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덕유-
dc.contributor.author박나나-
dc.creator박나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2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25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복지간호서비스에 대한 정보제공 후, 정보제공 방법에 따른 효과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제공이 노인의 요구도, 인지도, 이용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기 위함이며,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분류하여 노인복지간호서비스에 대한 사전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실험군에게는 안내문을 제공함과 동시에 안내문 제시된 노인복지간호서비스에 대해 면대면 그룹교육을 시행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정보제공 없이 안내문만 제공 후 한달 뒤에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요구도, 인지도, 이용경험을 비교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χ2 test, Fisher's exact test 및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McNemar 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인‘노인복지간호서비스에 대해 안내문과 함께 직접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의 노인복지간호서비스 요구도는 직접정보제공 없이 안내문만 받은 대조군의 노인복지간호서비스 요구도보다 높을 것이다.’ 의 검증결과, 14개 항목의 노인복지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도에 있어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조사 시 나타난 평균점수는 실험군 4.34±.56점, 대조군은 4.36±.41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t=1.004, p=.300), 정보제공 후 요구도 변화는 실험군 4.40±.28점, 대조군 4.38±.37점이었으나, 이를 평균차이 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어(t=-1.180 p=.242), 제 1가설은 기각되었다. 2. 제 2가설인 ‘ 노인복지간호서비스에 대해 안내문과 함께 직접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의 노인복지간호서비스 인지도는 직접정보제공 없이 안내문만 받은 대조군의 노인복지간호서비스 인지도보다 높을 것이다.’ 의 검증결과, 14개 항목의 노인복지간호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에 대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조사 시 나타난 평균점수는 실험군 2.05±.47점, 대조군 1.96±.34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889, p=.377). 그러나 정보제공 후, 실험군의 인지도는 2.68± .20점, 대조군의 인지도는 2.04±.33점으로 평균차이 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어(t=9.122, p<.001)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 3. 제 3가설인 ‘노인복지간호서비스에 대해 안내문과 함께 직접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의 노인복지간호서비스 이용경험은 직접정보제공 없이 안내문만 받은 대조군의 노인복지간호서비스 이용경험보다 높을 것이다.’ 검증결과, 14개 항목의 노인복지간호서비스에 대한 이용경험도에 대해 대응표본 McNemar 검정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이용경험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서비스가 없었고, 실험군에서는 사회관계(p=.039), 안검진(p=.002), 틀니(p=.039), 치매(p=.004), 돌보미(p=.03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제 3가설은 지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복지간호서비스에 대한 직접정보제공이 노인들의 노인복지간호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경험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노인복지간호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경험을 높이기 위해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들에게 적극적인 정보제공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n the information provided about Welfare Nursing Care for the elderly care on needs, awareness and using experience of elderly. This quasi-experiment study for more than 65 years old man a local community was conducted by using nonequivalence studies before and after the control design. Using SPSS Version 21.0 statistics program,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analyzed by real number and percentage, and homogeneity test for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as implemented by Fisher's exact test, X2-test and t-test. To test the hypothesis, the needs and awareness about Welfare care Service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for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t-test. To test the hypothesis of using experience about Welfare care Service were analyzed by McNemar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1. In terms of the needs about Welfare Nursing Services of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t=-1.180, p=.242). However, both group showed higher scores on needs. 2. In terms of the awareness about Welfare Nursing Services of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treatmen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t=9.122 p<.001). 3. In terms of the using experience about Welfare Nursing Services of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treatment, cotrol group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Otherwise, in the experiment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relations (p=.039), eye care (p=.002), dentures (p= .039), dementia (p=.004) and caregivers (p=.031). Through the communication and promotion of the elderly Welfare Care services, the needs, awareness, experience about Welfare Care services was to know whether there is a real change, it was possible to verify through research that there was a change in awareness and experi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연구의 가설 4 D.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 고찰 9 A. 노인복지와 노인복지간호서비스 9 B. 노인복지간호서비스 욕구도, 인지도 및 이용경험 14 Ⅲ. 연구방법 16 A. 연구설계 16 B. 연구대상 17 C. 연구도구 18 D. 자료수집 및 절차 19 E. 자료분석 2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25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정 25 B. 가설검정 32 1. 제 1가설 32 2. 제 2가설 34 3. 제 3가설 37 Ⅴ. 결론 및 제언 40 A. 결론 40 B. 제언 43 C. 연구의 의의 44 참고문헌 46 부록1. 실험군 연구 설명서 51 부록2. 대조군 연구 설명서 53 부록3. 연구 참여 동의서 55 부록4. 연구 설문지 56 부록5. 교육자료(안내문소책자) 67 부록6. IRB 심의 결과 통보서 68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740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노인복지간호서비스에 대한 정보제공이 노인의 요구도, 인지도, 이용경험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ffecting of Education about Welfare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Care on Needs, Awareness and using Experience of Elderly-
dc.format.pagevi, 74 p.-
dc.contributor.examiner김미영, 이건정, 정덕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