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27 Download: 0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습득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Title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습득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Vocabulary Acquisition and Learning Attitudes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임은희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거꾸로 교실은 학습자가 교사로부터 기본 개념에 대한 강의를 교실에서 듣고 이와 관련된 응용 학습을 집에서 과제로 하던 기존의 교실 수업을 거꾸로 하는 것으로, 학습자가 기본 개념을 집에서 학습하고 이와 관련된 응용 학습은 교실에서 교사 또는 다른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면서 학습하는 수업이다(Bergmann & Sams, 2012). 이러한 거꾸로 교실은 학교에서 보다 심도 깊은 학습이 가능하고 교사와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이 활발해진다는 장점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거꾸로 교실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거꾸로 교실에 대한 국내의 대부분의 연구는 과학, 수학, 교육공학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고(김남익, 전보애, 최정임, 2014; 이종옥, 김인근, 2015; 정진아, 배진호, 소금현, 2015), 영어교육에서의 연구는 소수를 제외하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김용석, 2015; 이승은, 2015; 이동한, 2015, 임정완, 2015).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교육의 여러 분야 중에서 학습자 주도의 거꾸로 학습이 적용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어휘 습득에서의 거꾸로 학습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영어 어휘 학습에 거꾸로 교실을 적용하여 거꾸로 학습이 어휘 습득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험은 서울의 K고등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받는 15명과 거꾸로 교실 수업을 받는 45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전통적 강의식 수업은 PPT를 활용한 어휘 학습 자료로 학교에서 10분간 강의를 듣고 5분간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고, 십자낱말 퍼즐(crossword puzzle) 과제물이 주어졌다. 거꾸로 교실 수업은 집에서 어휘 학습 자료를 미리 학습해오면, 수업시간에 5분간 질의응답 시간을 가진 뒤 10분간 십자낱말 퍼즐을 그룹 활동으로 실시하였다. 거꾸로 학습이 영어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실험 전후에 사전·사후 어휘 평가지를 실시하여 비교하였고, 어휘 습득이 장기적으로 유지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사후 평가로부터 2주 뒤에 사후 지연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거꾸로 학습이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거꾸로 학습 과정 중의 태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자기성찰일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꾸로 학습이 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의 단기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사 위주의 강의를 들은 통제집단은 어휘 습득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은 반면, 실험집단은 전반적인 어휘 학습에 있어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학업 성취도의 향상을 수용적·생산적 어휘 지식으로 구분하여 본 결과, 두 가지 어휘 지식 결과 모두에서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향상이 없었고, 실험집단은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학습자들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으로 어휘를 학습하였을 때보다 거꾸로 학습으로 학습하였을 때 수용적·생산적 어휘 분야 모두에서 더 높은 성취도를 얻은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위주의 강의식 어휘 학습보다 학습자 주도의 거꾸로 교실 어휘 학습이 어휘 습득에 있어서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거꾸로 학습한 모든 학습자가 50% 이상의 어휘를 습득하였고, 100% 어휘 습득을 달성한 학습자가 3분의 1 이상이었다는 Martinez(2014)의 어휘 습득에 관한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거꾸로 학습이 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의 장기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사후 평가로부터 2주 뒤 사후 지연 평가를 실시한 결과,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고, 실험집단은 유의미한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학습 효과를 수용적·생산적 어휘 지식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마찬가지로 수용적·생산적 어휘 지식에서 모두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고, 실험집단은 유의미한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이는 거꾸로 학습을 통해 얻은 수용적·생산적 어휘 학습에 대한 실험집단의 단기적 성취도가 장기적으로도 유의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 교과에서 거꾸로 교실의 장기적 효과를 보기 위하여 Winquist와 Carlson(2014)이 1년의 간격을 두고 진행한 연구에서 단기적 학습효과 뿐만 아니라 장기적 학습 효과를 얻은 결과와 유사하다. 셋째, 거꾸로 학습이 영어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학습태도의 변화와 수업모형에 대한 태도 변화를 조사한 사전·사후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학습태도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영어 어휘 학습태도와 수업태도에 대한 문항을 분석한 결과,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실험집단은 유의미하게 태도 점수가 향상되었다. 즉, 거꾸로 교실을 시행한 실험집단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시행한 통제집단에 비해 영어 어휘 학습 태도와 수업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의미한다. 즉, 거꾸로 학습자들이 어휘 학습에 더 관심을 갖고, 어휘 학습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시작했으며, 수업시간에 교사와 많은 상호작용을 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Hung(2015)의 연구에서 거꾸로 교실을 영어 수업에 시행한 집단이 일반 수업 집단에 비해 수업 참여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는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결과이다. 