001), 인유두종 바이러스 지식(U=4.50, p<.001),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접종에 대한 태도(U=128.00, p=.013)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접종 의도 점수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U=197.50, p=.559). 이상의 연구결과 북한이탈여성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연계 자궁경부암 예방 교육이 대상자들의 자궁경부암과 인유두종 바이러스 지식을 향상시키고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접종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교수법 시 사용한 동영상 매체는 남한거주기간이 짧은 대상자들이 이해하기 어렵다고 호소하였고, 본 예방 교육이 1:1 개별교육으로 진행되어 동시에 많은 북한이탈여성에게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북한이탈여성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인유두종 바이러스 연계 자궁경부암 예방 교육 동영상 매체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연계 자궁경부암 예방 교육을 하나원과 하나센터의 집단교육에 지속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