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2 Download: 0

정적 이미지와 동적 이미지를 활용한 어휘 학습이 초등 학습자들의 영어 어휘 능력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정적 이미지와 동적 이미지를 활용한 어휘 학습이 초등 학습자들의 영어 어휘 능력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Vocabulary Learning Utilizing Visual Aid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Acquisition and Attitude : Static Image Versus Dynamic Image
Authors
류혜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주
Abstract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목표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기초적인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으며, 이러한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중심에 있어서의 핵심적인 교육은 어휘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어휘 교육을 위하여 다양한 학습 자료들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는데, 초등 학습자들의 경우 다양한 학습 분야에 걸쳐 시각 자료의 활용도가 높은 만큼 어휘 학습 자료로서의 시각 자료에 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시각 자료의 범위가 컴퓨터 기술의 발달과 그래픽 디자인 기술의 진화로 그림, 혹은 사진과 같은 정적 이미지의 사용을 넘어서 애니메이션이나 비디오와 같은 동적 이미지의 활용으로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어휘 학습에 있어서의 동적 이미지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주로 동적 이미지를 활용한 학습의 효과성을 전통적인 어휘 학습의 효과성과 비교하는 연구들이 다수이다. 또한 해외 선행 연구들 중 정적 이미지와 동적 이미지의 효과성을 비교한 연구들은 대부분 정적 이미지 어휘 주석과 동적 이미지 어휘 주석을 통한 우연적 어휘 학습에 관한 연구들로 명시적인 어휘 학습에 있어서의 두 시각 자료의 효과성을 비교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정적 이미지와 최근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동적 이미지(동영상)의 효과성을 명시적 어휘 학습 자료로서 비교하고자 한다. 서로 다른 시각 자료인 정적 이미지와 동적 이미지의 활용이 초등 학습자들의 영어 어휘 능력과 영어 어휘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소재의 사립 초등학교 4학년 84명을 대상으로 2주 동안 총 4회의 연구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이미지를 활용하여 어휘 학습을 실시하는 실험 집단과 동영상을 활용하여 어휘 학습을 실시하는 실험 집단, 그리고 모국어의 설명과 해석을 활용하여 어휘 학습을 실시하는 통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에 앞서 사전 기초 조사와 사전 어휘 학습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목표 어휘 선정을 위한 사전 어휘 평가도 진행하였다. 실험이 끝난 직후, 사후 어휘 능력 평가와 사후 어휘 학습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2주 후에는 지연 어휘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직후 시행된 사후 어휘 능력 평가에서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Scheffe 사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이러한 차이는 이미지를 활용한 집단과 동영상을 활용한 집단 간의 평균 점수의 유의미한 차이로 인해 비롯된 것이었으며 이미지를 활용한 집단의 평균 점수가 동영상을 활용한 집단의 평균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를 통해 초등 학습자들에게 이미지를 활용한 어휘 학습이 동영상을 활용한 어휘 학습보다 더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학습자들의 사후 어휘 평가 결과를 비교해본 결과, 세 집단의 상위 학습자들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 학습자들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학습자들의 사후 어휘 평가에 대한 사후 검증 결과, 이미지를 활용한 어휘 학습이 동영상을 활용한 어휘 학습보다 하위 학습자들에게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2주 후 지연 어휘 평가 결과 세 집단 간의 지연 어휘 능력 평가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세 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학습자들 간의 지연 어휘 평가 결과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어떠한 시각 자료가 학습자들의 지연 어휘 능력에 더욱 유의미한 효과를 주는지 판단할 수 없었다. 셋째, 서로 다른 시각 자료의 활용이 초등 학습자들의 영어 어휘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 설문을 분석한 결과, 동기 유발 영역에서 세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 검증 결과 이는 동영상을 활용한 집단과 모국어를 활용한 집단 간의 평균의 유의미한 차이로 인해 비롯된 것으로, 동영상을 활용한 어휘 학습이 모국어를 활용한 어휘 학습보다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하는데 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세 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학습자들 간의 사후 설문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각 집단 내 학습자들의 영어 어휘 학습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설문 조사 결과를 비교한 결과, 이미지를 활용한 어휘 학습은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상승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동영상을 활용한 어휘 학습은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동기유발에 관한 전반적인 정의적 영역에 걸쳐 긍정적인 변화의 양상을 이끌어내었다. 