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배승진-
dc.contributor.author이지예-
dc.creator이지예-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5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6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564-
dc.description.abstract연구목적: 1970년대 이후, 간접흡연이 질병발생 및 조기사망의 주요 원인임이 밝혀졌다 그러나, 간접흡연에 기인한 질병위험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 수행되었던 것에 비해, 경제적 비용이나 건강결과(생존년수, QALYs)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특히, 한국은 성인남성의 흡연률이 높은 반면, 성인여성의 흡연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성인남성 흡연자에 의하여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성인여성 비흡연자의 질병위험이 크다. 또한, 직장 혹은 공공장소 내 간접흡연 규제와 비교하여, 가정 내 간접흡연에 관한 규제는 미비하기 때문에, 가정 내에서 여성이 경험하는 간접흡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 내 간접흡연에 노출된 한국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질병비용 및 건강결과를 예측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분석대상 인구집단은, 가정 내 간접흡연에 노출된 한국의 기혼여성(40세, 비흡연자)이며, 이들로 구성된 가상의 코호트를 구축하였다. 또한, 가정 내 간접흡연(혹은 배우자의 흡연)과 상관관계가 높은 네 개의 질병들(폐암, 심근경색, 뇌졸중, 및 천식)을 포함시켜 새로이 마콥 모형을 만들었으며, 이들 질병의 발생 및 사망확률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보건의료체계 관점을 따르고 있으며, 분석결과인 비용(직접의료비)과 결과(생존년수, QALYs)에 연 5% 할인율을 적용하였다. 분석주기는 일 년이며, 분석기간은 생애기간(혹은 60년)으로 적용하였다. 연구결과가 일관되는 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원 민감도분석 및 확률적 민감도분석을 수행하였다. 모형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외적 타당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기간인 생애기간(혹은 60년) 동안 5% 할인율을 적용했을 때, 가정 내 간접흡연에 비 노출된 여성과 비교하여 노출된 여성의 질병비용은 600 US 달러(24.3%) 증가하였으며, 생존년수는 0.53년(3.1%), 질보정생존년수(QALYs)는 0.73 QALY(4.8%) 감소하였다. 생애기간 동안 0% 할인율을 적용했을 때, 노출된 여성의 질병비용은 640 US 달러(5.7%) 증가하였으며, 생존년수는 3.41년(8.3%), QALYs는 3.48 QALY(10.1%) 감소하였다. 한편, 분석기간이 20년이었을 때, 노출된 여성의 질병비용은 473 US 달러(66.9%) 증가하였으며, 생존년수는 0.02년(0.2%), QALYs는 0.22 QALY(1.9%)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할인율이 높을수록 혹은 분석기간이 짧을수록, 점증적 질병비용은 증가하고 점증적 건강결과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생애기간 동안 질병비용은 상대적으로 빨리 발생하는 반면, 건강결과는 늦게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모형에 투입된 변수들의 변화에 상관없이, 분석결과가 일관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분석결과를 통해, 가정 내 간접흡연이 건강상태를 악화시킬 뿐 아니라 질병상태를 추가적으로 발생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생애기간 동안 질병비용은 비교적 빨리 발생하였다. 따라서 관련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부가 가정 내 간접흡연을 규제할 정책을 마련해야만 한다.;Background: Since 1970s, secondhand smoke (SHS) has been identified as the leading risk factor of morbidity and mortality. SHS has been special concern to Koreans where gender gap in smoking is especially high. However, health care costs and health outcomes are rarely dealt with. Purpose: To estimate lifetime health care costs and health outcomes for Korean women who were exposed to SHS at home. Methods: We newly developed a Markov model to simulate the lifetime health care costs and health outcomes of a hypothetical cohort of Korean women who were 40 years old and lived with current smokers (especially, smoking husbands). The model included four disease conditions (lung cancer, myocardial infarction, stroke, and asthma) which were known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ed with SHS exposure at home. The Korean epidemiological data were primarily used to simulate the natural history of SHS exposed women and not exposed women. We followed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health care system, and assumed to be discounted annual 5% for health care costs and health outcomes ought to reflect individual time preference. The cycle length was 1 year, and time horizon was lifetime. To evaluate the robustness of the results, probabilistic and deterministic sensitivity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SHS exposed women incurred additional $640(5.7%) (not discounted) or $600(24.3%) (discounted at 5%) in their lifetime, and live 3.41(8.3%) years (not discounted) or 0.53(3.1%) years (discounted at 5%) shorter than their comparisons who were not exposed to SHS at home. Their QALYs were 3.48(10.1%) QALYs (not discounted) or 0.73(4.8%) QALYs (discounted at 5%) lower than those of women not exposed to SHS. As discount rates increased or time horizon became shorten, the negative impact of SHS exposure on health outcome was alleviated whereas the impact on health care costs escalated, suggesting that health outcomes associated with SHS exposure may occur during later years of life while health care costs may occur during earlier years of the lifetime.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most of changes in input data and assumptions. Conclusion: SHS exposure had the negative impact on health care costs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early intervention on smoking could reduce health care costs associated to SHS exposure at ho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Ⅱ. 이론적 고찰 4 1. 간접흡연의 현황 및 규제 4 1.1 간접흡연의 특성 4 1.2 간접흡연의 현황 5 1.3 간접흡연의 규제정책 7 2. 간접흡연의 질병위험 및 비효용 9 2.1 간접흡연의 질병위험 9 2.2 간접흡연의 비효용(disutility) 11 3. 선행 비용연구 및 한계점 13 Ⅲ. 연구방법 16 1. 분석방법 16 1.1. 분석관점 16 1.2. 분석주기 및 기간 16 1.3. 분석대상 인구집단 17 1.4. 모형구축 18 2. 성과 22 2.1. 질병위험 22 2.2. 전이확률 29 2.3. 효용 33 3. 비용 37 3.1. 폐암의 비용 37 3.2. 심뇌혈관계 질환(심근경색, 뇌졸중)의 비용 38 3.3. 천식의 비용 38 Ⅳ. 연구결과 41 1. 기본분석 41 1.1 총 비용 41 1.2 총 성과 43 2. 불확실성 평가 (민감도분석, 타당도분석) 47 2.1 단원/일원 민감도분석 48 2.2 확률적 민감도분석 52 2.3. 외적 타당도분석 56 Ⅴ. 논의 및 결론 58 1. 연구의 논의 58 2. 연구의 제한점 60 3. 결론 63 참고문헌 64 부록 1. 50세 코호트의 전이경로 및 확률 75 부록 2. 60세 코호트의 전이경로 및 확률 77 부록 3. 70세 코호트의 전이경로 및 확률 79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185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가정 내 간접흡연에 의한 한국 성인여성의 질병비용 및 건강결과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마콥 모형을 이용하여-
dc.title.translatedMarkov model of health care costs and health outcomes associated with secondhand smoke exposure at home among Korean women-
dc.creator.othernameLee Jiyae-
dc.format.pageviii, 82 p.-
dc.contributor.examiner배승진-
dc.contributor.examiner임경민-
dc.contributor.examiner김선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제약산업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