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국-
dc.contributor.author이지예-
dc.creator이지예-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2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6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20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조직 내 팀에서 창의성과 성과 창출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가’에 관한 질문에서부터 시작하였다. 오늘날은 초 경쟁시대와 더불어 지식경제에서 창조경제로 넘어가는 경영환경이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더욱 새롭고 창조적인 아이디어와 높은 성과를 창출해내야 한다. 특히 지식 보다 창의성에 의해 주도되는 경영환경에 맞추어 새롭고 다양한 정보들은 고 성과와 더불어 현대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위한 핵심요소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의 기본 전제는 기업 내 에서 팀을 운영하는데 효과적인 접근법을 파악하고 이를 채택한다면 보다 높은 창의성과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우선 조직의 창의성과 성과를 발현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은 팀 내의 구성요인, 사회적 그리고 인지적 과정(Reiter-Palmon, Weingart, and de Vreede, 2012)으로 즉, 팀 내의 다양성, 협업능력, 업무 형태 그리고 리더십 등의 요인들이 일정한 과정에 따라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는 지식과 정보를 새롭게 외부에서 획득하기 위한 자원의 탐색(exploration)과 기존의 조직 내 보유하고 있는 지식을 응용하는 자원의 활용(exploitation)활동 그리고 이들 두 가지 활동을 통해 획득한 다양한 정보와 지식들을 조직에 맞게 균형 맞추고 나아가 새롭고 유용한 결과로 이끌어 내는 통합적 사고(Integrative Thinking)를 통해 팀 내에 창의적이고 차별화된 의사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팀 내 창의성과 성과가 결정된다고 봄에 따라 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개인수준에 초점을 맞춰 전개되어 왔던 창의성과 성과 연구를(West and Farr, 1990) 팀 수준의 연구로 진행하고자 한다. 이는 지식, 기술, 능력, 성격 및 인구통계적 속성 등으로 인한 조직 내 구성원들의 다양해지고 동시에 업무 내용이나 방식 또한 유연성, 혁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조직은 점차 팀 중심 구조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Boyett and Conn, 1991; Cagan and Vogel, 2002; Dahlin, Weingart, and Hinds, 2005; Earley and Mosakowski, 2000). 한편 본 연구에서는 팀 수준의 팀 창의성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설명하기 위해 팀 유효성 모델 형태(Input-Process-Output)를 기반으로 팀의 내적 역량 맥락(Inherent capacity contextual)과 상황적 맥락(situational contextual)으로 분류해 진행하였다(Mumford, 2011; Kozlowski and Ilgen, 2006; Salas, Stagl, and Burke, 2004). 팀 의 경우 팀 고유의 특성, 팀이 수행하는 과업의 특징, 팀 내 발생하는 사고 과정 등의 영향을 받아 결과물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요인들은 팀 내부에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이를 내적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팀 내 성과를 지원하는 리더십 그리고 조직의 문화와 같은 경우에는 상황적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팀 내에서의 내적 역량 맥락과 상황적 맥락에서의 팀 내 기능적 배경 다양성, 심리적 안전 분위기, 지적 자극, 팀 비전인식, 팀 성찰, 응집성 그리고 조건적 보상으로 구분하여 팀 내에서의 자원의 탐색과 자원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들이 팀 내 보유한 정보자원을 개선하고 확장하는 활동을 자원의 활용이라 하고 반면, 역량, 자원, 기술, 프로세스와 같은 대상을 새롭게 탐구하고 개발하는 활동을 자원의 탐색이라 규정한다. 이 두 활동은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 환경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한 활동으로 현 조직들의 주된 관심사인 경쟁우위 확보와 유지를 위한 핵심요인으로 볼 수 있다. 팀 내에서 살펴보면 자원의 탐색과 자원의 활용은 개별적 차원의 활동으로(He and Wong, 2004; Nerkar, 2003; Katila and Ahuja, 2002) 이는 즉 두 요인이 자원을 획득하는 방법이 팀 내부와 외부로 구분되기 때문에 엄격히 다른 활동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활동으로 자원의 탐색과 자원의 활용을 고려하여 이것이 팀 내 구조적 맥락에서의 다양한 요인들과 함께 팀 창의성과 팀 성과에 각각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기업은 성과달성과 함께 생존을 유지하기 위하여 앞선 자원의 탐색과 자원의 활용과 같은 각기 다른 활동을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 그러나 단지 두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는 것만이 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다. 즉 현재 팀 내 과업에서의 문제점 혹은 목표와 과거의 사례들과 비교 분석하여 그들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부족한 부분들을 재구조화하여 외부에서 획득한 지식과 기존의 정보들을 토대로 팀 내 과업에 맞는 새로운 관점의 통합적 사고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단기 성과와 함께 환경적 선택의 압력에 대응하여 장기적 생존을 도모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He and Wong, 2004; March, 1991). 이러한 통합적 사고(integrative thinking)요인을 통해 팀은 서로 다른 차원의 지식과 정보를 포용하는 사고 활동을 진행하게 되고 직관성과 논리성의 균형적 사고를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이는 자원의 탐색과 활용을 적절하게 조율하여 조직 환경에 최적화된 창의성과 성과를 창출해내고 나아가 구성원들의 사고 융합을 통해 창의적 가치를 탐색하며 경쟁우위의 혁신을 창출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배경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팀 제를 도입하고 있는 대표적인 산업인 쇼핑업, 광고업, 유통업, 서비스업,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구성원들과 팀장으로부터 설문을 받았으며 총 92개 팀, 609명의 자료로 팀 단위의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에 관한 구체적인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팀 내에서의 심리적 안전 분위기, 지적 자극은 자원의 탐색에 응집성은 자원의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팀 비전인식은 자원의 탐색과 자원의 활용에 각각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팀 성찰의 경우 본 연구에서 제시했던 자원의 활용보다는 자원의 탐색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반면, 조건적 보상의 경우에는 자원의 탐색과 자원의 활용 어떠한 곳에도 영향이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과업의 전문성을 보여줄 수 있는 팀 구성원의 기능적 배경(functional background)다양성의 경우 팀 내 자원의 활용에 방해요인으로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능적 배경 다양성, 심리적 안전 분위기, 지적 자극, 팀 비전인식, 팀 성찰, 응집성 그리고 조건적 보상의 경우 자원의 탐색과 자원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자원의 탐색하고 자원을 활용하는 영향요인이 서로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둘 째, 팀 내 자원의 탐색과 자원의 활용의 경우 자원의 활용은 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자원의 탐색과 같은 경우에는 팀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주지 않았다. 