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삼근-
dc.contributor.author김흔-
dc.creator김흔-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6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6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629-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experiences of artist-teachers in view of the integrated lifelong learning study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patterns in the lives of the learners not only in their individual aspects but also in their social aspects. In the light of the lifelong learning, it is a good example enough to research and study because an artist-teacher's learning of remanufacturing their experiences, caused by the changes of the society, occurs in their working places, daily lives, specialized courses, and communities in various ways. However, the preceding research on the artist-teachers and their education have been performed in the types of theoretical research or actual condition survey; there was no detailed research on what kind of learning experiences they had from the viewpoint of the lifelong learning for their identities.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from various angles what kind of learning experiences artist-teachers have in their lives and to look into what kind of meanings their experiences have in forming and establishing their identities and specialization. Also,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kind of learning experiences makes the values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be internalized within the artist-teachers who are taking charge of delivering the values. In order to definitize it, this analyzed their identities and specializations that are given to them through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 Mimesis viewpoint. Ricoeur's Mimesis' three levels provide an important framework which makes it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various ways of learning that are happening comprehensively in their experiences: formal learning, non-formal learning and informal learning. It is efficient in the various analyses of the acquisition of their own specializations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of the knowledge, the process of practice and acquisition of the knowledge learned, and the process of mutual imitation, absorption, and balancing act with the other meaningful party. It helps restructure their past life, engrave the meaning of life in their present life based on the restructured past, and present the goal to the future life, and gives the insight by which they can delve into how people can form their identities in the present life. In this viewpoint, I practic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of the artist-teachers and their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identities and specializations. This work began with the interest in how an artist came to learn teaching works and become an artist-teacher who can put them into practice and I gathered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of artist-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ose that influenced the activities of an artist-teacher.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artist-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9 artist-teacher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m, I classified their all-round learning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life into the‘learning experiences until they become an artist-teacher,’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 activities of an artist-teacher into the‘Mimesis learning experiences of an artist-teacher.’The result of this study research can be abridged as the following. For the research of this topic, I have largely investigated what kinds of learning experiences artist-teachers. The learning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interviews had showed until they became an artist-teacher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aspects. First,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period of growth laid the foundation of the forming their artistic identity. In the aspect of the learning experiences of an artist, artistic identity was formed through mutual relations with the other meaningful party including their family members, based on their independence. Secondly, the learning experiences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and in the process of choosing the future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present