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9 Download: 0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四字成語) 습득 연구

Title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四字成語)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usage in Korean four-letter idiom by the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of Korean
Authors
Peng, Lin Lin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四字成語) 습득 양상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가 사자성어 습득에 주목한 이유는 한·중 사자성어에 관한 연구가 한·중 사자성어의 형태·의미 대조, 분석이나 사자성어 교육 방안에 중심에 두고 있는 사자성어 습득 연구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I장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한·중 사자성어를 중심으로 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II장에서는 우선 사자성어의 정의와 범위를 정하였다. 다음으로 사자성어의 분류 기준을 검토해서 사자성어의 형태와 의미를 분류 기중으로 정하였다. 그렇게 분류한 사자성어 유형은 네 가지로, 동형동의, 동형이의, 이형동의, 이형이의 사자성어다. 그리고 사자성어의 결합 양상에 따라 고유어 접사(하다, 되다), 한자 접사(적, 식, 격), 조사(의, (으)로, 에, 이/가, 을/를, 은/는, Ø) 등과 결합하는 사자성어가 있다. III장에서는 사자성어 유형을 바탕으로 실험 문항을 구성하여, 중국어권 학습자 4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중 중국어권 학습자는 숙달도 변인을 살피기 위해 숙달도 검사를 실시하여 상집단 22명, 하집단 22명으로 나누었다. 실험에는 총 24개의 사자성어를 사용하였다. 실험 문항은 사자성어의 이해와 사자성어의 사용을 2부분으로 나눠서 각 24 문항씩이다. IV장에서는 실험을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 문제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 1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이해는 한·중 사자성어의 형태·의미 대응과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연구 문제 2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사용은 한·중 사자성어의 형태·의미 대응과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연구 문제 1에 대하여 한·중 사자성어의 형태·의미 대응과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이해에 차이가 없음을 밝혔다. 또한 개별 사자성어의 정답률을 통하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한자음을 참조해서 주어진 한국어 사자성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사자성어를 선택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연구 문제 2에 대하여 한·중 사자성어의 형태·의미 대응과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자성어 사용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평균과 정답률을 통해서 학습자가 문장이 있는 상황에서 한국어 사자성어를 선택할 때 문맥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학습자가 실제 대답한 사자성어 결합양상을 통하여 학습자의 사자성어 사용 오류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던 중국어권 학습자의 사자성어 습득 양상을 밝힌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하면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사자성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quisition of usage in Korean four-letter idiom by the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of Korean. The reasons why this study aims at the acquisition of usage in Korean four-letter idiom is that researches on Korean/Chinese four-letter idiom focus either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Korean/Chinese four-letter idiom, or on the education plan of Korean four-letter idiom, but researches on the acquisition of usage in Korean four-letter idiom are still insufficient.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as explained, and the previous literatures on Korean/Chinese four-letter idiom were reviewe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lso established. In chapter II, the definition and rage of Korean four-letter idiom were defined. The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Korean four-letter idiom were reviewed and morphology and meaning of Korean four-letter idiom was selected as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for Korean four-letter idiom. The four types of classification criterion used in this study are morphologically identical and semantically identical type, morphologically identical and semantically non-identical type, morphologically non-identical and semantically identical type, and morphologically non-identical and semantically non-identical type. The combination aspects were also examined, and Korean suffix (hada(하다), doeda(되다)), Chinese affix (jeok(적), sik(식), gyeok(격)), Korean clitic (ui(의), euro/ro((으)로), e(에), i/ga(이/가), eul/reul(을/를), eun/neun(은/는), Ø) were selected. In chapter III, questionnaire was designed based on the types of Korean four-letter idiom, and tested on 44 persons of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Since the Korean proficiency of learners is a key factor to examine, the Korean proficiency test was conducted and learners were divided into a higher group of 22 persons and a lower group of 22 persons. Total of 24 Korean four-letter idioms were used in the test. The questions were divided into the understanding of Korean four-letter idiom and the usage of Korean four-letter idiom, and each part consists of 24 questions. In chapter IV, the data gathered through test were analyzed an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verified. The first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whether the difference exists i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four-letter idiom by the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of Korean in accordance with the correspondence of morphology and meaning between Korean/Chinese four-letter idiom and learner’s Korean proficiency.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whether the difference exists in the usage of Korean four-letter idiom by the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of Korean in accordance with the correspondence of morphology and meaning between Korean/Chinese four-letter idiom and learner’s Korean proficiency. To research question 1, the result is that the difference does not exist i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four-letter idiom by the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of Korean in accordance with the correspondence of morphology and meaning between Korean/Chinese four-letter idiom and learner’s Korean proficiency. Also, by reviewing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t is found that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referred to the sound of Sino Korean when selecting the corresponding Chinese four-letter idiom to the given Korean four-letter idiom. To research question 2, the result is that the difference does exist in the usage of Korean four-letter idiom by the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of Korean in accordance with the correspondence of morphology and meaning between Korean/Chinese four-letter idiom and learner’s Korean proficiency. Also, by reviewing the average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t is found that, when given a sentence, learners tend to be influenced by context in selecting Korean four-letter idiom. And learners’ usage errors of the Korean four-letter idiom were examined by reviewing learners’ actual usage of combination aspects. In the final chapter, the chapter V,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to this study were described. Shedding light on the acquisition of usage in Korean four-letter idiom by the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of Korean, which subject has not yet received enough atten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it is anticipated that more efficient teaching method of Korean four-letter idiom to Chinese native speaking learners will be developed if the information gathered through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practi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