이는 자원의 탐색의 경우 기존 지식이 아닌 완벽히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는 것에 반해 자원의 활용은 최근 다뤄진 지식을 참조(Nerkar, 2003)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기간에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통합적 사고의 매개를 통해 팀 내 창의성과 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선행연구들이 자원의 탐색과 자원의 활용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결과물에 연결되는지에 관한 의문(Gupta, Smith and Shalley, 2006; Lin, Yang and Irem, 2007; Venkatraman, Lee and Lyer, 2007)을 밝힐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가 주는 이론적 시사점은 팀 창의성과 팀 성과가 도출되는 과정에 관하여 광범위하게 분석하였고, 자원의 탐색과 자원의 활용뿐만 아니라 통합적 사고의 매개역할 또한 규명 함으로써 팀 내 창의성과 성과에 미치는 과정에 관한 블랙박스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자원의 탐색과 자원의 활용이 직접적으로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제시한 연구에서 나아가 두 활동에 따라 획득한 지식, 정보 그리고 기술 등이 즉각적으로 팀 내 결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팀 내 통합적 사고라는 과정을 통해 구조화된 정보 자원을 통해 이루어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횡단적 연구의 진행으로 인해 시간상(time interval)의 문제를 고려하지 못했다. 특히 팀 내 구성원들의 기능적 배경 다양성의 경우 현재 시점에서는 비록 자원의 활용에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에 대한 배경적 차이의 인식이 희석됨으로써 부정적인 영향력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Harrison, Price, Gavin, and Florey, 2002). 따라서 종단적 연구는 시간에 따르는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는데 꼭 필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팀 창의성과 팀 성과에 미치는 또 다른 기제를 찾아냄으로써 조직을 운영하는데 있어 기업에 더 효과적인 지표를 제안해 주는 것이 앞으로 진행되어야 할 가장 큰 과제이다.;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 of how creativity and fruitful performance can be achieved. As the world has entered the era of limitless competition, the environment of the business environment is evolving from knowledge economy to creative economy; hence novel ideas and their impacts have brought conspicuous outcomes to a number of organizations. Value derives from creative qualities rather than from the use of knowledge, and ultimately creativity would be a critical factor for organizations to survive in the global economy. Thus,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ive methods for managing innovative teams in organizations and demonstrates that the adoption of helpful methods could generate higher creativity and performance of teams in organizations. First, team composition, social and cognitive processes (Reiter-Palmon, Weingart, L and de vreede, T, 2012) are positively related with team creativity and innovation. Individual factors such as diversity within a team, cooperation ability, type of task, and leadership do not bring on innovation by itself but by working as a whole in certain process. The process includes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f resources in order to attain necessary knowledge or information, and to exercise integrative thinking to create useful and new way of application by considering salient elements, causal relations, and structuring them. We suggest that implementation of the process will lead team to achieve innovation along with creative and distinctive decisions.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the group level rather than individual innovation and creativity at work (West and Farr, 1990), because team diversity is enlarging due to knowledge, technology, ability, personalit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need for flexibil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is increasing, team-based system has been recognized as a prerequisite to adopt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Boyett and Conn, 1991; Cagan and Vogel, 2002; Dahlin, Weingart, and Hinds, 2005;Earley and Mosakowski, 2000). We carried out the research by studying inherent capacity context and situational context of several teams, based on the ‘Input-Process-Output’ team effectiveness model to explain the influencing factors on team innovation and creativity at work (Mumford, 2011; Kozlowski and Ilgen, 2006; Salas, Burke, and Stagl, 2004. Internal factor consists of team characteristics, nature of its task, and cognitive process among team members, while situational factor comprises leadership which supports team work. This research takes both contextual level under the category of diverse functional background, psychologically stable environment, intellectual challenge, team vision awareness, team examination, collectivity, and reward condition, and their effects o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f resources. In addition, exploitation refers to the activities that improve and expand the inherent team resources whereas exploration takes into account the activities which seek for and develop new target such as capacity, resource, technology, and process. Both activities assist working groups with being flexible to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d with gaining and maintaining competitive advantages for continuous growths. Although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are individual performances within a team (He and Wong, 2004; Nerkar, 2003; Katila and Ahuja, 2002), keeping the balance between the two is critical to companies’ successful outcomes in a long-term perspective.