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선-
dc.contributor.author곽아람-
dc.creator곽아람-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2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6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218-
dc.description.abstractReading is not limited to simply decoding the words written on a paper. Instead, it is a meta-linguistic that requires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comprehe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information given and futhermore, utilizing one's preliminary knowledge to make decision and apply information newly gained. Although this kind of reading ability is an important task regardless of one's age, it is one of the essential skills especially for school age children to achieve academical goals and adjust to school life. Moreover, consistent development during school age can affect reading ability of the adulthood. Likewise, development of reading ability during school age is highly important for achieving one's reading ability. However, despite of appropriate literacy education provided, recently there are numerous cases reported about children showing difficulty in achieving reading academical achievements. Accordingly, research on reading disabled children's language and cognitive deficiency together with arbitration method is on the process. Numerous precedent researches on reading disabilities children's linguistic defects revealed that reading disabilities (RD) group has defects on phonology system and barriers on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so on leading to phonological decoding. But Roman et al (2008) states that reading disabilities child's restricted phonological awareness has big influence on initial word decoding stage but its role declines as the child grade gets higher. Therefore, when ultimate goal of reading is said to be reading comprehension beyond word decoding, ability to combine phonological information with semantic information and ability to interpret and analyze information within syntax and text for smooth reading understanding is necessary. In reading, separate and awareness of morphology unit provides syntax and meaning that a word posses and this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lexical learning(Carlise, 2000; Sparks & Deacon, 2013)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Carlisle, 2000; Deacon & Kirby, 2004; Wilson-Fowler, 2011) of child and adult. This kind of development of morphological awareness abilities works as an important factor for reading and writing during school age, having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learning ability(Kwon & Seok, 2009). In this aspect, it is meaningful to study morphological awareness of Reading Disabilities (RD) group. Research on performance of morphological awareness ability's characteristic of school age Reading Disabilities children provides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defects of Reading Disabilities children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nd provides the groundwork for preparing effective arbitration method for reading disabled children. Furthermore, defects in reading ability of Reading Disabilities (RD) group has been explained in relation to linguistic aspects as well as Implicit learning deficits, which is one of non-linguistic cognitive processing ability(Vicari et al., 2003; 2005). Implicit learning refers to cognitive ability to learn the specific rule implied in the stimulus exposed implicitly to the learner without one's conscious effort to learn and not noticing that he or she is in a learning atmosphere. Artificial grammar assignment, one of the assignment for checking implicit learning ability used in the precedent research, is to assess whether the artificial grammar chunk, designed on the test stage, has being gained after learning a series of stimulus with randomly designed artificial grammar implicitly. With this perspective, separating words with multiple morphology by its structural and semantic unit and assisting reading understanding by infering the meaning within overall context of the writing in the reading process affects the morphological awareness. Futhermore, morphology knowledge understands its meaning through phonological pattern such as articulatory and this kind of repeated representation of phonological pattern is possible through procedural memory system(Ari-Even Roth et al., 2005) and as this becomes the foundation of implicit learning ability, learning and maintenance of phonological aspect of morphological rule has deep relationship with implicit learning/procedural momory(Ferman et al., 2009).