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손빛나라-
dc.creator손빛나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4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45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 사회의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디지털 매체 중 언어 학습 도구인 온라인 문자 채팅의 오류 수정적 피드백 상황에서 의미협상 양상과 학습자에 대한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서 확인해 보았다. 해외 및 국내 영어 교육에서 컴퓨터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Computer-Meditated Communication: CMC) 중 문자 채팅의 학습 도구로서의 특징 및 장점을 알아보고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교사와 학습자 간 의미협상과 오류 수정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고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CMC 도구 중 동시적 매개 의사소통 도구로써 문자 채팅이 어떠한 특성과 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Smith(2003)의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에서의 의미협상 모형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와 학습자 간 반응에 대한 진제희(2004)와 이석란(2009)의 연구와 근접발달척도를 활용한 박선희(2008)의 오류수정적 피드백을 통해 의미협상 전략으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 및 절차를 밝혔는데, 온라인 문자 채팅 상황에서 중국어권 중급·고급 학습자 2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숙달도 검사 후 중급 간, 중급과 고급, 고급 간 짝 집단을 각 4개씩 설정하였으며 두 번의 채팅과 사전·사후 설문지 및 사후 오류 수정 시험지를 대상으로 삼았다. 이를 이용하여 집단 간 의미협상 양상 및 학습자의 태도를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실험의 채팅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하였다. 먼저 의미협상 양상과 전략을 집단에 따라 비교하였다. 의미협상의 구조를 빈도 분석하여 대표적인 유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교사의 신호 후 학습자의 단계에 따라 구조를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의미협상 단계별로 나타나는 교사와 학습자의 의미협상을 위한 세부 전략을 분석하였다. 촉발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오류에 한정하여 어휘, 문법 등으로 살펴보았으나, 이후 단계인 신호와 반응, 역반응 및 확인과 재확인 등은 발화자인 교사와 학습자로 나누어 집단에 따른 오류 수정을 위한 의미협상 전략의 특성을 밝혔다. 그리고 의미협상의 반응 및 역반응 단계는 어떠한 의미협상 단계 후에 일어나는지 유형화하여 살펴보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고급-고급 집단에 비해 중급-중급 집단과 중급-고급 집단이 조금 더 복잡한 의미협상의 구조를 나타내며 교사에게 정보를 요청하는 전략을 주로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은 학습자의 오류 인지 및 수용에 대해 분석한 결과로, 의미협상 과정에서 나타난 오류 인지의 성공과 실패 여부를 각 단계별로 살펴보고 오류 인지에서 수정이 나타난 단계의 빈도와 비율을 분석하였다. 반응과 확인 단계에서 중급-중급 집단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성공률이 비교적 낮았다. 또 교사 신호 후 학습자 단계에 따라 유형화한 두 의미협상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고급-고급은 학습자 반응 유형에서, 다른 두 집단은 학습자 신호 유형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사후 오류 수정 시험을 통해 오류의 수정과 인지 및 실패를 분석하였는데, 고급-고급, 중급-고급, 중급-중급 집단 순으로 수정에 성공했다. 그리고 점수화한 결과를 오류 유형으로 비교했을 때, 형태·통사에서 세 집단이 달랐고 의미협상의 유형에 따라 학습자들이 집단마다 빈번했던 의미협상 과정에서 지속적인 오류 인지와 수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임을 예상했다. 마지막으로 설문을 통해 문자 채팅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친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사전에 비해 사후 설문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집단 내 두 설문의 결과를 비교했을 때 모두 관심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 때 중급-중급과 고급-고급 집단은 추천도와 종합적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고급 간 집단은 자신감에서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사후 설문을 집단 간 비교하여 자신감과 참여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문자 채팅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오류에 대한 의미협상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발화에 집중하고 오류를 주목하게 하며, 인지와 수정으로 나아가 목표 언어에 근접할 수 있음을 추론하였다. 또 동시적 CMC 학습 도구인 문자 채팅에 대해 한국어 교육에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ighlight the effects of meaning negotiation that occurs between the student and the teacher that occurs when a student makes a mistake over online text chat, a digital tool that's commonly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irst chapter provides the motivation behind the research. The first motivation comes from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iting studies done overseas and English education in Korea, providing a context on the need for this research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 am also motivated by studies of meaning negotiation done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in context of colloquialisms.