activities of an artist-teacher, although it first brings about chaos and troubles in mind because it covers various experiences neither as an artist nor as an artist-teacher. Not only through the intellectual acquisition but also through mutual relations between other people, the range of experiences expanded and the perception changed and increased, through which they were able to get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of the methods of communication. Even through the learning experiences in the unexpected aspects due to the surroundings and others, their identities were formed by their speculation-their continual and mutual relationship as the subjective‘I’and objective‘M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learning experiences has an influence on the identity of an artist and on that of an artist-teacher. Next, the analysis on the Mimesis learning experiences with the learning experiences made in the activities of an artist-teacher is as following. The first level of learning of Mimesis is of the‘level of adaption and observation.’In the early stage of that level, they participated in the artist-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learned everything necessary for the activities of an artist-teacher, and in their class they tend to immediately and simply follow what they learned. Furthermore, they are found to share many assistances and aids with other artist-teachers through various meetings, and to form mutual fellowship and to adapt themselves to the environments. The second level of learning of Mimesis is the level of‘application and conflict.’Based upon the artist-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what they superficially understand at their early days of artist-teacher-that is, the first level of learning, they come to have the deeper awareness through their own speculation and mutual relationship with other artist-teachers, they can apply and restructure at their class. In this process, they learn and acquire their own practical knowledge with their effort to understand learners and by the modification and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learners' response at the class. Embodying their own education programs they composed and through the balancing act and compromising with learners and other figures related to the education, they continually adjust and modify themselves. When the conflicts are not solved, however, they find themselves being disappointed and avoiding others. It is the same with the conflicts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when conflicts are not modified, it comes to collapse. The third level of learning of Mimesis is the level of‘change and expansion.’Based on the self-understanding they make their own manners of class and they have the reformation of themselves. At this third level of learning of Mimesis they can see through the general state at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field with the second level of learning and the process of reformation occurs. Through this reinterpretation, artist-teachers create a learning of re-creation with their own creative frameworks. At this level of learning, they embody and reveal their own class skills that their own values are embedded in. They come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go through continual changes through Mimesis transition, and at this process the identities of artists and artist-teachers coexist and influence mutually and their own identities are formed in the synergy effect. Lastly, it is to comprehensively debate the artist-teachers' identities revealed in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phases of the identities. The identities and specializations the artist-teachers formed and established have the possibility of continually developing and advancing or unexpectedly transferring to a totally different phase. At the present time, the partakers in this study research are found to have both the identity of artist and the identity of artist-teacher, and these two identities go through balance, harmony, conflict, and modification and then finally develop into specializations. The artists and the artist-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 have the two respective identities; their identities are shown in various patterns according to the extent on which they place an emphasis. Those who place more emphasis on the identity of an artist-teacher seem to be more flexible in the pattern formation of identity. Just as studied at the learning process, they can reform themselves through the