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e the comparison of morphological awareness skills and impilict learning abilities betwee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and futherm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linguistic and non linguistic facto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Reading Disabilites (RD) group and peer Typical Development(TD) group in terms of the following:1) to compare if the performances on morphological awareness task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es and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2) to compare if the performances on sequence learning accuracy and implicit learning abilities to artificial grammar task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3)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accuracy of morphological awareness and artificial grammar task. Total of 30 children aged elementary students from grades 2 to 5 in the study. 15 of 30 children were RD children and the rest were age matched TD. To examine morphological awareness and implicit learning abilities, morphological awareness tasks and artificial grammar task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ll morphological awareness tasks. RD group showed low performance on the morphological awareness when statistically compared to the same age TD group. Second, no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equence learning accuracy, but siginificant group differneces were observed in LRN (implicit learning abilities). That is,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than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on LRN (grammar accuracy subtracted from ungrammar accuracy) Third, the both RD group and TD group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between the morphological awareness and artificial grammar factor (sequence learning accuracy, LR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children with reading abilities exhibited significantly poor morphological awareness and implicit learning abilities. This means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ability was not enhanced smoothly by th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hich requires the ability to process complicated data such as attempting to approach phonological representation according to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nges to read non transparency words(McCutchen et al., 2008). Both groups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between morphological awareness ability and implicit learning. To perform morphological awareness tasks appropriately,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n a text level is required. In other words, lingual ability to infer unfamiliar words by recognizing and decoding morpheme included in unfamiliar multiple morphological words is required(Apel et al. 2013). With this perspective, we infer that significantly correlation between implicit learning ability and morphological awareness ability from any of the group was not found as these abilities have different impacts on the language field. Therefore, we can infer that significant correlation was not found between the two variables as morphological awareness ability is the ability related to inference of the vocabulary within the word and the context, while implicit learning ability is more related to overall language processing factor of grammar, sentence structure, syntactic aspect than the vocabulary knowledge.;읽기는 단순히 인쇄물로 제공된 낱자를 해독하는 행위가 아니라, 전체 맥락에서 내용을 이해하고, 정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나아가 자신의 사전 지식을 활용하여 수집한 정보를 판단 및 적용하는 등 어휘력, 분석력, 추리력, 판단력, 상상력 등의 다양한 인지적 행위가 포함된 초언어적(metalinguistic) 행위이다. 이러한 읽기 능력은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중요한 과업이지만 특히 학령기에게 있어서 학업을 성취하고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이자 학령기 시기의 지속적인 발달을 통해 성인기의 효율적인 읽기 능력 성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처럼 한 개인의 읽기 능력 성취에 있어서 학령기의 정상적인 읽기 능력 발달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최근 적절한 문해 교육이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읽기 학업 성취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읽기장애 아동들의 어려움이 많이 보고됨에 따라 언어병리학적 측면에서 읽기장애 아동의 언어 및 인지적 결함과 더불어 중재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읽기장애 아동의 언어적 결함과 관련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읽기장애 집단은 음운체계에 결함을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음운인식, 음운기억 등의 제한이 읽기장애의 취약한 음운해독을 초래한다고 밝혀왔다(Catts, 1993; Hong et al., 2002). 그러나 Roman et al (2008)은 읽기장애 아동의 제한된 음운인식 능력이 초기 낱말해독 단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만 학년이 높아질수록 읽기 능력에서의 역할이 감소한다고 설명한다. 즉, 읽기의 궁극적인 목표가 낱말 해독을 넘어서 읽기 이해라고 할 때, 원활한 읽기 이해를 위해서 음운론적 정보를 의미론적 정보와 통합하는 능력과 구문 및 맥락 안에서의 정보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이 요구된다(Kim et al., 2015). 읽기 학습에서 형태소 단위로의 분절과 인식은 단어가 갖는 구문 및 의미적 정보를 제공하고 이것은 어휘 습득(Carlise, 2000; Sparks & Deacon, 2013)과 아동 및 성인의 읽기이해능력(Carlisle, 2000; Deacon & Kirby, 2004; Wilson-Fowler, 2011)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다. 형태소는 언어학에서 의미를 지닌 최소 단위를 말하고 형태소인식(morphological awareness)란 단어 내에 포함된 형태소를 생각하고, 조작할 때 발생하는 메타언어 인식능력이다(Apel et al., 2013). 이러한 메타언어 인식능력의 발달은 학령기의 읽기와 쓰기 학습에 중요한 요인으로 학업 능력에 많은 양향을 미친다(Kwon & Seok, 2009). 