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4 Download: 0

교재 분석을 통한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연구

Title
교재 분석을 통한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Coursebook Design for Thailand Secondary School through Coursebooks Analysis
Authors
Intrarat, Mintra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태국 중·고등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어 교육이 전국 곳곳에 있는 대학교에 활발하게 펼쳐나가고 있는 가운데 70여 개 중·고등학교에서 한국어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표준 교육과정의 미비와 표준 한국어 교재의 부재로 인하여, 한국어 교육을 운영하는 중·고등학교에서는 각자 재량에 따라 한국어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태국의 한국어 교육은 체계성과 일관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을 쉬이 짐작할 수 있다. 중등교육 기관에서 한국어 교육의 체계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개발되어야 하는 것은 모든 교육 기관에서 사용될 수 있는 표준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교재이다. 그러나 태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교수·학습은 학교마다 매우 다르므로 본 연구는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교육과정의 위계를 먼저 설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학습 위계에 따라 학습 내용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태국 중·고등학교 학습자를 위한 교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현재 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교재 분석에서 추출된 결과를 통하여 각 교재의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태국 중·고등학교 학습자를 위한 교재를 개발하는 경우, 필수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는 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I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설명하며, 현재까지 이루어진 태국 중·고등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정리하였다. II 장에는 교육과정 개발과 교재 분석에 관련된 이론들을 알아보았다. 이는 교육과정의 정의, 교육과정 개발 절차와 한국어 교육과정의 구성 원리 등 중요한 요소를 들 수 있다. 더불어, 대상 학습자가 속하여 있는 사회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태국의 기본 교육과정의 내용 및 개발 원리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재 분석의 필요성과 기존 연구에 나타난 교재 분석의 틀을 살펴보았다. III 장에는 태국 중·고등학교에서의 교육과정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태국의 한국어 교육은 각 학교마다 다르게 운영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한국어의 위계를 먼저 설정하고 이에 따른 학습 주제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학습 주제 선정에 있어서 태국 중등교육의 사회 과목 학습 주제를 토대로 하여 선정하였다. 한편, 한국어의 언어지식 내용은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에 따라 내용을 선정하여 이를 레벨별로 배열하였다. Ⅳ 장에는 현재 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기존 한국어 교재는 태국 중·고등학교 학습자에게 적합한지를 검토하기 전에 분석 대상 교재의 선정 방법과 분석 기준을 기술하였다. 그러나 교재 분석에 있어서 교재의 외적 구성을 제외하여 언어지식, 언어기술 활동, 문화 등 교재에 실려 있는 내용에만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V장에는 본 연구의 전체적인 내용과 연구 결과를 재정리하며 이를 연구의 한계점과 함께 서술하였다. 현재 국가 차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이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는 태국의 기본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또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재 분석 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 교재가 중·고등학교 학습자에게 적절한지를 살펴봄으로써 교육 현장에 적합한 교재를 선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교수법과 자세한 교수요목을 제시하지 못한 점에 한계가 있다. 이는 향후 후속 연구에서 보다 구체적인 교수요목에 대한 연가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coursebook design methods for Thai leaners in secondary school. After Korean wave has become popular among the Thais in the past decade, Thai government has realized the necessity and the learners’ nee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e government has decided to include Korean language into a second foreign language subject in secondary curriculum since 2007. Since then, Korean language course has been operated in many schools. Likewise, a number of students who study Korean language in secondary school which increases day by day has exceeded 25,000 by 2015. However, until the moment, a national standard Korean curriculum and coursebook for Thai learners is still unpublished. Though Korean education has rapidly spreaded all over the country in the past few years, this lack of systematic course management can lead to education development problems in long-term. Therefore, in order to strengthen the systemicity and consistency of Korean education in Thailand, this study has firstly reviewed related documents and selected the appropriate topic and content for the learners. Later, this study has also suggested material developing method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ng of coursebooks which is being use in secondary school at the moment. In this study, first of all, chapter 1 expl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its necessity. Also, the study showed the previous researches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especially in Thailand and Japan. Chapter 2 examined current standard curriculum of Thailand, the concept and procedure of curriculum design and coursebook analysis. While chapter 3 classified the curriculum sequence by considering a number of lessons per week with a type of courses. After examining Thailand social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 this study has also selected learning topic and content for learners. Chapter 4 investigat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ursebooks which currently used widely in secondary school.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presented methods for improving Korean language coursebook for Thai secondary school leaners. Finally, the last chapter summarized the study purpose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