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32 Download: 0

흉부 CT 에서 보이는 간유리결절의 크기 증가와 관련된 인자

Title
흉부 CT 에서 보이는 간유리결절의 크기 증가와 관련된 인자
Other Titles
Factors Associated with Growth of Ground-Glass Nodules on Chest CT
Authors
배지윤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진화
Abstract
연구배경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시행의 빈도가 높아지면서 간유리결절의 발견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간유리결절의 자연경과나 추적관찰 및 치료에 대한 지침이 확립되지 않아 임상의의 판단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유리결절의 크기 증가와 관련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3월부터 2014년 2월 사이 이대목동병원에서 시행한 흉부 CT 결과 간유리결절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환자에서 결절이 처음 진단되었을 당시 결절의 영상학적 특징과 나이, 성별, 동반 폐질환, 암 병력 유무, 기저질환에 대한 정보를 의무기록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영상학적 특징으로는 결절의 크기, 경계, 개수를 조사하였다. 각 환자에서 CT 추적관찰 중 결절의 크기가 증가한 날짜를 수집하였다. 결절의 크기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Cox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2011년 3월부터 2014년 2월 사이 이대목동병원에서 시행한 흉부 CT 상 관찰된 간유리결절 중 첫 발견 이후 CT 추적을 1회 이상 시행한 결절은 총 655개였고 환자는 331명이었다. 환자의 나이, 성별, 흡연력, 기저질환, 동반 폐질환, 암병력, 결절의 크기, 개수, 경계에 대하여 Cox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암 병력이 있는 경우 (adjusted HR 1.787, p=0.04) 와 장경이 10mm 이상인 경우(adjusted HR 1.880, p=0.043), 단일 결절 (adjusted HR 2.133, p=0.005)인 경우 크기 증가의 위험도가 높았다. 결론 암 병력이 있는 경우와 단일 결절인 경우, 결절의 크기가 10mm 이상인 경우 크기 증가의 위험이 높았다. 따라서 추적 관찰 간격이나 조직검사 시행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결절의 크기, 단일결절여부, 암 병력 여부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겠다.;Background The increase in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resulted the frequent detection of ground-glass lung nodules (GGN). However the natural history of GGN is not well understood and the guideline for the evaluation and follow up of GGN is not establish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CT scan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growth of GGNs. Method GGNs were detected from chest CTs that is performed between March 2011 and February 2014 in Mok-dong Hospital. The information of patient’s age, sex, lung disease, history of malignancy, underlying disease and the size, margin, number of nodules were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The date of increase in size was also collected for each nodule. Cox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nodule growth. Result Total of 331 patients with 655 nodules were detected on the chest CT scans from March 2011 to February 2014. Cox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age, sex, longest diameter of nodule, number of nodules, margin, and presence of solid portion. As a result, history of malignancy (adjusted HR 1.787, p=0.04), solitary nodule (adjusted HR 2.133, p=0.005), longest diameter equal to or greater than 10mm (adjusted HR 1.880, p=0.043) revealed the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growth of GGN. Conclusion The history of malignancy, solitary nodule and nodules greater than 10mm were in risk of future increase in size. Therefore taking into account for the history of malignancy, size and number of nodule is necessary in deciding the follow up interval and whether or not to perform biops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