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선-
dc.contributor.author한우주-
dc.creator한우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2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6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246-
dc.description.abstractChildren can express their thoughts more efficiently and variously as they develop their syntactic abilities. In previous studies, a variety of assessment methods using complex sentence production have been designed to examine children’s syntactic abilities, and one of them is structural priming or syntactic priming. Structural priming is one of the concepts derived from studies related to linguistic repetition, and it means using a sentence with the same structure as what one heard previously when producing a sentence (Bock, 1986).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studies that examine the effect of structural priming by changing the number of suggested structural priming or vocabulary in suggested sentences, and these studies can be useful for intervention strategy for a specific group.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tervention strategy for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using structural priming based on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that they have. The total 85 children in two different groups participated for this research: 38 SLI children aged from 5 to 7 years old and 47 TD children in the same age range.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 total based on structural priming conditions : normal priming condition group(priming condition 1), repetitive priming condition group that uses the same vocabulary(priming condition 2), and repetitive priming condition group that uses different vocabulary(priming condition 3). Following the researcher’s instruction, they conducted assignments such as producing complex sentences, nonword repetition and auditory statistical learning.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ssignment performance of sub-groups betwee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children with normal development. Two groups showed higher performance in repetitive priming condition, but they indicated different performance degrees for repeat presentation method. This result means that when promoting children’s language, the more repeated language stimulation gets, the more positive influence it has regardless of the method. Also, when presenting language simulation to children, different presentation strategies need to be used. In other words, in case of the group of normally developed children, it could be more effective to present multiple stimulations with a slight change in the same structure rather than presenting the same stimulation a lot of times, in drawing children’s language production, in case of the group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presenting the same kind of simulation multiple times could be more effective than presenting stimulations with a variety of contents multiple times. This result implies that strategies on abstract structuring of knowledge that normally developed children an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re differ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among complex sentence production, implicit learning and working memor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groups.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supports the difference in complex sentence produ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normal development proved in previous studies, and it will be able to provide a clue about language presentation strategy that needs to be applied differently in each group based on this difference. Besides,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complex sentence production depending on priming methods, and implicit learning and working memory that are known as a foundation of linguistic development must have contributed to discover a basic factor that works differently with different groups and methods and to help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produ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아동들은 구문 능력을 발달시켜 나가면서 자신들의 생각을 더 효율적이고,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 복문 산출인데, 복문을 산출한다는 것은 문장의 단순한 결합이 아니기 때문에 문장의 의미, 문법 형태소의 쓰임, 언어가 사용되는 전체적인 맥락 등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는 아동들의 구문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복문 산출을 사용한 다양한 평가방식을 고안해 왔으며 그 중 하나가 바로 구문점화(structural priming/syntactic priming)이다. 구문점화는 언어적 반복과 관련된 연구에서 파생된 개념 중 하나로, 문장을 산출할 때 앞서 들은 것과 같은 구조의 문장을 사용하게 되는 것을 말하며(Bock, 1986) 이때 산출되는 문장은 앞서 들은 문장의 의미나 어휘와 상관이 없다(Bock & Loebell, 1990; Leonard, 2011). 구문점화에 사용되는 문장 구조는 구문점화의 특성 상 자발적인 발화 속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문장 구조보다는 출현 빈도가 낮은 문장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그 효과를 알아보는 데 더 적합하다. 따라서 한국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는 두 문장을 이어 말하는 접속문이나 하나의 문장 속에 다른 문장을 넣어 말하는 내포문의 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접속문과 내포문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구문점화 제시 횟수나 제시 문장의 어휘 등에 변화를 줌으로써 구문점화의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는 특정 집단을 위한 중재 전략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일반 아동들에 비해 전반적인 언어 능력이 낮다고 보고된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은 구문발달에서도 유의한 지체를 나타내는데 구문점화를 활용하여 언어 자극 제시의 양적, 질적인 면을 검토해볼 수 있다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중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가지고 있는 구문적 특성을 바탕으로 구문점화를 사용하여 이들을 위한 중재 전략을 탐구해보고자 하였다. 