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지영-
dc.contributor.author이미란-
dc.creator이미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8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8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경험을 탐색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6년 5월부터 2016년 6월까지 반구조적이고 개방적인 질문을 통해 17명의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각 40분~1시간 30분 동안 면담을 실시하였다. 녹음된 자료는 필사 후 전통적 내용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결과 응급실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 경험은 8개 범주로 나타났는데, ‘급박하게 수행되는 심폐소생술에 긴장함’, ‘심폐소생술 후 업무과중이 걱정됨’, ‘심폐소생술 수행 시 구성원들과 불협화음이 있음’, ‘심폐소생술 수행 시 보호자 참여가 꺼려짐’, ‘심폐소생술 수행에 대해 도덕적으로 고뇌함’, ‘심폐소생술로 인한 힘든 감정을 혼자 조절함’, ‘심폐소생술 후 형식적인 임종간호가 안타까움’, ‘심폐소생술 수행으로 간호사로서 성장함’ 이었다. 2. 응급실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경험을 종합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은 응급상황에서 자신의 역할을 잘 해내지 못할까 항상 두려워하였고 근무연차에 관계없이 갑작스러운 심폐소생술 상황에 당황스러움을 느꼈다. 심폐소생술 수행 중에는 의료진간의 권위적인 의사소통으로 마음에 상처를 받았고 경험이 부족한 구성원과의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으로 인해 심폐소생술 수행에 어려움을 느꼈다. 이와 더불어 심폐소생술의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는 보호자 때문에 부담을 느꼈고 그런 보호자로 인해 심폐소생술 과정에 영향을 받을까 염려하였다. 심폐소생술에 참여하는 중에도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 것이 환자를 위한 것인지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하였고 심폐소생술에 임하는 자신의 태도가 환자의 연령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느끼고 고민하였다. 그럼에도 심폐소생술 상황에서는 평정심을 잃지 않기 위해 감정을 조절하였다. 심폐소생술 수행 후에는 홍수처럼 밀려오는 업무에 부담을 느꼈고 다른 환자의 간호나 처치까지 감당해야 하는 것을 힘들어하였다. 심폐소생술 후 환자가 사망하여도 정서적인 지지를 해줄 수 없는 상황을 아쉬워하였고 보호자들에게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할 수 없음에 난감해 하였다. 심폐소생술에 참여하며 느꼈던 힘든 감정들은 근무가 끝난 후에야 개인적으로 해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심폐소생술 수행에 대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심폐소생술 수행은 가치 있는 일이라고 인식하였고 심폐소생술 수행을 통해 전문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고 여겼다.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 경험을 통해 심폐소생술 상황에서의 환경적 어려움과 심폐소생술 수행 시, 심폐소생술 수행 후에 발생하는 심리적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인간으로서의 긍지와 의료인으로서의 직업적 성취감을 알 수 있었다.;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mong nurses who work in the emergency department. Seventeen participants who had been wor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for at least one year and had performed CPR at least once within the last three months were interviewed for 40-90 minutes each. Data collection took place between May and June, 2016.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Eight categories and seventeen subcategories emerged from the data analysis: ‘Feel tension on urgently performing CPR’, ‘concerned about heavy workload after CPR’, ‘disharmony with members during CPR’, ‘reluctant to allow patient guardians as observers during CPR’, ‘feel moral agony during CPR’, ‘try to deal with the emotional difficulties personally’, ‘regret apathetic terminal care’, and ‘grow as a nursing personnel after CPR.’ The participants were disconcerted by a sudden situation of performing CPR and were anxious about whether they might not be able to conduct their role successfully during performing CPR. Besides the work comes in like a flood after CPR. The participants have given rise to a conflict caused by authoritative communication each other and having members less capable of performing CPR caused them trouble. The nurses felt the pressure exerted by caregivers and they were worried that the caregivers would intervene and obstruct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CPR. The participants had to suppress their own emotions during the performance of CPR. The nurses were ambivalent about performing CPR on suicidal patients or patients who were beyond resuscitation. They felt pity for themselves for becoming accustomed to the death of their patients after the unsuccessful CPR. The nurses felt they were more engaged when they were performing CPR on younger patients. The participants felt embarrassed that they were unable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to the guardians after the unsuccessful CPR. They also mentioned that in most cases, the caregivers required time to overcome sorrow. Nonetheless, participants felt that CPR is a valuable activity and the work provided them with a great sense of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nurses felt they had gained more respect about the difficulty surrounding the performance of CPR.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d various stress factors experienced by emergency nurses performing CPR. In light of the above findings, widely understanding the nurses and controlling various elements performing CPR are crucial leading to the smoothing and successful CP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필요성 1 B. 연구 목적 3 Ⅱ. 문헌고찰 4 A. 응급실 간호사 4 B. 의료인의 심폐소생술 경험 7 Ⅲ. 연구 방법 10 A. 연구 설계 10 B. 연구 참여자 10 C. 자료 수집방법 11 D. 자료 분석방법 12 E. 윤리적 고려 13 F. 연구의 엄밀성 14 G. 연구자 준비 15 Ⅳ. 연구 결과 16 A.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6 B. 연구 결과 17 Ⅴ. 논의 37 Ⅵ. 결론 및 제언 45 A. 결론 45 B. 제언 47 참고문헌 49 부록 1. 연구 설명문 및 동의서 60 ABSTRACT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53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응급실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 경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xperience of performing CPR among emergency nurses-
dc.format.pagev, 65 p.-
dc.contributor.examiner김미영-
dc.contributor.examiner이경은-
dc.contributor.examiner차지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