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옥-
dc.contributor.author김효영-
dc.creator김효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3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37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중학생의 창의성 발달에 적합한 가야금교육의 필요성과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부천시 소재의 N중학교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에 처음으로 참여하는 중학생 1,2,3학년 29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로 이경화(2014)의 ‘창의성 검사(K-ICT)’를 선정하여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이전에 사전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10차시의 교육이 종료된 후에는 동일한 검사지와 연구자가 작성한 일반적 특성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창의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대응표본 t-test,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의 실시 이전과 이후에 실시한 창의성 검사의 총점에는 변화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을 통한 중학생의 창의성 변화를 각 하위영역 별로 살펴본 결과로는 호기심, 과제 집착력, 독립심(모험심), 문제 해결적 리더십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창의성 하위영역의 구체적인 차이를 바탕으로 가야금 프로그램의 다양한 학습활동이 학생들의 전반적인 창의성 증진에 기인하였다고 분석된다. 셋째,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을 통한 중학생의 창의성 변화를 각 하위영역 별로 살펴본 결과 민감성과 유머는 수치상의 변화를 보였지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이는 가야금 프로그램의 활동이 주입식으로 이루어지거나 장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어 학생들의 음악적 발달에 미비한 영향을 주었다고 예측된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학생의 사후 창의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로 부모요인, 환경요인, 동기요인으로 인한 창의성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연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육적 환경 및 대상의 연령 등을 고려하였을 때,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존에 창의성과 관련된 선행연구가 대부분 유아를 대상으로 하거나 타 교과 및 서양음악을 주제로 이루어져 왔지만, 본 연구는 국악 분야에서 대상의 연령을 확대하여 진행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에서 기존과 다른 새로운 교육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힘쓰고, 그것을 실제 교육현장에 접목시켜 보다 발전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중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적절한 가야금교육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또한 국악교육 및 가야금교육의 내용은 반드시 교육과정 안에 일원화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후속 연구가 다방면으로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Gayageum (a kind of Korean harp) program after school on the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necessity and implication of Gayageum education which i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For this,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and the research was aimed at middle school's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The number of them was 29 and they for the first time participated Gayageum program of N middle school in Bucheon City in Gyeonggi Province. As a research tool, 'Korean Integrated Creativity Test(K-ICT)' of Gyeong-hwa Lee (2014) was conducted primarily before the program started. After 10 times of Gayageum lesson finished, post-test was implemented using K-ICT and a questionnaire about general feature which a researcher had written. In order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of creativit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arrying out matching sample t-test, independent sample, and one way ANOVA(analysis of variance)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re existed a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of creativit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nd it meant tha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ccurred. Therefore, it was discovered that Gayageum program after schoo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hange of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through the program in terms of each sub-domain of creativity, there existed meaningful increase in curiosity, assignment obsession, problem-solving leadership, and independence. Based on this concrete differences of creativity's sub-domain, it was analyzed that various learning activities of Gayageum program contributed toward the enhancement of student's overall creativity. Third, among lots of sub-domain of creativity, numerical change of susceptibility and humor definitely existed, but it came to the front that the numerical value wa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It is judged that the activities of Gayageum program must have been conducted by rote or for a long time, which impeded the musical development of students. Finally, in consequence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creativity had no relevance to parent factor, environment factor, and motivation factor. Consider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age of subjects which can have an effect on this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creativity had nothing to do with general features.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because it was implemented based on Korean classical music and expanded an age group of test subjects, whereas most of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creativity were conducted with the aim of preschoolers or based on other class subjects or Western music. Research results imply that with respect to Gayageum program, new instructional methods different to existing ones should be made, and they have to improve by being applied to the spot of education actually.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Gayageum education which is suitable for advancing the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realized. Furthermore, the contents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Gayageum education should be unified within a course of study, and a follow-up study like this have to be continued in various fiel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방과후학교의 이해 5 B. 가야금과 가야금교육의 이해 8 C. 창의성과 음악교육의 관계 16 D. 선행연구 고찰 22 Ⅲ. 연구의 내용 32 A. 연구 대상 32 B. 연구 방법 35 C. 연구 절차 36 D. 연구 도구 38 E. 자료 처리 및 분석 42 Ⅳ. 연구결과 및 분석 43 A. 창의성 사전사후검사 분석 43 B.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후 창의성 분석 51 C. 개방형 응답 분석 53 Ⅴ. 결론 및 제언 54 참고문헌 57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61 부록2. 비참여 관찰 일지 62 부록3. 창의성 검사지 68 부록4. 일반적 특성 설문지 69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61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방과후학교 가야금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Gayageum (a kind of Korean harp) program after school on the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dc.format.pagevi,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