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22 Download: 0

연암 박지원의 삶과 사상의 교육적 함의

Title
연암 박지원의 삶과 사상의 교육적 함의
Other Titl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Yeonam Park Ji-won’s life and thoughts
Authors
신정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경원
Abstract
This study is an educational study on Yeonam Park Ji-won analyz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shown i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Yeonam Park Ji-won's life and ideas in the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axiological aspects. Yeonam Park Ji-won was an intellectual of the 18th century Chosun dynasty who explored learning in open attitude and searched the direction of new life with his progressive and adventurous disposition enduring uncertainty in the turbulent era of change. Also, with the realization of the humanistic perspective and equality ethics based on frankness, Yeonam practiced the relationship of friendship. The Chosun society in the late 18th century where Yeonam Park Ji-won was in action needed to have transition to a new society more than in any other times due to the breakage of de-neoConfucian view of the world and the influence of radical changes in the outside world. The de-neoConfucian view of the world and neoConfucian view of the world were colliding each other and the discourse of friendship pursuing a real human relationship as the backlash against the hypocritical relationship was prevalent. In such a transitional change, Yeonam Park Ji-won headed to grasp the reality of Chosun cool-headedly, and pushed forward creative academic search and practise rather than the extreme choice of preserving or discarding the existing thinking structure. to find a new perspective of the world. The review of the life and ideas of Yeonam Park Ji-won revealed his open aspect and ideological feature prominently. Although Yeonam Park Ji-won was born in an orthodox Confucian family, he pursued free and open independent life rather than a life based on the neo-Confucian doctrines which emphasized justification and duty. Also he had a relationship-oriented aspect by holding empathy and attitude bearing relationship in the perspective of the other party without getting stuck in his own perspective of view. Especially the days of Yeolha Traveling and White Tower Group in the life of Yeonam Park Ji-won could be referred as a heyday in the life and ideas of Yeonam Park Ji-won through free study activities and the community activities of knowledge of friendship. It was possible because he could explore the unknown world and experience his vibrant life and create high-level works. The open nature of Yeonam Park Ji-won shows itself well in the Practical Science Thought of promotion of public welfare to find out the changing flow of the world and pursuing a substantial change of Chosun society, and in the way of thinking of 'between' to shed off the binary oppositional views. Also, in the human relationship, he sought a relationship of sincere friendship through humorous horizontal communication keeping the humanist perspective on human relationships and even humorous perspective. In other words, Yeonam Park Ji-won kept open attitude in seeking truth to uptake a variety of disciplines and to reconstruct them in his own unique perspective, and even in friendship building, he pursued the openness of the relationship by seeking frank and humanistic meeting not distinguishing class, age and faction. Analyzing the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x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shown in the life and ideas of Yeonam Park Ji-won foll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tudy results are found: First, i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found in Yeonam Park Ji-won, an active and free existential nature, breaking out of the human perspective of the Middle Age was found. This can be described as the human feature to configure his own life positively through free choice and action by himself in the ever-changing world. Also the existent characteristics growing through creation of relationship as mutually related beings providing foundations each other was found. Second, analysis of the epistemological nature of the Yeonam about the world, as the major ideas of Yeonam, Preserve Old while Create New Theory(法古創新論) and Meditation Theory(冥心論) were founded a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global awareness of Yeonam. Preserve Old while Create New Theory(法古創新論) is a logic to pursue the fundamental law on the basis of an open and subjective perception of changes in the outside world, avoiding the imitation and pretense about existing beings while reflecting the reality. Meditation theory(冥心論) can be summarized as an insight to fathom 'between' 'this and that' through 'self-surrender(忘我)' as a breakage of fixed judgment principal to dismantle prejudices and stereotypes. Third and finally, analysis of the axiological feature shown in the human nature and life of Yeonam Park Ji-won indicated that a human being is, to Yeonam, not a being evaluated by a special identity or abilities but a 'precious being' having dignity as a being called human itself. This view reflects the value of his Use by No-use(無用之用) meaning 'there is nothing to be of no-use'. Yeonam Park Ji-won was not greatly interested in following the stance of a specific idea or particular school or inheriting ideological theory although he read through various ideas and academic tracks. Rather, he saw through the ideological cores of the academic tracks and went forward to form the original idea of ​​his own by accepting them selectively in a critical standpoint or a creative fusion. Yeonam Park Ji-won held fast the attitude of frank life by rejecting any stereotype preserving the posture of yearning for change and practising it. Rather than to Judge life and specify humans, he recognized life as a place to realize the infinite possibilities and sought a relationship of friendship of personal encounter respecting the counterpart as a being having a potential.