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3 Download: 0

부모의 암(癌) 치료과정을 경험하는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Title
부모의 암(癌) 치료과정을 경험하는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Perceived Stress Scale for Children Experiencing Parent's Cancer Treatment
Authors
오현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덕유

김신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perceived stress of children experiencing parent's cancer treatment, an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Through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53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After two times of content validity examination by experts and the pre-test were implemented, 30 items were finally chosen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this study was conduced with fifty-four children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and eight children in the community, who experienced parent's cancer treatment. As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conducting validity, six factors were drawn. The explanatory variance of six factors was 65.73%, which means that the developed scale explained the stress of children experiencing parent's cancer treatment sufficiently. The six factors labeled as󰡐Psychological distress󰡑(10 items), 󰡐Loneliness󰡑(3 items),󰡐Burden󰡑(6 items),󰡐Closed communication󰡑(3 items),󰡐Withdrawal in social relationship󰡑(4 items),󰡐Impulsive attitude󰡑(4 items). The result of correlation with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for criterion-related validity show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73 (p<.001), which prove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For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91. As a result of a split-half reliability test, a coefficient was .85, .81 respectively, so stability and consistency of the tool were secured. Through the instrument development process above, the stress scale for children experiencing parent's cancer treatment was proved to hav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refore, The nurse could help children with a cancer parents to promote positive adaptation by assessing stress and giving nursing care at suitable moment. And It is finally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the cancer patient's family and their children.;임상현장에서 간호사는 부모가 암 치료과정 중에 있는 아동에게 발생하는 정서적, 행동적 변화를 세심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민감하고 적절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부모의 암 치료과정을 경험하는 아동의 스트레스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긍정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에서 부모의 암 치료과정을 경험하는 아동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이 질적 연구 위주로 이루어졌고, 실제 부모의 암 치료과정 중에 받는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도구가 없어 이들의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모의 암 치료과정을 경험하는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도구의 구성요소를 확인하였고, 53개 예비문항을 추출하였다.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정을 2차례 시행한 후, 만 9세 아동 5명을 대상으로 문항 이해도 조사를 거쳐 본 조사를 위한 30개 문항을 구성하였다. 서울시내 1개 병원에서 54명과 지역사회에서 8명의 연구 참여의사를 밝힌 부모의 암 치료과정을 경험한 아동을 대상으로 부모와 아동의 동의서를 받은 후 설문 조사한 62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정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6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도구의 설명분산은 65.73%로 나타나 본 도구가 부모의 암 치료과정을 경험하는 아동의 스트레스를 충분히 설명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요인 1⌟은 10개 문항으로 <심리적 고통>, ⌜요인 2⌟는 6개 문항으로 <부담감>, ⌜요인 3⌟은 3개 문항으로 <외로움>, ⌜요인 4⌟는 4개 문항으로 <충동적 태도>, ⌜요인 5⌟는 3개 문항으로 <폐쇄적 의사소통>, ⌜요인 6⌟은 4개 문항으로 <위축된 사회적 관계>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에 따라 차원별로 보면, 억압된 반응 차원의 <심리적 고통>과 <외로움> 속성, 수동-공격적 반응 차원의 <부담감> 속성, 의존적 반응 차원의 <폐쇄적 의사소통>, <위축된 사회적 관계>, 그리고 충동적 반응 차원의 <충동적 태도> 속성이 부모의 암 치료과정을 경험하는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구성요소임이 확인되었다. 준거타당도 검정은 소아우울척도를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개발된 도구와 소아우울척도와의 Pearson 상관계수는 .73 (p<.001)로 나타나 개발된 측정도구가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신뢰도는 내적일관성 신뢰도 검정 결과, 신뢰계수 Cronbach's α는 .91, 반분신뢰도 검정 결과 .85, .81 로 나타나 도구의 일관성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부모의 암 치료과정을 경험하는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모두 검정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현장에서 부모의 암 치료과정을 경험하는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적절한 시기에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의 대처와 적응을 돕고 가족 중심의 간호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암 환자의 아동과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