수업모형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의 변화를 보기 위해서‘자기주도 학습’, ‘협동 학습’, ‘수업에 대한 인식’ 그리고 ‘학습 자료’로 문항을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자기주도 학습’태도에서 평균이 통제집단은 감소하였고, 실험집단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즉, 거꾸로 교실을 시행한 실험집단이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태도가 전통적 교실에 비해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협동 학습’에 대한 태도와 ‘수업모형에 대한 인식’에서는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업모형에 대한 인식’은 서로 다른 수업모형에 대해 응답하였기 때문에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보이고, ‘협동 학습’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은 거꾸로 교실의 학습 효과가 협동 학습 자체만의 영향일 수 있다고 주장한 Jensen, Kummer, & Godoy(2015)의 연구와 반대되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학습 자료’에 대한 태도의 평균차를 집단 간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이것은 똑같은 학습 자료를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교사가 가르쳤을 때보다 스스로 학습하였을 때 학습 자료에 대한 인식이 더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거꾸로 학습은 한국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수용적·생산적 어휘 습득에 단기적·장기적 학습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습효과 뿐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자기주도 학습 태도가 긍정적으로 향상되고, 수업 중 상호작용이 증가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어휘를 명시적으로 교수하지 않거나 대부분 강의식으로 수용적 어휘 지식을 가르치는 한국의 교육 상황에서 거꾸로 교실을 적용하여 학습자들이 즐겁게 어휘를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휘의 수용적·생산적 지식을 장기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또한, 나머지 언어의 네 기능(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에 대해서도 거꾸로 교실이 동일한 학습 효과를 가질지 학습 내용을 다양화하고 좀 더 넓은 범주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친 연구로 발전시킨다면 더 큰 교육적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Flipped learning is a pedagogical approach that inverts the flow of the traditional classroom. In a traditional classroom, students listen to the teacher's lecture and are given various types of activities as homework. Conversely, in a flipped classroom, students study material beforehand and come to class prepared. Having already studied the basic concepts to be discussed in the class, students instead complete various activities in class with the teacher and their peers, thereby encouraging inter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Due to recent interest in these qualities,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has become pervasive; however, studies on flipped learning in Korea have thus far been limited to fields such as science, math, educational technology (Jung, Bae, & So, 2015; Lee & Kim, 2015; Kim, Jeon, & Choi, 201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vocabulary acquisition and learning attitudes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40 freshman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which used flipped classroom model, and a control group, which used the traditional classroom. They were examined for 5 weeks from the third week of March to third week of April, 2016.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 group studied the lecture material at home and wrote a reflective journal before class. During class, they solved crossword puzzles as a group. The participants of the control group attended lectures on vocabulary in class and solved crossword puzzles on their own as homework. Vocabulary tests were conducted both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examine the participants' vocabulary along with pre- and post-experiment surveys to examine their learning attitudes. A delayed vocabulary test was then conducted two weeks after the experiment had concluded to examine any long-term effects. The implementation of the flipped classroom had three major effect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First, the flipped classroom helped the students attain better learning outcomes in terms of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skills. That is to say, the flipped classroom students proved better able to both understand the vocabulary they had learned when they saw it used in context and use it in sentence-writing situations. Second, the learning outcomes from the flipped classroom were retained even two weeks after the experiment according to the delayed test. Contrary to conventional learning research outcomes, in which vocabulary acquisition is often lost in the long-term (Choi, 2015; Go, 2015), the flipped classroom students reported in the survey that they acquired and remembered vocabulary better by self-directed and collaborative learning.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that was conducted after the experiment to investigate qualitative changes in learning attitudes of the experiment group, the participants of the flipped classroom responded positively to English vocabulary learning, English classes,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material. They reported that they had begun to spend more time studying vocabularies, assess their own learning, change their learning strategies, and interact more with their teac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lipped classroom not only promotes learning achievements but also encourages students to lead their own learning and interact actively in class (Bergmann & Sams, 2012). In conclusion, the flipped classroom promoted the vocabulary acquisition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receptive and productive skills, which was shown to have a lasting effect. In addition, the flipped classroom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learning attitudes. Thus, the implementation of flipped learning will enable Korean instructors not only to explicitly teach vocabulary but also to encourage productive skills of vocabulary and self-directed, interactive learning to take place in class. Given the positive results, there is a need for more investigation of the flipped classroom on various skills of Englis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