third level of learning; however, if they come across a new environment, they are apt to restart with the first level of learning and even to transfer to a different direction. The flexibility and expansion may have a positive influence, but may play a part of the instability in the employment and wages and then bring about conflicts in maintaining the artist-teachers' identity and specialization; from thenceforth it gives birth to negative results. The study research leads to the following propositions. First, it is required of more qualitatively advanced education programs than the present, namely the invention of the more departmentalized and deepened education programs that consider the degree of careers and the majoring of arts. Second, it is required of the necessity of the preparation of the governmental policy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artist-teachers, an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on the changes of the quality of life and emotion of artist-teachers. Third, it is required of the educational policy that provides the clues to the communication among the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social workers, public education teacher, and artist-teachers. Fourth, it is proposed that the artist-teachers be provided with the lifelong education as a method of adult education and the learning program of understanding themselves. The first significance and focus of this study is to try to understand the learning experiences of artist-teachers in integral and various approaches. It shows how their past learning experiences before they became an artist-teacher come to influence on the present as an artist-teacher, and how they form and establish their identities and specializations in the process of remanufacturing their experiences, and how to advance toward a new direction.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that are made during the learning process in the activities of an artist-teacher give mutual influences on the formation of specializations so that various approaches are needed in application of the learning. It is also proposed that the learning occurs simultaneously in the artist-teacher education programs, Community of Practice, and class fields, and the period when implicit knowledge is formed through the informal learning of imitation. Moreover, it is proposed of such learning as is capable of considering what may happen at the various relations, experiences, and policies concerning artist-teachers. Second, the positive change through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used to be a main topic of the study research on the learners; however, the same study research is necessary to the artist-teachers who teach those learners. It is confirmed that the same value that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eks brought the positive changes in the artist-teachers' emotion, manners of life, and the quality of life.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research didn't gain the learning only in the functional and instrumental aspects when they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activities necessary for artist-teachers but they approached for the learning for their existence, namely the reformation of themselves through mutual reactions between various relations and the internalization of the value. This presents another viewpoint regarding what kind of learning should be provided for them in the future. The present artist-teacher education programs are very efficient for the beginners as an artist-teacher because the programs are giving them the knowledge and ways they can apply right away; it is required of the necessity of the study on what kind of learning must be given to those artist-teachers who have a long career as an artist-teacher. There are many programs in the humanities classes that borrow ideas, theories and knowledge in our time; however, it is demanded of the programs that compose each one's educational philosophy specifically and help understand their own identity lucidly. ;본 연구는 학습자의 삶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 양상을 개인적 맥락뿐만 아니라 사회적 맥락을 함께 이해하고자 하는 통합적인 평생학습 연구의 관점에서‘예술가 교사의 학습경험’을 분석하였다. 평생학습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예술가 교사들은 사회 변화에 따라 자신의 경험을 재가공하는 학습이 일터나 일상에서, 전문 과정이나 공동체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기에 연구하기 좋은 사례이다. 