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online text chat as a synchronous CMC tool, using the model of computer-mediated negotiated interaction by Smith (2003). Furthermore, the chapter provides the foundation of the strategies chosen for meaning negotiations by providing context with studies of interactions and re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진제희(2004) and 이석란(2009). The paper also utilizes 박선희(2008)'s error correction feedback strategy that utilize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The third chapter covers the methodology and experimental design. The study focuses on 24 intermediate to advanced level students from China utilizing online text chat. Through a proficiency exam, four pairs of intermediate students, four mixed pair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students, and four pairs of advanced students were formed and given surveys regarding their affective attitude before the experiment. For the experiment, they had two online text chat sessions, where they would negotiate with teachers over errors. After the experiment, they were given a modified error test and survey measuring their affective attitude. Chapter 4 describes the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experiment with regards to the research question. It begins by repor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n the strategies utilized by the teachers during negotiations. Structure of negotiations were categorized by looking at the phase of the student after the teacher's indicators. Furthermore, impact of strategies of negotiations was analyzed across the different phases of negotiations. I categorized triggers by vocabulary, grammar, and etc, and structured the interactions in negotiation by indicators, response, and reaction to the response as well as confirmation and reconfirmation, and by the student and the teacher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differences in traits by proficiency of the language. The paper also covers student's error recognition and acceptance. It showed frequency and the proportion of whether or not the student was able to successfully notice their mistake, and whether or not they were able to correct themselves by proficiency. In addition, it was compared by the structure of negotiations that arose after the teacher's indicators. Using the results of the delayed test, I was able to look at the whether or not the students were able to fix their error and whether or not it persisted. The advanced pair were most successful in fixing their errors, then the mixed pair, then the intermediate pair. The test also indicated that the types of errors made by each of the three groups were different and through frequent meaning negotiation, I could expect that the students are able to sustain their recognition of mistakes and slowly adapt. Finally, through the survey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 was able to see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were able to develop opinions on online text chats and negotiations. All three groups were significantly more interested in online text chat,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ermediate and advance pair on whether or not they would recommend online text chat and overall opinions. All three groups had meaningful differences in confidence and participation. I was able to find characteristics and traits from these results for each proficiency pairs. The study was able to confirm that online text chat, through negotiations of meaning over the errors, the teachers were able to help the students focus on their words and help recognize their own mistake, and through correction and persistence through acceptance the student were able to get closer to learning their language of choice. There's relevance in that I was able to confirm the impact of synchronous CMC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 expect this research to continu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연구 3 C. 연구문제 9 Ⅱ. 이론적 배경 11 A. 동시적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SCMC) 11 B. 제 2언어 습득에서 의미협상과 오류 수정 14 Ⅲ. 연구방법 35 A. 연구 참여자 35 B. 연구 도구 37 C. 분석 방법 43 D. 연구 절차 49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51 A. 온라인 문자 채팅에서 집단별 교사-학습자 간 의미협상 양상 51 B. 온라인 문자 채팅에서 학습자의 오류 인지 및 수용 95 C. 온라인 문자 채팅에 따른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 변화 103 Ⅴ. 결론 및 논의 107 참고문헌 113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120 부록 2. 1차 채팅 과업-학생 A 121 부록 3. 1차 채팅 과업-학생 B 123 부록 4. 2차 채팅 과업-학생 A 125 부록 5. 2차 채팅 과업-학생 B 127 부록 6. 사전 설문지 129 부록 7. 사후 설문지 133 ABSTRACT 1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280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온라인 문자 채팅에서의 교사-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간 오류 수정을 위한 의미협상 양상과 학습자 태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negotiation for error correction between a Korean teacher and students in online text-based chat-
dc.creator.othernameSon, Bit Na Ra-
dc.format.pagevii, 139 p.-
dc.contributor.examiner이정란-
dc.contributor.examiner박성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