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 and ideas of the Yeonam to share knowledge and expand human sympathy through open academic attitudes and free and horizontal 'open communication' can provide major implications to the modern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 of Yeonam Park Ji-won who sought the direction of a new life and pursued frank relationship with an open mind to others while enduring the uncertainty of the period with open attitude in Chosun society of the 18th century which was a turbulent period of change not only suggest an educational meaning applicable to the modern era transcending the times but also is regarded to have the aspect going ahead of the times. It is hoped that subsequent researches on Yeonam Parl Ji-won in the areas of pedagogy research using this research which explored Yeonam's perspective on human through considerations on Yeonam's life and major ideas as a starting point could be explored multi-directionally.;이 연구는 18세기 조선 후기 지식인이었던 연암 박지원의 생애와 저작에 나타난 주요 사상의 교육적 함의를 분석한 것이다. 연암은 변화의 격동기였던 18세기 조선 사회에서 열린 태도로 학문을 탐구하였고 진정성을 바탕으로 한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평등 윤리를 구현함으로써 우정의 관계를 실천하였다. 진취적이고 관계 지향적 성향을 바탕으로 연암은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하는 불확실성의 시대를 직시하고 새로운 삶의 방향을 모색했다. 연암 박지원이 활동했던 18세기 후반의 조선 사회는 기존 세계관의 균열과 급진적으로 변화하는 외부세계의 영향으로, 그 어떤 시기보다 새로운 사회로의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었다. 다시 말하면 주자학적 세계관과 탈주자학적 세계관이 충돌하고 있었고 위선적인 인간관계에 대한 반발로부터 참다운 인간관계를 추구하는 우정의 담론이 형성되고 있었다. 이 같은 변화의 기로에서 연암은 기존의 사유체계를 고수하거나 폐기하는 식의 양극적 선택보다는 조선의 현실을 냉철하게 파악하고 ‘사이’의 사유방식을 통해 조선의 상황과 시의성에 맞는 삶의 양식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개방적인 태도와 비판적 관점으로 세계변화를 수용하였던 연암은‘사이’의 사유를 독창적으로 전개하였는데, 이는 연암의 인간적 특성과 삶의 특징을 아우르는 주요한 주제이다. 연암은 다양한 학문과 사상을 섭렵하였으나 특정 사상이나 학파의 입장을 추종하거나 사상적 이론을 계승하는 데는 크게 관심이 없었다. 오히려 옛 사상과 새로운 사상의 ‘사이’에서 사상의 핵심을 간파하고 이를 비판적 견지에서 선택적으로 수용하거나 창조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자신만의 독창적인 사상을 형성해 나갔다. 이와 같은 연암의 ‘사이’의 사유방식은 그의 인간관계 형성에 있어서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연암은 자신의 고정된 기준으로 타자를 판단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타자를 변화의 가능성을 가진 존재로 인식하였다. 즉, ‘자기’를 넘어서는 비아(非我)의 태도를 통해 인간 존재를 상호 연관된 상자성(相資性)의 관점으로 파악하여 타자와 인격적인 관계를 강조하였다. 이와 같이 상자성을 바탕으로 한 인격적 관계형성에 대한 연암의 이해와 확신은 그로 하여금 당시의 위계적 신분질서에 맞서 평등한 인간관계의 공동체적 삶을 추구하게 하였다. 대부분의 연암 저작들에는 역동적인 삶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그의 깊은 고민과 진정성 있는 인간관계 형성에 대한 근원적 관심과 성찰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시대를 뛰어넘는 현대적 감각과 그의 독창적 사상및 인간적 매력이 잘 드러나 있어 그 자체로 교육적 탐구의 필요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연암 박지원의 저작을 바탕으로 그의 삶과 사상에 나타난 주요 특징을 존재론적·인식론적·가치론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교육적 함의를 탐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암의 인간이해는 중세적 인간관에서 벗어난 능동적인 자유인과 관계 지향적 인간관에 근거한다. 연암에게 능동적 자유인이란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스스로 자유로운 선택과 행동을 통해 자기 삶을 적극적으로 구성해 나가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연암에게 인간은 존재론적 차원에서 서로가 서로에게 기반이 되어주는 상호 연결된 상자적 존재이며, 그 상자적 관계맺음을 통해 상호 성장한다. 둘째, 연암 사상의 인식론적 특성은 법고창신론(法古創新論)과 명심론(冥心論)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법고창신론의 의미는 옛 것의 보전과 새 것의 혁신이라는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변화가 요구되는 구체적인 현실을 직시함으로써 참다운 변화의 핵심을 추구하려는 것이다. 명심론은 고정된 판단주체를 해체함으로써, 즉 ‘망아(忘我)’를 통해 특정한 판단의 기준을 제거하고 ‘이것과 저것’의 ‘사이’에서 무수한 차이와 공감 가능성을 헤아리자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암이 생각했던 바람직한 삶은 다양한 가치를 지닌 인간의 삶 혹은 각자의 개별성이 존중되는 삶이다. 동시에 연암에게 그러한 개별성이 존중되는 삶은 평등한 공동체에서 가능하다. 여기서 평등은 동일한 기준의 기계적 평등이 아니라 각자의 개성이 모두 동일한 가치로서 존중되는 인격적인 평등이다. 연암이 보기에 인간은 특별한 신분이나 능력과는 관계없이 그 자체로 존엄성을 가진 소중한 존재이다. 이와 같은 인본주의적 관점은 ‘이 세상에 쓸모없는 것이 없다’는 무용지용(無用之用)의 관점에 의거한 연암 사상의 가치론적 특성에서 나온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연암의 삶과 사상에 함의된 교육적 시사점을 교육의 대상, 앎에 대한 인식, 바람직한 삶의 가치 등 세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첫째, 인간존재는 자신만의 고유한 삶을 스스로 구성해나가는 독립된 주체로서 인간이 가진 가능성을 확장시키는 동시에, 상자적(相資的) 존재로서 상호 연관된 삶을 인식하고 공동체적 삶의 의미를 일깨워주는 교육적 경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암의 명심(冥心)으로서‘사이’의 인식론은 이항 대립적 판단을 지양하고 ‘사이’에서의 통찰을 강조함으로써 다원화된 시대에서 세계를 인식하는 태도로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패러다임의 변화 시기에는 기존의 사유체계의 사고를 해체하고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고 창조해내는 교육방법적 실천으로서 ‘사이’의 인식론이 더욱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연암의 벗의 의미로서 사우(師友)의 교사-학생 관계는 ‘친구와 같은 안내자’로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한다. 이는 학생과 교사가 서로 인격적 만남을 바탕으로 한 수평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우정의 교육적 관계로 발전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우정의 교육적 관계는 강압적 지시나 일방적 지도에서 벗어나 학생 스스로 자신의 앎과 삶을 구성해 갈 수 있도록 의지를 북돋아 주는 교육적 관계라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