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지은-
dc.contributor.author김혜림-
dc.creator김혜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2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6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20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yntactic complexity on the accuracy of sentence comprehension in discourses for persons with aphasia. Fourteen individuals with aphasia and 15 age- and education-matched normal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same discourses context, but with different syntactic complexity. Syntactically simple discourse contained active sentence and conjoined sentence. On the contrary, syntactically complex discourse consisted of passive and embedded sentence. Accuracy(%) served as a dependent measures in a sentence judgement task after each discourse was presented. The two-way mixed ANOVAs and one-sample t-test were performed. For the simple discours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imple sentence types and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simple sentence type and the group were not significant. For the complex discours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However, differences between complex sentence types and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complex sentence types and the groups were not significant. For the last sentence comprehension in each discourse, aphasia showed significantly poorer performances compared to normal controls. Differences of the last sentence comprehension in simple and complex discours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the last sentence accuracy in each discourse and the group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ntence comprehension deficit of aphasia was revealed in discourse as in only sentence comprehension. When it comes to sentence comprehension within discourse, compared to that of decontextualized sentenc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factors such as contextual hints, general background knowledge, and situational representation that discourse provides. Further research would be required to figure out specific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sentence processing in discourse.;실어증 환자들은 언어 수행의 효율성이 저하됨에 따라 전반적인 혹은 특정한 언어 능력의 상실을 경험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다양한 언어적 오류 양상을 보인다(McNeil & Pratt, 2001). Caramazza와 Zurif(1976)가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문장이해에 어려움을 보인 실어증 환자의 특성을 밝혀낸 이후로 문장이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그중에서도 문장의 통사적 복잡성과 관련한 연구들이 많은데, 이는 통사적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실어증 환자들이 더 많은 문장이해 오류를 보이기 때문이다. 단문에서는 주로 능동문과 관련하여 어순 및 일부 문장 구성요소에 형태 변동이 이뤄진 피동문에 관심을 둔 연구들이 많았고, 복문에서는 접속문보다 하나의 문장이 절이 되어 다른 문장 성분으로 결합하는 내포문에 집중한 연구들이 많았다. 실어증 환자의 문장이해 결함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널리 이뤄졌지만, 문장이해를 담화 수준에서 살펴본 연구들은 국내 및 국외 모두 많지 않다. 주로 우반구 손상 환자 또는 치매 환자들을 대상으로만 이루어졌고(김민영, 2008; 김민정, 2007),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담화 능력 관련 연구라고 할지라도 표현 능력 고찰에만 집중되어 있을 뿐(변주영, 2009; 양명진, 2000), 담화 내 문장이해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담화는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의사소통 방법으로서(백경선, 2004), 실어증 환자의 언어 이해 결함에 대한 문제를 더 정확히 알아보기 위해서는 담화 수준에서의 문장이해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 과제에서는 단문의 경우, ‘행위자역(agent)-대상(theme)’의 전형적인(canonical) 어순을 가진 능동문보다 ‘대상역(theme)-행위자역(agent)’의 비전형적인(non-canonical) 어순을 가지고 서술 동사구의 행태 변동이 이뤄진 피동문의 통사적 복잡성이 더 높다고 규정한다. 복문의 경우, 두 개의 문장이 연결사 또는 연결어미로 이어진 접속문보다 하나의 문장이 절이 되어 다른 문장 성분으로 결합하는 내포문의 통사적 복잡성이 더 높다고 규정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포문 중에서도 관형사절 내포문을 사용하며, 그 중에서도 주절과 관계절의 공통참조 의미역이 동일하지 않은 ‘주어수식-목적격관계절(Subject-Object; 이하 SO)을 사용하였다. 