그런데 그동안 예술가 교사와 그들을 위한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는 이론적인 연구나 실태조사가 많았고, 존재를 위한 평생학습 차원에서 실제 그들이 어떤 학습경험을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술가 교사가 삶의 과정 속에서 어떠한 학습경험들이 있었는지 다각도로 살펴보며, 이러한 학습경험은 이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며 정체성과 정체성 속에서 전문성을 어떻게 형성·구축해왔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그 과정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추구하는 가치를 매개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예술가 교사들이 어떤 학습경험을 통해 어떻게 그러한 가치가 내재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미메시스적 관점을 적용하여 학습경험을 통해 나타난 정체성과 전문성을 분석하였다. Ricoeur의 미메시스 3단계는 경험 속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여러 차원의 학습, 즉 형식·비형식 학습뿐만 아니라 무형식 학습을 함께 살펴볼 수 있는 틀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이에 지식적인 부분을 학습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식적으로 학습한 것을 체화하는 과정, 그리고 의미 있는 타자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모방, 흡수하고 갈등을 조정해가는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방법으로 전문성을 체득해가는 모습을 다각적으로 분석하는데 유용하다. 이와 함께 과거 자신의 삶을 재구성하고 그것을 토대로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고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설정하며 현재를 살아간다는 관점에서 사람들이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해나가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관점으로 예술가 교사의 다양한 학습경험과 그로 인한 정체성 및 전문성의 형성 · 구축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어떻게‘예술가’인 그들이 가르치는 일을 배우고 실천하는‘예술가 교사’가 되는지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되었기에, 예술가 교사 교육프로그램에서의 학습경험에서 시작하여 자신이 예술가 교사로 활동하는데 영향을 주었던 삶 속에서의 다양한 학습 경험을 수집하였다. 예술가 교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참여하고 있는 예술가 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한 자료를 통해, 예술가 교사들의 삶의 과정에서 있었던 전반적인 학습경험을‘예술가 교사가 되기까지의 학습경험’에서, 예술가 교사로서의 활동과정에서 있었던 학습경험을‘예술가 교사의 미메시스적 학습과정’으로 분류,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를 위해 먼저 예술가 교사들에게 어떠한 학습경험이 있었는지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에게 예술가 교사가 되기까지 의미 있게 나타난 학습경험은 크게 2분야로 나타났다. 첫째, 성장기의 학습경험을 통해 예술가적 정체성의 토대를 마련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예술가로서 학습을 경험한 분야에서는 가족을 포함한 의미 있는 타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예술가적 정체성을 구성하되 주체성이 바탕이 되고 있었다. 둘째, 과도기의 학습경험은 진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혹은 직장생활 등 예술가도, 예술가 교사도 아닌 분야에서의 경험으로 혼돈과 고민의 시기를 겪지만 오히려 현재의 활동에 밑거름이 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지식적인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경험의 폭이 확대되면서 인식의 변화와 확장이 나타났고, 이로 인해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 소통의 방법 등을 학습하게 되었다. 이렇게 환경이나 타인으로 인해 의외의 분야에서 일어난 학습경험이었더라도 그 속에서 성찰, 즉 주체적인 I와 객체로서의 me의 계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구축해갔다. 그리고 이러한 학습경험은 예술가로서의 정체성과 현재 예술가 교사의 정체성 모두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예술가 교사로 활동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경험을‘미메시스적 학습과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미메시스 1단계 학습은‘적응과 탐색의 단계’로 초기에는 주로 예술가 교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활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전반적인 것을 학습하고, 학습한 내용을 자신의 수업시간에 즉각 단순히 따라해 보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동료 예술가 교사들과의 만남을 통해 도움을 주고받고 인맥을 형성하며 적응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미메시스 2단계 학습은‘적용과 갈등의 단계’로 예술가 교사 교육프로그램과 예술가 교사로 활동하는 초기에 표면적으로 이해한 내용들(미메시스 1단계 학습)을 바탕으로, 예술가 교사 본인만의 연구 혹은 동료 예술가 교사들과의 상호작용 등을 통한 심층적 이해를 거쳐 자신의 수업에 적용·재구성하였다. 이 과정에는 학습자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 수업 현장에서의 학습자 반응에 따라 조정하고 계속해서 변화시키며 자신만의 실천적 지식을 체득하게 되었다. 그리고 자신이 구성한 수업프로그램을 수업 현장에서 재현하면서, 학습자나 다양한 교육과 관련된 이해관계자 등과의 갈등을 조정하고 타협하는 과정을 통해 다듬어가는 모습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갈등이 조정되지 않을 때는 실망이나 회피하는 모습에 그치기도 했다. 실천공동체에서의 갈등도 마찬가지로 갈등이 조정되지 않을 때 와해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미메시스 3단계 학습은‘변화와 확장의 단계’로‘자기화’된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방식 뿐만 아니라 자신을‘재형상화’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미메시스 2단계 학습과정을 통해 문화예술교육현장을 총체적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재형상화’되는 과정이 미메시스 3단계 학습에서 나타났다. 즉, 예술가 교사들도 이러한 재해석을 통해 결국 자신만의 독특한 창조적인 틀로 재탄생시키는 학습이 일어난 것이다. 그러므로 이 단계에서 예술가 교사들은 자신만의 가치가 내재된 수업방식을 구현해내는 전문성이 나타났다. 또한 미메시스적 전환으로 자신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으로 인해 변화가 일어났고, 이 과정에서 예술가와 예술가 교사의 정체성이 공존, 상호작용하는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며 자신만의 정체성을 구축해가는 모습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술가 교사의 학습경험에서 드러난 정체성과 정체성 양상에 대해 종합 논의하였다. 