반면 모국어를 활용한 통제 집단의 경우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에 긍정적이지 못한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학습자 수준별로 태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상위 학습자들 중 이미지를 활용한 집단의 태도 변화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찾아볼 수 없었으나, 동영상을 활용한 집단의 학습자들은 흥미도, 자신감, 동기유발의 모든 측면의 태도 점수에서 유의미한 상승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모국어를 활용한 집단의 경우, 흥미도와 동기유발의 점수가 유의미한 하락을 나타내어 긍정적이지 못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반면 하위 학습자들의 경우 동영상을 활용한 집단의 태도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이미지를 활용 집단과 모국어를 활용 집단에서는 어휘 학습에 대한 자신감이 유의미한 상승을 보여 이미지를 활용한 집단과 동영상을 활용한 집단의 상위 학습자들과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학습자들의 개방형 설문을 분석한 결과 이미지를 활용한 집단의 학습자들 중 다수의 학습자들이 이미지나 사진을 단어와 연결시켜 함께 기억하는 성향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동영상을 활용한 집단의 학습자들은 동영상 활용에 많은 흥미와 호기심을 보였으며, 동영상 덕분에 단어를 쉽게 이해하고 외웠다고 답변한 학습자들도 있었으나, 단어를 이해하지 못했다거나 단어의 뜻을 모르겠다고 응답한 학습자들도 존재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사후 및 지연 평가 결과와 사후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정적 이미지의 활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던 만큼, 초등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어휘 학습에서 교사는 정적 이미지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학습자들이 영어 어휘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고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Pavio(1986)의 주장대로 다수의 학습자들이 어휘와 관련된 이미지나 사진을 단어와 연결시켜 함께 기억하는 성향을 보였으며, 학습자들은 이미지를 활용한 어휘 학습에 많은 관심과 흥미를 보였다. 특히나 하위 학습자들의 경우 이미지를 활용한 어휘 학습을 통해 영어 어휘 학습에 대한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동적 이미지의 교육적 효과는 입증된바 있으나 학습자의 특성이나 학습 내용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교사는 동영상의 활용에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의 사후 및 지연 어휘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동영상을 활용한 집단의 평균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사후 설문 조사 결과에서도 몇몇의 학습자들이 동영상을 활용한 어휘 학습을 통해 단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는 동영상의 역동적인 특성으로 인해 학습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거나, 동영상의 흥미로운 장면들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어휘 학습보다 동영상 자체에 더 집중하게 하여 주의를 산만하게 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이나 수업의 흥미도를 높이기 위해 매체를 활용하는 것이 때로는 학습자들의 주의를 분산시켜 학습자들의 학습을 저해할 수 있음을 명심하고, 학습자들의 외적 인지 부하를 가중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동영상을 활용해야할 것이다. 셋째, 교사는 시각 자료로서의 정적 이미지와 동적 이미지를 영어 어휘 수업에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선행 연구들에서 정적 이미지와 동적 이미지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에 대해서 결과들이 상이했지만, 분명한 것은 두 이미지 모두 어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료라는 것이다. 본 연구의 사후 및 지연 어휘 평가 결과에서는 정적 이미지의 활용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보였으나, 사후 설문 조사를 살펴보면 동적 이미지인 동영상의 활용이 학습자들에게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다. Arguel과 Jamet(2008)의 연구에서는 동적 이미지인 동영상의 이점을 유지하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동영상들의 주요 장면을 담은 정적 이미지를 결합함으로서 효과적인 학습 결과를 낳았는데, 이는 이미지와 동영상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매체임을 확인시켜준 결과였다. 이처럼 교사는 정적 이미지와 동적 이미지의 장점을 잘 활용하되 각각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현명하게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어휘 학습에 있어서 시각 자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교사는 학습자들의 영어 능숙도를 반드시 고려해야한다. 사후 및 지연 평가 결과와 사후 설문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시각 자료의 활용이 상·하위 모든 학습자들에게 똑같이 효과적이거나 긍정적인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는 영어 능숙도에 따른 학습자들의 선행 지식의 차이와 학습자들마다 느끼는 외적 인지 부하가 다르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또한 개방형 설문 조사에서도 학습 활동을 어려워하거나 부담스러워 한 학습자들의 응답을 찾아볼 수 있었는데, 몇몇의 하위 학습자들에게는 어휘 수업 활동이 부담감을 높이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교사는 모든 학습자들에게 모든 종류의 시각 자료가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지양하고, 학습자의 능력이나 영어 능숙도를 고려하여 시각 자료를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의 부담감을 가중시키지 않는 한도 내에서 학습의 양과 난이도를 조절하는 유연함을 가져야 할 것이다.;Visual aids are highly utilized in various subjects as they are widely acknowledged as an effective tool for learning.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graphic design technology, multimedia-learning environments have developed from static images, such as illustrations and pictures to dynamic images, such as videos and animations. As the dynamic images have become increasingly common in educational materials, rece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ove their effect. However, most of studies have been performed in a more traditional way by comparing each visual aid with a definition or an explanation of the word in the L2 or in L1. 