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4 Download: 0

학업 저성취 대학생의 특성탐색 검사 문항개발 및 타당화

Title
학업 저성취 대학생의 특성탐색 검사 문항개발 및 타당화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Questionnaire for Exploring Characteristics in College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Authors
임이랑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대학의 학습 환경은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에 있어서 큰 변화를 요구한다. 대학에서는 주체적으로 학습계획을 세우고 실행해나가는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이 중요한데, 이와 같은 학습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할 경우 학생들은 학업에 어려움을 겪거나 학업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실제로 많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생활을 스스로 구조화해야 하는 상황에 부적응하여 여러 가지 학습문제를 보인다. 이러한 학습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학업 실패가 반복되게 되는데, 이를 극복하지 못할 경우 개인의 정서 및 대학생활 전반에까지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 볼 때 학업 저성취 대학생에 대한 이해와 지원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그 심각성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학에서의 학사경고 및 학업 저성취 대학생 관련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며, 체계적인 맞춤형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서는 학생의 개인내적특성, 학습역량, 학습환경 및 지지 등 전반적인 영역을 포함한 측정문항을 통해 종합적인 관점에서 보다 정확한 원인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항을 활용하면 학업실패에 이르기 전에 위험군 학생들의 취약한 부분을 파악하여 상담 및 개입을 계획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직전 학기 학사경고를 경험한 대학생과 직전 학기 평점 2.9미만(4.3만점) 또는 3.0미만(4.5만점)의 학업실패 위험군 대학생을 선별하고, 학업 저성취 대학생의 특성탐색 검사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학업 저성취 대학생의 학업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3가지 영역(개인내적특성, 학습역량, 학습환경 및 지지)으로 설정하고, 각 영역별 하위 요인 및 측정문항 추출을 위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델파이 분석 결과 도출된 115개 초기문항의 적절성을 검토하고자 문항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요인분석을 위해 학업 저성취 대학생 59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차타당도 검증을 위해 592명의 표집을 무선 할당하여 203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389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요인분석을 통해 확정된 문항에 대해 문항내적 일치도인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다. 다섯째,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학업 저성취 대학생의 특성탐색 검사 문항과 학업적응 척도 간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또한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학업 저성취 집단과 학업우수 집단의 특성요인 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SPSS 22.0과 AMO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72문항, 17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17개의 요인은 인지전략, 학습몰입,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적 대처, 학습습관, 또래지지, 교수지지, 책임감, 부모지지, 자아존중감, 학습지원, 강의만족도, 과제관리, 학습환경, 통제성, 긍정성, 결과기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다. 둘째,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얻어진 17개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파악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63문항, 16개 요인으로 모형이 수정되었다. 16개 요인이 개인내적특성, 학습역량, 학습환경 및 지지 영역으로 수렴하는 3 요인 위계 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적합도가 기준에 부합한 것으로 나타나 구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셋째,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학업 저성취 대학생의 특성탐색 검사 문항과 학업적응 척도 간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를 산출한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공인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학업저성취 집단과 학업우수 집단의 특성요인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준거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업 저성취 대학생 특성탐색 검사 문항의 의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업 저성취 대학생의 특성요인에 학생 개인의 내적특성과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요인들을 포함시켰으며, 학업 저성취 대학생으로 대상을 한정시켜 요인구조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본 측정문항은 대상의 특수성에 기반하여 타당화한 척도로써 복합적인 학업 저성취의 원인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종합적인 지원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Educational environment of a university demands significant changes to learning in a studen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d execute an academic plan via self-directed learning in a university, for if adaptation to such fails,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ies or even failure in education. There are many cases of college students unsuccessfully adapting to a self-systemized lifestyle, resulting in many academic problems. If such issues are unresolved, failure is repeated, and if not overcome, negative influence is impacted upon personal emotion and overall college life. Thus,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the academic underachievers is important. Despite the seriousness and the importance, no systematic customized support is available due to a lack of research in academic probation and academic underachievers. For effective support to be met, an accurate analysis via comprehensive approach using measuring tools that encompass analysis on student’s internal trait, learning competency, learning environment & support and others areas is necessary. Such scales can further be used for predicting risk groups who will benefit from planned counseling and intervention before academic failure, while being abl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help provided. This research selected students who experienced academic probation from immediate previous semester and at-risk students with immediate previous semester GPA of below 2.9 (out of 4.3) or 3.0 (out of 4.5), and justified the need for developing an assessment questionnaire for exploring characteristic factors in academic underachievement. Research process was as follows. Three areas of influence (internal trait, learning competency, learning environment & support) in academic performance underachievement in college students were se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 Delphi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ablish measureable values in sub-factors. Second, adequacy analysis of the 115 questions established through Delphi analysis was performed. Third, a survey was performed on 592 academically underachieving students for factor analysis. 203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maining 389 students t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cross validity verification. Fourth, Cronbach’s alpha value was calculated for item internal consistency in the confirmed questions via factor analysis. Fifth, a correlation between college academic underachievement characteristics questionnaire and student academic adaptation scale was measured to test for certified validity. Also, verification of disparity between academically underachieving and overachieving groups was performed for determining the criterion validity. The research was done with SPSS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analytic program, and a summary of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72 questions and 17 factors were extracted vi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7 factors included: Cognitive strategies, learning concentration, active stress management, learning habits, peer support, faculty support, responsibility, parental support, self-esteem, academic support, lecture satisfaction, assignment management, learning environment, controllability, optimism, expectant results, and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for adequacy of the 17 factors obtained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hich resulted in changes from original to 63 questions and 16 factors.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as fit for the model of three criteria of internal trait, learning competency, and learning environment & support vi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rd, concurrent validity was verified as significant by calculating correlations between college academic underachievement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adaptation measures. Criterion validity was verified as significant by measuring differences in factors between academically underachieving students and academically overachieving students. Lastly, importance of Development questionnaire for exploring characteristics in college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as well as the implications for continued research a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