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경-
dc.contributor.author김연경-
dc.creator김연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2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23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음악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중등음악교사들의 멘토링에 대한 인식 및 활성화 방안과 멘토링을 통해 중등음악교사가 습득하고자 하는 전문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재직 중인 중등음악교사 113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 표본 t-test,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전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음악교사들은 멘토의 적합한 대상으로 ‘동일과목 교사’를 가장 선호하였고, 멘토링 운영의 가장 큰 효과로 ‘전문성 신장’을 가장 많이 기대하였다. 따라서교사는 멘토링을 통해 담당 교과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원한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둘째, 교직경력에 따른 멘토링의 전반적인 인식 및 활성화 방안은 음악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전체 빈도분석과 대부분 비슷하게 나왔다. 그러나 음악교사들은 그들의 교직 경력에 따라 멘토링을 이해하고 인식하는 것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년 미만의 초임교사는 다른 교사들에 비해 교직 경험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멘토링을 통해 학교 생활에 신속하게 적응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15년 이상~20년 미만의 경력교사는 음악교사의 역량과 전문성을 멘토링을 통해 학습하길 기대하고 있으며, 따라서 멘토링에 대해 가장 적극적이고 의욕적인 태도를 갖추고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반면 20년 이상의 경력교사는 퇴직을 앞둔 교사로 멘토링이 주는 의미와 그것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서 가장 비적극적이며, 미온적인 자세를 지니고 있었다. 셋째, 음악교사들의 전공에 따른 멘토링의 인식과 활성화 방안은 전체 빈도분석과 전반적으로 비슷하게 나왔다. 하지만 음악교사의 전문성 및 역량에 관한 설문에서 교수학습 환경 조성에 관한 문항은 이론을 전공한 교사보다 기악과 성악을 전공한 교사들이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들의 전공에 따라 교수 환경에 대한 인식이 차이가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한국음악에서 성악을 전공한 교사는 타 전공 교사들보다 수업 실행 및 평가 영역의 전문성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한국음악의 성악을 전공한 교사가 타 교사들보다 멘토링을 통해 수업 실행 및 평가 영역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수준이 높을 것을 의미한다. 넷째, 재직 중인 학교의 멘토링 운영여부에 따른 멘토링의 인식과 활성화 방안의 설문 중 멘티의 적합한 선발기준의 응답으로 멘토링을 운영하는 학교에 재직 중인 음악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훨씬 다양한 응답을 하였다. 이는 현장에서 멘토링 시행 시 멘티의 자격을 확대하여 초임교사라고 한정적으로 제한을 둘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멘토링을 시행해야 한다는 것에 시사점을 둘 수 있다. 또한 멘토링을 시행하지 않는 학교에 재직 중인 음악교사는 학생들과의 소통과 관리에 더 관심을 집중하고 있었으며, 멘토링을 통해 이에 관한 교수 기술을 배우기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멘토링 참여 경험에 따른 멘토링의 인식과 활성화 방안의 설문에서 멘토와 멘티로 모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음악교사는 멘토링의 인식이 가장 긍정적이었으며, 멘티로만 참여했던 음악교사가 평균이 가장 낮았다. 이는 멘토와 멘티 각각의 입장을 모두 경험해 보았기 때문에 멘토링에 대한 장점과 단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유연성 있는 멘토링 운영을 원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현직 중등음악교사들은 멘토링 운영시 예상되는 문제점으로 업무과중에 따른 부담감, 장학활동에 따른 시간 부족을 지적하였다. 이를 통해 음악교사들은 멘토링에 참여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거나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하지만 멘토링의 주된 의사수단으로 면대면의 방식을 가장 선호한다는 것과 필요하다면 수시로 만나야 한다는 답변으로 실제 음악교사들이 멘토링에 참여하고자 하는 태도는 보다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멘토링에 대한 현직 중등음악교사의 전반적인 인식과 교직경력, 전공, 참여 경험 등 세부 요인에 의해 달라지는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멘토링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음악교사의 전문성 및 역량 중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역을 멘토링을 통해 습득하고자 하는지 살펴봄으로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것에 시사점을 가진다. 본 연구를 통해 현직 중등음악교사들이 전문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이자 교사 교육의 일환으로서 멘토링을 충분히 활용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pertise of secondary music teachers to be acquired through mentoring as well as recognition of mentoring and measures for promotion of secondary music teachers to improve the expertise of them. For this, survey has been distributed to 113 secondary music teachers in the nation,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ult of entire frequency analysis to identify overall recognition of mentoring, music teachers turned out to prefer ‘instructors of the same subject' the most as an appropriate target for mentoring. As for the biggest effect of mentoring operation, they turned out to anticipate the ‘improvement of expertise' the most. This implies that teachers preferred to improve their expertise in the subject through mentoring. Secondly, overall recognition and measures for promotion of mentoring from teaching career turned out to be similar with the entire frequency analysis conducted on all the music teacher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music teachers differently understood and recognized the mentoring according to their teaching career. Newly appointed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career aimed to swiftly adjust in school lives through mentoring because of relatively shorter teaching career compared to other teachers. However, experienced teachers in