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which compares the effect of the different image types: static images, versus dynamic images. Furthermore, very few of the studies, which showed that using dynamic images have more advantages over static images, have not shown dynamic images to be consistently superior to static images. Thus, one research question has been aroused in the study of learning with visual aids(images): How do effects differ with different image types for vocabulary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visual images in vocabulary learning, namely static images versus dynamic images (videos). To explore how static images and dynamic images have an effect on English vocabulary acquisition and attitudes toward vocabulary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a total of 84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two week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experimental groups and 1 control group.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utilized images as a static image and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utilized videos as a dynamic image in vocabulary learning. The definition or the explanation of each target word in the L1 was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students. Prior to the experiment these three groups of students were also classified as high level and low level students through the school’s level test. Also prior to the experiment, an affective survey and a pre-vocabulary test for selecting the target vocabulary were carried out. After finishing the experiment, a post vocabulary test and affective survey were conducted. Two weeks later, the participants also took a delayed vocabulary test to assess their vocabulary reten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t vocabulary test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age group and the video group. The imag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the post test than the video group. This means that using images brings more positive effects than using video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post vocabulary test results of high level students in thre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low level students of the three groups in the post vocabulary test results. The low level students in the imag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post test compared to the low level students in the video group. Thus, we can conclude that using images is more effective than using video for low level student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layed vocabulary test among the thre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when taking the high and low levels of the three groups into consideration either.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tell which image type is more effective at improving the students' retention vocabulary knowledge. Third, a post survey to compar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images on students' attitude toward English vocabulary learning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To verify the difference, Scheffé's post test was conducted. The post test verification showed that using videos had a more positive influence on motivating students than using L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the comparison of the post affective survey of high level and low level students within the three groups. Fourth,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pre and the post affective tests of the three groups, the image groups showed an improvement in confidence in language learning. The video groups showed positive change in the attitude of all three areas: interest, confidence, and aroused motivation. As for the results, which compared the pre and the post affective test of high and low levels for the three groups, the high level students who used images didn't show any change in attitude toward language learning, but those who used video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attitude of all three areas: interest, confidence, and aroused motivation. Low level students who used images showed improvements in confidence with regard to language learning, while those who used videos showed no difference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st open questionnaires, many participants in the image groups tended to use pictures as retrieval cues to remember vocabulary. Also, participants who used videos showed a great interest and curiosity toward the video. However, some students expressed that they couldn't infer or guess the exact meaning of the vocabulary through the videos. This shows that dynamic images can be seen as an attractive material for the learners, but it is not always effective for learning vocabula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