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6 Download: 0

상호복합텍스트성을 기반으로 한 문식성 교육 연구

Title
상호복합텍스트성을 기반으로 한 문식성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Literacy Education Based on Intermultitextuality
Authors
한지수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현대는 복합양식매체(Multimedia)의 시대이다. 개인의 삶은 물론 공동체의 특성도 이전과는 달라졌는데, 다양한 매체와 플랫폼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것이 개인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방식이자 소통의 기반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기존의 문식 능력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에 직면하게 되었고, 글을 읽고 쓸 줄 모르는 사람이 아니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21세기 문맹자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에 국어교육은 새로운 문식 능력, 즉 시대에 맞는 소통 능력의 필요성을 요구받는 상황에 직면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대의 문식 환경을 고려하고, 시대가 국어교육에 요구하는 능력을 키워주기 위하여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론적’차원의 상호텍스트성의 개념은 무한히 확장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이에 ‘상호매체성(Intermediality)’, ‘상호문화성(Interculturality)’과 같이 상호텍스트성의 대상에 대한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국어교육적 활용 차원’의 상호텍스트성은 단순히 텍스트와 텍스트의 주제에 대한 관계적 연관성을 의미하여, 학습자들이 하나의 본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 보조 텍스트를 활용하는 내용 이해의 수렴적 차원에 그치고 있다. 이는 이론적 차원과 교육적 차원의 괴리가 점차 커지고 있는 것으로, 상호텍스트성의 교육적 가치나 역할을 기반으로 한 학습 목표나 활동의 제시, 더 나아가 단원 구성의 원리이자 교육적 방법으로 활용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다. 즉,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교육적 활용은 복합양식 텍스트의 내·외적 관계성을 다각도로 조망하거나 현대의 문식 능력 향상에 일조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론적’ 개념의 상호텍스트성 범주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교육적 활용 차원’의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고 현대의 문식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적 방안으로써 ‘상호복합텍스트성(Intermultitextuality)'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호복합텍스트성’은 ‘복합양식매체(Multimedia)’의 기반을 고려하며, 복합양식 텍스트(Multimodal Text)를 대상으로 하여, 그 특성을 상호텍스트성의 이론적 포괄성과 함께 살리는 ‘교육적’ 차원의 상호텍스트성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Ⅱ장에서 복합양식 텍스트와 새로운 문식성과 관련하여 상호텍스트성을 재개념화할 필요성을 밝힌 후에, ‘상호복합텍스트성’의 특성을 ‘대상 텍스트(text)의 확장과 소통 방식(mode)의 차이’, ‘맥락의 확장과 다차원적 관련성’, ‘수용과 생산의 통합성과 주체성’, ‘집단 지성 활용’을 기준으로 ‘기존의 교육적 상호텍스트성’과 비교하여 정리한다. Ⅲ장에서는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상호텍스트성의 재개념화 필요성과 상호복합텍스트성의 역할과 가능성을 확인하고, 교육과정과 교과서 상에서의 상호텍스트성과 복합양식매체의 반영 양상을 비교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서 밝힌 ‘상호복합텍스트성’을 기반으로 재구성한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 등을 통하여 전자 교과서로 구현될 수 있는 하나의 단원을 스토리보드로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복합양식매체의 국어교육적 수용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에서 더 나아가 실제적인 교육 목표와 방법적 원리에 대해 논의하였다.;The present age is an era of multimedia.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ives and communities are changed compared to the past, since selecting and utilizing a variety of media and platforms become a way of displaying personal identities and a foundation of communication. Therefore, the challenges that cannot be solved by the existing literal capabilities occur with the appearance of illiterate persons who are not able to communicate through various media rather than those who are simply unable to read and write texts. Thus, it is requir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ommunicating competence suited for the new era, that is, new literal capabilities.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intertextuality’ to considering the recent environments of literacy, enhancing the demanded capabilit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oncept of intertextuality in terms of ‘theory’ has the potentials which can be infinitely expanded. Thus, the subjects of intertextuality become extended, such as ‘intermediality’ and ‘interculturality’. However, the intertextuality in terms of ‘the utiliz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imply implicates the relational correlation of texts and text-subjects. It is limited to the convergence of content understanding to use sub-texts for learners’ comprehensions of a single main text, which leads to the increase of gap between theoretical dimension and educational dimension. The educational values and roles of intertextuality are not applied to the suggestion of learning objectives or activities as well as the principles of organizing sections and educational methodologies. In other words, the existing awareness and educational application of intertextuality do not contribute to the multidimensional prospects of internal/external relations of multimedia texts or the improvement of literacy in the present age. Accordingly, this study tries to present ‘intermultitextuality’ as an educational method to overcome the restriction in terms of ‘the educational utilization’ that cannot reach the category of intertextuality in terms of ‘theoretical’ concept for the improvement of the literal capabilities in the present age. Considering the basis of ‘multimedia’, intermultitextuality is the intertextuality in an educational dimension to highlight the features of multimodal text along with the theoretical comprehensiveness of intertextuality. In Chapter Ⅱ of this study, the necessity to re-conceptualize intertextuality regarding the new literacy of multimodal text is explored. Then, the natures of ‘intermultitextuality’ are organized as comparing them to ‘the existing educational intertextuality’ by the standards of ‘the expansion of target texts and communication difference’, ‘the expansion of contexts and multidimensional relevance’, ‘the integrity and subjectivity of acceptance and production’, ‘the utiliz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Chapter Ⅲ, the necessity of re-conceptualizing intertextuality and the roles and possibilities of intermultitextuality are examined through Delphi survey, and the reflecting aspects of intertextuality and multimedia are compared. In Chapter Ⅳ, a storyboard of a section that can be implemented in electronic textbook is designed based on the reorganized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activities regarding ‘intermultitextuality’ explained above. This study attempts to discuss the actual learning objective and methodological principles that go beyond the discussion on the necessity of accepting multimedia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n eventual way. Nevertheless, future discussions on the actual application and complement of the designed educational plan ar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