the career between 15 and 20 years expected to learn the capacity and expertise of music teachers through mentoring and hence were implied to be equipped with the most active and motivated attitude on mentoring. On the other hand, experienced teachers in career for more than 20 years turned out to be inactive the most with lukewarm attitude on the meaning of mentoring and also about what it meant to them since they were about to retire. Third, recognition of mentoring and measures for promotion according to the major of music teachers overall turned out to be similar with the entire frequency analysis. However, questions about establishment of instruction-learning environment turned out to be higher among instructors majoring in instrumental music and vocal music than those major in theory from the survey about expertise and capacity of music instructors. This implies that there was a difference on recognition of instruction-learning environment depending on the teachers. In addition, teachers majoring in vocal music from Korean traditional music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average of class performance and evaluation areas than instructors majoring in other fields. Fourth, music teachers working at the school where operated mentoring turned out to provide more diverse responses than those at schools without mentoring system in the criteria of selecting appropriate mentees in the recognition and measures for promotion according to whether schools that music teachers worked at operated mentoring system. This implies that mentoring shall be operated on various instructors by expanding qualifications of mentees when providing mentoring system instead of imposing limitation to newly appointed teachers. In addition, music instructors working at schools where mentoring was not operated turned out to focus more on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with students and prefer to learn instruction skills about them through mentoring. Fifth, music teachers with an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survey about recognition and measures for promotion of mentoring as a both mentor and mentee turned out to be positive with recognition of mentoring the most. Music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survey only as a mentee turned out to have the lowest average. Since they experienced the perspective of both mentor and mentee, they comprehensively understoo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entoring system and also preferred flexible operation of mentoring. Sixth, current secondary music teachers turned out to have a relatively less opportunity to participating in the mentoring or passive attitude on the mentoring. In fact, they have responded with burden from excessive work-load and lack of available time due to scholar activities as an issue to be expected when operating the mentoring system. Ironically, all the music teachers turned out to be more active in participating in mentoring. This is because participants responded for how they preferred face-to-face method as a major communication means for mentoring and also to meet up if needed the most.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that is changed by detailed factors including overall recognition, teaching career, major, and an experience of participation of current secondary music teachers on the mentoring and also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current mentoring.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o identify which field music teachers pursue among expertise and capacity through mentoring and seek for measures of promotion. According to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o utilize mentoring as a means for improving expertise of current secondary music teachers and also a part of education for instruct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연구의 제한점 3 D. 용어 정리 4 Ⅱ. 이론적 배경 5 A. 교사 전문성의 정의와 효과 5 B. 음악교사 21 C. 교사교육과 멘토링 25 D. 선행연구 고찰 30 Ⅲ.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4 A. 연구 대상 34 B. 연구 절차 35 C. 연구 도구 36 D. 연구 방법 40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42 A. 전체빈도 분석결과 42 B. 교직경력에 따른 분석결과 49 C. 전공에 따른 분석결과 69 D. 재직 중인 학교의 멘토링 운영여부에 따른 결과 94 E. 멘토링 참여 경험에 따른 결과 109 Ⅴ. 결론 및 논의 128 참고문헌 133 부록1. 문항 내용 점검표 138 부록2. 연구 참여 동의서 139 부록3. 기초 조사 설문지 140 부록4. 멘토링 인식과 활성화 방안 설문지 141 부록5. 음악교수역량과 멘토링 144 ABSTRACT 1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78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중등음악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멘토링의 현황과 인식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vestigation of Current Status of Mentoring and Recognition for Improvement of Expertise of Secondary Music Teachers-
dc.format.pagexi, 1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