예술가 교사들이 형성·구축해온 정체성과 전문성은 계속해서 발전, 심화되는 형태로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전혀 새로운 방향으로도 전개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 시점에서 본 연구에 참여한 예술가 교사들에게서는 예술가와 예술가 교사의 정체성이 공존하고 있었고, 이 정체성이 균형과 조화, 갈등과 조정을 이루어가는 가운데 전문성을 발전시켜가는 모습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술가 교사들은 예술가와 예술가 교사의 정체성이 공존하되 어떤 정체성에 더 비중을 두고 있느냐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예술가 교사로의 정체성에 비중을 둔 유형 외에는 정체성의 방향성이 유동적일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미메시스적 학습과정으로 살펴본 것과 같이 3단계를 통해 새롭게 자신을 재형상화 했더라도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환경을 만나게 되면 다시 1단계부터 시작되며 다른 방향으로도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이러한 유동성과 확장성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고용과 급여에 있어서의 불안 요인이 예술가 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계속 유지해 나가는데 갈등을 일으키며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음을 진단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먼저, 현재보다 질적으로 더 향상된 교육프로그램, 즉,‘경력의 정도’,‘예술의 전공 여부’등 수준을 고려한 세분화되고 심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예술가 교사들의‘삶의 질’향상과 관련된 정책 마련의 필요성과, 예술가 교사들의 삶의 질의 변화나 정서적 변화에 대한 양적·질적 연구도 요구된다. 셋째, 평생교육사나 사회복지사, 공교육 교사와 예술가 교사 간의 소통의 연결고리를 제공하는 교육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자기 자신을 이해하는 지식을 제공하는 학습 프로그램으로서의 성인교육 방법인 생애교육을 예술가 교사들에게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은 첫째, 예술가 교사들의 학습 경험에 대해 다각도로 총제적인 접근에서의 이해를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예술가 교사 이전의 학습경험이 현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그 경험을 재가공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정체성과 전문성을 형성·구축하며 새로운 방향성으로 나아가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예술가 교사로 활동하면서 나타나는 학습과정에서도 다양한 학습경험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문성을 형성하기 때문에, 학습을 지원함에 있어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예술가 교사 교육프로그램, 실천공동체, 수업 현장 모두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학습이 일어나며, 특히 모방을 통해 암묵적 지식을 형성해가는 무형식 학습의 개입 지점에 대해서도 생각해보는 관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예술가 교사와 연결된 다양한 관계, 경험, 정책 등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지점을 고려하여 학습을 제공하는 관점을 제안하였다. 둘째, 그동안 문화예술교육으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는‘학습자’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지만, 그 학습자들을 대하는 예술가 교사에 대해서도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문화예술교육이 추구하는 가치가 예술가 교사들에게도 정서와 태도, 삶의 질과 관련한 분야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을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이 예술가 교사의 활동에 필요한 학습을 함에 있어 기능적이고 도구적인 측면에서의 학습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관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리고 가치를 내면화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재형상화하는 학습, 즉‘존재를 위한 학습’의 관점에서 접근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앞으로 그들에게 어떤 분야의 학습이 제공되어야 할지에 대해서도 다른 시각을 제공한다. 지금까지의 예술가 교사 교육프로그램이 당장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이나 방법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 이제 진입하였거나 경력 초기의 예술가 교사들에게 매우 효과적이었다면, 오랜 경력을 가진 예술가 교사들에게 어떤 학습이 필요할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즉, 현재는 인문학 수업이라 하더라도 아이디어나 지식 면을 차용하는 정도의 프로그램이 많다면, 각자의 교육철학을 깊이 있게 구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자기 자신(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 프로그램 등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예술가 교사의 평생학습경험 7 1. 문화예술교육과 예술가 교사 7 2. 존재로서의 평생학습경험 18 B. 미메시스(Mimesis)적 학습과정 25 1. 학습의 과정에서 형성되는 정체성 25 2. Ricoeur의 미메시스 관점 35 C. 예술가 교사의 학습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 39 1. 예술가 교사에 대한 선행 연구 39 2. 예술가 교사의 학습경험과 관련된 선행연구 42 Ⅲ. 연구 방법 47 A. 질적 연구방법 47 B. 연구 참여자 50 C. 자료 수집 및 분석 56 Ⅳ. 예술가 교사가 되기까지의 학습 경험 60 A. 성장기의 학습경험: 예술가적 정체성의 토대 61 B. 과도기의 학습경험: 혼돈 그러나 밑거름 71 1. 어디로, 어떻게 가야하는 것인가에 대한 고민 71 2. 결혼, 예상치 못했던 방향 79 3. 교육 분야에서의 연결고리 86 Ⅴ. 예술가 교사의 미메시스적 학습과정 91 A. 예술가 교사의 미메시스 1단계 학습:적응과 탐색의 단계 91 1. 표면적 이해:이런 것이구나! 92 2. 단순한 모방:따라 해보기 100 3. 동료 예술가 교사들과의 만남: 친교, 도움 주고받기, 인맥형성 102 B. 예술가 교사의 미메시스 2단계 학습:적용과 갈등의 단계 107 1. 재구성 해보기: 학습자의 취향에 맞게 요리하는 과정 108 2. 생각과 다른 현실: 갈등과 조정 123 C. 예술가 교사의 미메시스 3단계 학습:변화와 확장의 단계 137 1. 나만의 수업방식:자기화된 가치를 녹여내다 137 2. 나에게 찾아온 변화: 새로운 세상이 열리다 160 3. 나를 재형상화하다 168 Ⅵ. 예술가 교사의 학습경험에서 드러난 정체성 188 A. 예술가 교사들의 정체성 형성과정 188 B.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 정체성의 유형 195 Ⅶ. 결론 및 제언 205 A. 결론 205 B. 제언 210 참고문헌 218 ABSTRACT 2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367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예술가 교사의 평생학습경험에 대한 미메시스적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imesis Analysis on the Lifelong Learning Experience of Artist-Teacher-
dc.creator.othernameKim, Heun-
dc.format.pagex, 242 p.-
dc.contributor.examiner서경혜-
dc.contributor.examiner신태섭-
dc.contributor.examiner박인섭-
dc.contributor.examiner이병준-
dc.contributor.examiner곽삼근-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