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영진-
dc.contributor.author이경민-
dc.creator이경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8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844-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 Pain and discomfort due to foreign body swallowing is most frequent symptoms in patients who came to emergency department(ED). Although majority of cases are relieved without any treatment, about 10-20% of patients are required invasive treatment including esophagoduodenoscopy (EGD). Moreover about 1% of patients are required operation. The complications of swallowed upper gastrointestinal(UGI) foreign body is rare because of successful removal by EGD procedures but obsturction of UGI tract, bleeding, perforation, mediastinitis, peritonitis could occur depending on duration of retained foreign body and characteristics of foreign body. Thus the foreign body of UGI tract is required to remove as soon as possible. However, ther are no standardized guidelines for emergent EGD for foreign body in Korea. It is essential due to reduction of overcrowding and stay time patients in ED.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eal indication of emergent EGD in foreign body swallowing patients by analyzing demographic data, characteristics of foreign body, the location of foreign body and complications. Methods : During 2006 to 2015, we collected data of the patient who taken emergent EGD for foreign body swallowing by patient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in one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Results : Out of total 201 cases, there were 69 cases who had actual foreign body in UGI tract. Before taken emergent EGD, the most suspicious foreign body was fish bone(77 cases), animal bone(39 cases) and food material including tablet(37 cases)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 location of foreign bodt were upper esophagus(36 cases) and mid esophagus(15 cases) respectively. The factors related to retained actual foreign body in patients are pain more than pain score 3 and chest discomfort. The complications of foreign body was higher in older than 50 year-old and aptients with chest discomfort. Conclusions : The patients who came to ED due to foreign body swallowing, the possibility of actual retained foreign body was higher in patient with chest discomfort and moderate score of pain. Older than 50 year-old patients and patients with chest discomfort were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of UGI tract foreign body.;이물의 삼킴 및 이로 인한 통증 및 불편감은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가 흔히 호소하는 주증상 중의 하나로 대개의 경우 자연적으로 배출되나 약 10~20%의 경우는 위식도 내시경 등의 치료적 시술을 필요로 하며 약 1%는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 대부분의 상부위장관내 이물은 위식도 내시경을 통해 성공적인 제거가 가능하나 이물의 개재시간이나 이물의 성상 등에 따라 상부위장관의 폐쇄, 출혈, 천공 및 이로 인한 종격동염, 복막염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빠른 시간내 제거를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상급병원 응급실로의 환자 쏠림 현상 및 이로 인한 진료 지연, 응급실 내 체류시간 연장 등 우리나라 응급의료 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해 볼 때 이물 삼킴 및 이로 인한 불편감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들 중 실제로 응급내시경이 필요한 환자를 선별하기 위한 기준의 정립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물 삼킴 및 이로 인한 불편감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의 인구학적 특성 및 섭취한 이물의 종류, 위치, 합병증 및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고 응급내시경이 필요한 경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6년 8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이물 또는 음식물 섭취 후 발생한 이물감, 삼킴곤란 등을 주소로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여 응급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한 성인환자 201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응급내시경을 시행한 201명 중 실제로 이물이 확인된 경우는 69예였다. 내시경 시행 전 의심되었던 이물의 종류는 생선가시(77예), 동물의 뼈(39예), 알약을 포함한 음식물(37예) 순이었고, 내시경을 통해 확인된 이물의 위치는 상부식도가 36예로 가장 많았고 중부식도가 15예로 다음으로 많았다. 이물의 실제 존재 여부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숫자 통증 등급 3점 이상인 경우가 3점 미만인 경우보다 이물질 존재 가능성이 높았으며 가슴불편감이 없는 경우가 가슴불편감이 있는 경우에 비해 이물질 존재 가능성이 낮았다. 상부위장관내 이물로 인한 합병증은 5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발생 비율이 높았으며 가슴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합병증 발생 비율이 높았다. 이물 삼킴 및 이로 인한 불편감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중 중등도 이상의 통증 및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 가슴불편감이 동반된 경우에 실제 이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50세 이상의 환자 및 가슴불편감이 동반된 환자에서 상부위장관내 이물로 인한 합병증 발생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3 A. 연구 대상 및 방법 3 B. 통계 분석 4 Ⅲ. 연구 결과 5 A. 성별 및 연령별 분포 5 B. 이물의 종류 및 위치 5 C. 이물의 잔류시간 6 D. 실제 이물의 존재 여부와 관련된 인자 6 E. 합병증의 발생과 관련된 인자 7 Ⅳ. 고찰 16 Ⅴ. 결론 20 참고문헌 21 부록 24 ABSTRACT 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20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응급실에 내원한 상부위장관내 이물 의심환자의 실제 이물의 존재 및 합병증 발생과 관련된 인자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lated factors of the real existence of foreign body and complications of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foreign body suspected patients in emergency department-
dc.format.pageiv, 27 p.-
dc.contributor.examiner전영진-
dc.contributor.examiner최윤희-
dc.contributor.examiner한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