한편, 언어 발달의 기저가 된다고 알려진 작업기억과 암묵적 학습이 구문 점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특히 선행연구에서는 작업기억 능력이 문장의 이해와 산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암묵적 학습 또한 문장 이해의 근간이 된다고 밝혔기 때문에 구문점화와 두 능력이 높은 상관성을 가진다고 보고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관성을 바탕으로 하여 점화 방식에 따른 복문 산출이 언어 발달의 기저요인이라고 알려진 작업기억, 암묵적 학습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만약 점화 방식과 집단에 따라 상이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면 이것이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의 중재에서 어떠한 의미를 함축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5~7세 단순언어장애 아동 38명,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47명, 총 85명이었다. 이들은 구문점화 조건에 따라 일반 점화 조건 집단(점화 조건1), 같은 어휘를 사용한 반복 점화 조건 집단(점화 조건2), 다른 어휘를 사용한 반복 점화 조건 집단(점화 조건3), 총 3 집단으로 나뉘어졌으며 연구자의 지시에 따라 복문 산출과제, 비단어 따라 말하기 과제, 청각 통계적 학습 과제를 수행하였다. 집단 간 구문점화 방식에 따른 복문 산출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 (two-way between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의 구문점화에 따른 복문 산출이 암묵적 학습 능력, 작업기억 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점화 방식에 따라 나뉜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내 하위 집단의 과제 수행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의 경우 같은 어휘를 사용한 반복 점화 조건, 다른 어휘를 사용한 반복 점화 조건, 일반 점화 조건 순으로 수행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 아동 집단의 경우는 다른 어휘를 사용한 반복 점화 조건, 같은 어휘를 사용한 반복 점화 조건, 일반 점화 조건 순으로 수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언어를 촉진할 때 어떤 방식이든 언어자극의 반복이 많을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언어 자극 제시 빈도가 많을수록 아동의 수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이러한 사실은 언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들에 대한 중재를 실시할 때 유용한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두 집단이 반복 점화 조건에서 더 높은 수행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반복 점화 조건 중에서도 반복 제시 방식에 따라 다른 양상의 수행도를 나타낸 것은 아동들에게 언어 자극을 제시할 때 집단 별로 서로 다른 제시 전략을 사용해야 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일반 아동 집단의 경우 같은 내용의 자극을 여러 번 제시하는 것보다 같은 구조 안에서 약간의 변화를 준 자극을 여러 번 제시하는 것이 아동의 언어 산출을 이끌어 내는 데 더 효과적일 수 있고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의 경우에는 다양한 내용의 자극을 여러 번 제시하는 것보다 같은 내용의 자극을 여러 번 제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가지고 있는 지식의 추상적 구조화에 대한 전략이 다르다는 것을 함축하는데, 일반 아동은 서로 다른 예시를 통해 지식의 추상적 구조화를 활성화시키는 반면,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같은 예시의 단순 반복을 통해 지식의 추상적 구조화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복문 산출과 암묵적 학습, 작업기억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에서는 일반 점화를 실시한 점화 조건 1의 그룹에서만 구문점화에 따른 복문 산출과 암묵적 학습 및 작업기억 간에 상관이 나타났다. 이것은 아무런 전략이 적용되지 않은 언어 자극 제시 상황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경우 다양한 언어 기저 요인들이 언어 산출에 영향을 주지만 일반 아동의 경우 특별한 기저 요인의 작용 없이도 언어 산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결과에 따라 단순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중재를 실시할 때, 언어 외에도 작업기억, 암묵적 학습 능력과 같은 언어의 기저가 되는 요인들의 능력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일반 아동 집단에서는 다른 어휘를 사용한 반복 점화 조건 그룹에서만 구문점화에 따른 복문 산출과 작업기억 간에 상관이 나타났는데, 이것은 이 점화 조건의 언어 제시 전략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경우 같은 예시의 단순 반복이 지식의 추상적 구조화를 활성화시키는 데 더 효과적이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예시를 통해 지식의 추상적 구조화를 활성화시키는 전략을 사용했던 점화 조건 3에서 높은 수행률을 보이지 못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암묵적 학습 능력, 작업기억 능력과의 어떠한 상관도 이끌어내지 못하였다. 그러나 일반 아동의 경우 서로 다른 예시가 지식의 추상적 구조화를 활성화시키는 데 효과적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전략을 사용했던 점화 조건 3에서 높은 수행률을 보여주었고, 이러한 결과는 작업기억 능력과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이끌었다. 그리고 일반 아동들은 구문점화 과제에서 사용되었던 문장 구조에 대한 이해와 산출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암묵적 학습 능력보다는 문장을 기억하는 능력이 과제를 수행하는 데 더 중요하게 작용했을 것이라 생각한다. 즉, 암묵적 학습 능력보다는 작업기억 능력에 대한 차이가 점화 조건 3에서의 복문 산출에 대한 차이를 이끌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왔던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복문 산출 능력 차이에 대한 결과를 지지하며, 이러한 차이를 바탕으로 각 그룹에게 다르게 적용되어야 할 언어 제시 전략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점화 방식에 따른 복문 산출과 언어 발달의 기저가 된다고 알려진 암묵적 학습, 작업기억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것은 집단과 방식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는 기저 요인을 밝히고,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언어 산출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기여했을 것이라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용어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8 A. 아동의 구문발달 8 B. 구문점화 현상 13 C. 구문점화와 암묵적 학습 16 D. 구문점화와 작업기억 17 Ⅲ. 연구방법 19 A. 연구대상 19 B. 실험과제 24 C. 연구절차 26 D. 자료 분석 방법 27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28 F. 신뢰도 29 G. 예비실험 29 Ⅳ. 연구결과 30 A. 집단 간 (일반 아동, 단순언어장애 아동) 점화 방식에 따른 복문 산출 과제에서의 수행도 차이 30 B. 구문점화 방식에 따른 복문 산출과 암묵적 학습 및 작업기억 간의 상관 관계 34 Ⅴ. 결론 및 논의 38 A. 결론 및 논의 38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3 참고문헌 45 부록1. 점화 조건 1, 점화 조건 2의 복문 산출 과제 56 부록2. 점화 조건 3의 복문 산출 과제 58 ABSTRACT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37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점화 방식에 따른 복문 산출 능력과 암묵적 학습 및 작업기억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Among Complex Sentence Production, Implicit Learning, and Working Memory based on Structural Priming Method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dc.creator.othernameHan, Woo Joo-
dc.format.pagex, 63 p.-
dc.contributor.examiner심현섭-
dc.contributor.examiner성지은-
dc.contributor.examiner임동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