능동문과 접속문이 삽입된 담화를 단순한 담화로, 피동문과 내포문이 삽입된 담화를 복잡한 담화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통사적 복잡성을 달리한 담화 내 문장이해 능력을 평가하여 실어증 환자와 정상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실어증 환자들이 단순 문장이해에서와 마찬가지로 담화에서도 동일한 문장이해의 어려움을 보이는지, 담화 내 문장이해의 어려움이 담화 전체 맥락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연령과 교육년수를 일치시킨 실어증 환자 14명과 정상 집단 15명이었다. 대상자는 화면에 나오는 담화를 보면서 듣고 이해한 뒤, 제시되는 판단문장이 앞서 이해한 담화와 부합하는지 부합하지 않는지를 ‘예’, ‘아니오’로 판단하도록 하였다. 담화 내 문장이해 정반응률은 대상자가 정반응한 문항만을 백분율(%)로 분석하였으며, 통계는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담화 내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단문이해에서 정상 집단의 정반응률이 실어증 환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담화 내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단문 유형 별 정반응률의 차이와 담화 내 단문 유형과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담화 내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복문이해에서 정상 집단의 정반응률이 실어증 환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담화 내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복문 유형 별 정반응률의 차이와 담화 내 복문 유형과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담화 내 마지막 문장이해에서 정상 집단의 정반응률이 실어증 환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고, 통사적으로 단순한 담화에서의 마지막 문장이해 정반응률이 복잡한 담화에서 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담화 내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마지막 문장이해 정반응률과 집단 간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상 성인 보다 실어증 환자가 담화 내 단문 및 복문이해에 더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문과 복문이해에서 모두 문장 유형 간 차이와 문장 유형과 집단 간 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앞선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일치하며, 실어증 환자가 담화 내 표면적으로 드러난 통사구조보다 오히려 문맥적인 힌트나 일반적인 배경 지식, 상황적인 표상에 더 의존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러나 실어증 환자의 경우 수행력이 대부분 우연 수준(chance level)에 그쳐, 본 연구 과제에 대한 실어증 환자의 담화 내 문장이해 능력의 한계를 고려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통사적으로 복잡한 문장이 담화에 삽입됨으로 담화 전체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삽입된 마지막 문장이해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이는 실어증 환자가 담화 내 문장이해에 어려움을 보일 뿐만 아니라 문맥 상황이 반영되는 담화 전체에 있어서도 상대적 이해 결함을 보인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담화 간 마지막 문장이해의 차이가 유의하였는데, 이는 복잡한 담화에 통사적 복잡성이 높은 문장 두 개가 삽입됨으로 실어증 환자로 하여금 전체 담화 이해 도출 시, 처리 용량의 부담이 가중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실어증 환자의 담화 내 문장이해가 기존의 문장이해와는 또 다른 양상을 나타내나, 문장이해에서와 마찬가지로 담화 내 문장이해에서도 실어증 환자의 언어적 결함이 나타남을 알려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실어증 환자의 담화수준에서의 문장이해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 4 C.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8 A. 실어증 환자의 담화이해 관련 선행연구 8 B. 실어증 환자의 문장이해 관련 선행연구 10 C. 한국어의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문장유형 분류 11 D. 한국어 실어증 환자의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문장 이해 연구 13 Ⅲ. 연구 방법 15 A. 연구 대상 15 B. 실험 과제 16 C. 연구 절차 20 D. 자료 분석 22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23 Ⅳ. 연구 결과 24 A.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담화 속 단문이해 능력 판단과제에서 집단 간 정반응률 분석 24 B.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담화 속 복문이해 능력 판단과제에서 집단 간 정반응률 분석 27 C.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담화 속 마지막 문장이해 능력 판단과제에서 집단 간 정반응률 분석 30 Ⅴ. 결론 및 논의 34 A. 결론 및 논의 34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0 참고문헌 41 부록1. 실어증 환자 정보 48 부록2. 정상 집단 정보 51 부록3. 담화 목록 52 부록4. 판단 문장 목록 56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95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실어증 환자의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담화 속 문장이해 능력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syntactic complexity on sentence comprehension in discourse in person with aphasia-
dc.format.pagex,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