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n team creativity and the following results, under the circumstances of team compositional contexts and various factors. Moreover, as company practices multiple activities simultaneously for the purpose of accumulating various experiences as well as great performances for its survival, it is believed it has been recognized that obtaining learning balance, which pursues the balance betwee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fulfils both short-term performance and long-term existence against environmental selection pressure (Heand Wong, 2004; March, 1991). When a team operates integrative thinking, it can embrace many knowledge and information from different dimensions and bring about imaginative ideas through balanced-thinking between logic and intuition. Group-optimal creativity and performance can be accomplished as a result of balancing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and each team would be more competitive via united thoughts and original values. We surveyed team members and team managers working in several representative industries—shopping, advertising, distribution, servic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s, and information services—that introduced team system in their field.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the given data from the 92 teams and the 609 people are stated below. To begin with, we found out that psychologically stable environment and intellectual challenges of the teams have positive effects on exploration. Besides, team collectivity encourages exploitation, and team vision awareness helps the both activities. Also, on one hand, team examinations affect resource exploration rather than exploitation while, reward condition does not have any effect either on exploration or exploitation. Diversity of functional backgrounds turns out to disturb team exploitation as a barrier factor. Secondly, exploitation has positive impacts on team performance whereas exploration has no meaningful influence on team creativity. As exploitation makes use of recent knowledge as references while exploration builds entirely new knowledge (Nerkar, 2003), it can produce immediate positive results. Last but not lastly, we discovered that integrative thinking promotes team innovation and creative performance. By this result, we were able to shed light on the traditional question about the correlation and the process between exploration or exploi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Gupta et al., 2006; Lin et al., 2007, Venkatraman, Lee and Lyer, 2007). With a broad sense of investigation and discovery of the role of integrative thinking, this research points out the theoretical basis to make so far unknown “black box” intermediate process clear where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work toward team creativity and performance. However, it is a limited research in a way that it was a cross-sectional study which does not take into account time interval data. Although diversity of functional background among team members may cause negative effect on exploitation in a short-term perspective, the gap between them could be reduced as time passes (Harrison, Price, Garvin, and Florey, 2002). Longitudinal study is therefore a necessary step toward identifying the changes through time. Finally, further research on other mechanisms for team creativity and performance is highly recommended as it would be an important and effective guideline on management of organiz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방법 10 C. 논문의 구성 10 Ⅱ. 이론적 고찰 12 A. 팀 창의성연구 12 1. 팀 창의성의 중요성 대두 배경 12 B. 팀 성과연구 21 1. 팀 성과의 중요성 21 2. 팀 성과의 측정지표 22 C. 팀 창의성과 팀 성과의 선행요인 25 1. 팀 내적 역량 맥락과 상황적 맥락의 요인 25 2. 팀 내적 역량 맥락의 요인 26 3. 팀 내 상황적 맥락의 요인 39 D. 자원의 탐색과 자원의 활용에 관한 연구 44 1. 탐색과 활용의 등장 배경과 이론적 발전 44 2. 자원의 탐색과 자원의 활용의 개념 및 역할 45 E. 통합적 사고에 관한 연구 48 1. 디자인사고의 개념과 특성 48 2. 통합적 사고의 개념 48 Ⅲ. 연구모형 설계 및 연구 가설 52 A. 연구모형 53 B. 연구 가설의 설정 53 Ⅳ. 연구 조사 방법 76 A.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76 B.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84 C. 자료 분석 방법 87 Ⅴ. 연구의 결과 및 해석 88 A. 측정 변수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88 B.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93 C. 사전 분석 94 D. 가설 검증 95 Ⅵ. 결론 및 논의 101 A. 연구 결과의 요약 및 해석 101 B.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107 참고문헌 114 ABSTRACT 1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776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팀 조직의 창의성과 성과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자원의 탐색과 자원의 활용 그리고 통합적 사고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n Team creativity and Performance : Mediation effect of resource exploration, resource exploitation, and integrative thinking-
dc.format.pageix, 132 p.-
dc.contributor.examiner박경규-
dc.contributor.examiner윤정구-
dc.contributor.examiner김민수-
dc.contributor.examiner박상찬-
dc.contributor.examiner김성국-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