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Xu, Xue-
dc.creatorXu, Xue-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1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4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42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quisition of connective suffix ‘-는데’. in respective semantic categories by the Chinese native speaker who learns Korean Language. The semantic categories are [Present Background], [Detailed Explanation], [Contrast], [Concession], [Basis·Grounds]. Examine were proceeded to investigate the acquisiton of ‘-는데’ excluding [Concession] meaning. In chapter I, existing researches will be reviewed which cover the acquisition of ‘-는데’ by second language learners and education plan of ‘-는데’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necessity to examine the perspectives of language acquisition became apparent and therefor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designed in this context. Firstly,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proficiency of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the study covers what kind of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 usage of each connective suffix in each category of meanings of ‘-는데’ by the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and by Korean native speakers. Secondly, after comparing with ‘-는데’ and other connective suffixes with similar semantic functions, two will be confirmed by the study, the one is whether the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prefer using ‘-는데’, and the other is what kind of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 preferences of the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and those of Korean native speakers. In chapter II, semantic attributes and morphological/syntactic restrictions of ‘-는데’ in each semantic categories of ‘-는데’ were examined. Then, ‘-는데’ and other connective suffixes were compared in each semantic categories. furthermore, existing Chinese grammar which is corresponding to ‘-는데’ will be compared to ‘-는데’ and to what extend the correspondance can be executed were also examined in each semantic categories. In the following chapter, chapter III, research objects, research tool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procedure were designe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with 64 questions of fill-in-the-blank exercise. The research objects consist of 50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with advanced or intermediate level and 25 Korean native speakers. Chapter IV covers result of the research. Firstly, in overall acquisition of connective suffix ‘-는데’, Chinese learners both advanced or intermediate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Korean native. Specifically, [Present Background], [Basis·Groun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n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etailed Explanation], [Contrast] section. Secondly, Chinese learners showed considerable fondness of using ‘-는데’ rather than other connective suffix. But Korean native preferred to using ‘-는데’ in [Present Background], and [Detailed Explanation]. Still, in [Basis·Grounds] section, both Chin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preferred to using ‘-니까’. In [Contrast], Korean native preferred ‘-지만’ to ‘-는데’ but in [Detailed Explanation] Korean native preferred to using ‘-는데’than that of Chinese learners. In the final chapter, chapter V,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to this study were describ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rough the result of study on the acquisition of ‘-는데’, the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usage aspect of ‘-는데’ was examined and the reasons for errors were verified. Also, the necessity to emphasize the difference in semantic attributes between ‘-는데’ and other connective suffixes with similar semantic function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actices were revealed. However, this study failed to reveal the morphological/syntactic acquisition of the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 And in the multiple semantic functions of ‘-는데’, the discourse pragmatic function as a final ending was not covered. Those ar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본고의 목적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결어미 ‘-는데’의 각 의미 유형별 습득 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본고는 ‘-는데’의 의미 기능을 크게 [배경 제시], [상세 설명], [대조], [양보], [근거·이유] 5가지로 보고, 그 중 [양보]의 의미를 제외하여 ‘-는데’의 의미 유형별 습득 양상을 실험을 통해서 검사하였다. Ⅰ장에서는 제 2 언어 한국어 습득자의 연결어미 ‘-는데’의 습득 양상과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본 후 이를 통해 ‘-는데’의 습득 양상에 대한 실험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숙달도에 따라 ‘-는데’의 각 의미 유형 습득 양상이 한국어 모어 화자의 사용 양상과 차이를 보이는지를 의미 유형별로 알아보았다. 또한 ‘-는데’의 각 의미 유형별로 ‘-는데’ 외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연결어미들을 확인하고 제시하여 두 연결어미 가운데 ‘-는데’의 선호도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Ⅱ장에서는 연결어미 ‘-는데’의 각 의미 유형에서 ‘-는데’의 의미 특성, 형태·통사적 제약을 살펴본 후 각 의미 유형에서 ‘-는데’ 외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연결어미들을 알아보고 이들 연결어미들과 ‘-는데’의 쓰임을 비교하였다. 또한 각 의미 유형별로 ‘-는데’와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Ⅲ장에서 연구 대상, 연구 도구, 연구 방법 및 연구 절차를 설정하였다. 실험 과제는 ‘빈칸 채우기’로 총 6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은 중국어권 중·고급 학습자 50명과 한국어 모어 화자 2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Ⅳ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는데’의 전체 의미 유형 습득에서 중국어권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국어권 고급 학습자는 중급 학습자보다 한국어 모어 화자와 더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의미 유형별로 보면 [배경 제시]와 [근거·이유] 의미에서는 세 집단 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상세 설명]과 [대조] 의미의 습득에서는 중국어권 고급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중국어권 학습자의 연결어미 선택은 [배경 제시]와 [상세 설명]의 의미 유형에서는 ‘-는데’에 편중되었고, [대조] 의미에서는 ‘-지만’, [근거·이유] 의미에서는 ‘-니까’에 편중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경우, [배경 제시], [상세 설명]의 의미에서는 ‘-는데’를 선택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근거·이유]의 경우 ‘-니까’의 선택 비율이 높았는데 이는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결과와 유사하다. 하지만, [대조]를 표현하기 위해서 한국어 모어 화자는 ‘-지만’보다 ‘-는데’를 더 많이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 설명] 의미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가 중국어권 학습자 집단보다 ‘-는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본고는 실험 연구를 통해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연결어미 ‘-는데’의 사용 양상을 알아보고 오류의 원인을 다시 검증하였으며, ‘-는데’와 유사한 의미 기능을 가진 다른 연결어미 사이의 의미 특성의 차이점을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강조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형태·통사적 습득 양상을 연구 대상에 포함하지 못했으며, ‘-는데’의 다중 의미 기능 중 종결어미로서의 담화 화용 기능은 다루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지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3 C. 연구 문제 5 Ⅱ. -는데의 통사 의미적 특성 8 A. [배경 제시]와 [상세 설명]의 -는데 11 1. 의미 기능 11 2. 형태통사적 제약 15 3. -(으)니까와 비교 18 4. 중국어 대응 표현과 비교 22 B. [대조]의 -는데 24 1. 의미 기능 24 2. 형태통사적 제약 30 3. -지만과 비교 32 4. 중국어 대응 표현과 비교 35 C. [양보]의 -는데 36 1. 의미 기능 36 2. -어도, -더라도과 비교 39 3. 중국어 대응 표현과 비교 40 D. [근거이유]의 -는데 41 1. 의미 기능 42 2. 형태통사적 제약 43 3. -어서, -(으)니까와의 비교 45 4. 중국어 대응 표현과 비교 48 Ⅲ. 연구 방법 51 A. 연구 대상 51 B. 연구 도구 52 1. 숙달도 분류 검사 도구 52 2. 연결어미 -는데 습득 검사 도구 55 C. 분석 방법 61 D. 연구 절차 62 Ⅳ. 연구 결과 64 A.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어권 학습자의 -는데 사용 64 B. 의미 유형에 따른 연결어미 선호 양상 85 Ⅴ. 결론 및 논의 101 참고문헌 104 부록 1. -는데의 습득 검사 도구 107 부록 2. 숙달도 검사 도구 112 ABSTRACT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97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는데’ 습득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Acquisition of Connective suffixe ‘-는데’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dc.format.pagevii, 11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