이러한 측면에서 읽기장애 집단의 형태소인식능력 수행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며 이에 대한 영어권의 많은 선행연구 결과는 대부분 읽기 장애 집단의 형태소인식능력의 취약함을 증명하고(Carlisle et al., 2004; Deacon et al., 2008; Egan & Pring; 2004) 있으나 상이한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Arnbak & Elbro, 2000). 이처럼 읽기장애 아동 집단과 형태소인식능력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가 혼재한 가운데, 국내에서는 읽기장애 아동 집단의 형태소인식능력 수행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학령기 읽기장애 아동의 형태소인식능력 특징을 살펴보는 것은 읽기장애 아동 집단의 결함을 다양하게 이해해 볼 수 있고, 앞으로 읽기장애 아동들에게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마련하는데 기반이 되는 작업이라고 사료된다. 더불어 읽기장애 집단이 보이는 음운, 읽기이해 및 쓰기의 결함에 대해 많은 선행연구들은 언어적 결함에만 국한하여 설명하지 않고, 비언어성 인지처리 능력 중 하나인 암묵적 학습능력의 결함과 연관하여 읽기장애 아동의 결함을 보고하고 있다(Vicari et al., 2003; 2005). 암묵적 학습능력은 학습자가 자신이 학습 환경에 있다는 인식과 학습을 위한 자의적인 노력이 없이, 암묵적으로 노출된 자극에 내재된 특정 규칙을 습득하는 인지적 능력을 말한다. 선행연구에서 사용해 온 암묵적 학습능력 측정 과제로는 순서반응과제(Serial-reaction time, SRT), 통계적학습과제(Statistical learning task, SL) 그리고 인공문법과제(Artificial grammar learning)가 있다. 이 중 인공문법과제는 임의로 설계된 인공문법이 내재된 일련의 자극들을 암묵적으로 학습한 후, 실험단계에서 설계된 인공문법 규칙덩이(chunk)를 얼마나 습득했는지를 평가함으로써 암묵적 학습능력을 측정하는 과제이다. 이러한 인공문법 패러다임을 적용한 과제의 암묵적 학습능력 비교 결과, 인공와우이식아동(Conway et al., 2011), 단순언어장애아동(Ullman & Pierpont, 2005) 그리고 읽기장애아동(Vicari et al., 2003, 2005)은 암묵적 학습능력에 결함을 지님을 밝혀왔다. 인공문법과제가 암묵적으로 제시되는 일련의 자극 안에서 설계된 규칙성(덩이, chunk)을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는 측면에서 이는 언어학적으로 일련의 말소리(phoneme)에서 단어, 구, 절과 같은 덩이(chunk)로 분절하고, 이를 철자(grapheme)와 연결하는 읽기 과정과 유사하다. 특히, 단어의 결합 및 분리에 관여하여 전체 맥락 안에서 구문 및 의미론적 단위로 정보를 통합하고, 의미를 추론하여 읽기 이해를 돕는 형태소인식능력과도 연관 지어 생각해볼 수 있다. 더불어 형태소 지식은 조음 같은 음운론적 패턴을 통해 그 의미를 파악하는데 이러한 반복된 음운적 패턴의 표상은 절차기억체계(procedural memory system)에 의해 가능(Ari-Even Roth et al., 2005)하다. 또한, 인공문법 패러다임과 같은 암묵적 학습능력은 절차기억체계(procedural memory system)을 기반으로 하므로 형태소 규칙의 음운론적 측면의 습득과 유지는 절차기억체계에 의존한다고 고려되어진다(Ferman et al., 2009). 따라서,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형태소인식능력과 인공문법과제를 사용한 암묵적 학습능력의 수행 능력의 비교와 나아가 이 두 언어적-비언어적 변인 간에 어떠한 상관을 보이는지 본 연구에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초등학교 2-5학년에 재학 중인 읽기장애 아동 15명과 생활 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5명 총 30명이었다. 읽기 성취 및 읽기 인지처리 성취 검사(RA-RCP)를 통해 읽기장애 위험군 또는 장애로 판정된 아동들을 읽기장애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과제로는 형태소인식 능력을 측정해줄 수 있는 형태소인식능력 과제와 암묵적 학습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인공문법과제(artificial grammar task)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형태소인식(투명, 불투명)과제, 인공문법과제의 순서학습정확도 및 암묵적 학습능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각각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에서의 과제 간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Pearson product moment)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장애 아동은 또래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형태소인식과제의 투명 및 불투명한 항목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둘째, 읽기장애 아동은 또래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인공문법학습 과제의 순서학습정확도는 유의한 차이를 없었으나 문법 항목과 비문법 항목의 정반응률 차이를 통해 측정된 암묵적 학습능력(LRN)에서도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읽기장애 아동 집단에서 형태소인식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비언어적 인지처리 과제(인공문법학습 과제의 순서학습정확도 및 암묵적 학습능력)는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 아동 집단에서도 형태소인식능력과 인공문법학습 과제의 순서학습정확도, 암묵적 학습능력에서는 어떠한 상관을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형태소인식능력의 항목 유형에 따라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읽기장애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불투명한 과제 수행 정확도에서 투명한 과제 수행 정확도보다 더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는 불투명한 단어를 읽기 위해서는 투명한 단어에 비해서 더 복잡하고 어려운 인지 처리과정을 거쳐야 한다(Kim et al., 2015). 즉, 다형태소 단어를 접했을 때 그 즉시 단어의 구성 단위를 인식하고, 음운 형태적 변화 여부와 그에 따른 음운 표상적 접근을 시도하는 등의 정보 처리 능력(McCutchen et al., 2008)이 요구되는데, 읽기장애 아동의 경우 이러한 능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두 집단 모두 형태소 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 변인은 어떠한 상관도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형태소 인식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한 형태소인식 과제의 적절한 수행을 위해서 단어 수준에서의 이해와 단순한 낱말 해독을 넘어 텍스트 수준에서의 의미 이해에 관한 지식이 필요한 과제이다. 즉, 형태소인식능력은 생소한 다형태소 단어가 주어졌을 때,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소를 인식하여 해석하고 판독함으로써 모르는 단어임에도 불구하고 단어 수준에서의 의미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언어능력이다(Apel et al. 2013). 이러한 측면에서, 암묵적 학습능력과 형태소 인식 능력이 두 집단 중 어느 집단에서도 유의한 상관 결과가 나오지 않은 것은 형태소 인식 능력이 단어 수준 및 맥락에서의 어휘 의미 유추와 연관된 능력인데 반해, 암묵적 학습능력은 어휘지식보다 문법, 구문, 통사적 측면의 전반적 언어 처리 요소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두 변인 간 유의한 상관이 나오지 않았을 수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용어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10 A. 일반아동과 읽기장애 아동의 형태소인식 능력 10 B. 읽기장애 아동의 암묵적 학습능력 13 Ⅲ. 연구방법 16 A. 연구대상 16 B. 연구과제 20 C. 연구절차 및 자료 수집 24 D. 자료분석 26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27 Ⅳ. 연구결과 28 A.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형태소인식능력 28 B.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의 인공문법과제 30 C. 각 집단별 형태소인식능력 및 암묵적 학습능력 간의 상관관계 36 Ⅴ. 결론 및 논의 38 A. 집단 간 형태소인식 능력 비교 39 B. 집단 간 암묵적학습 능력 비교 40 C. 각 집단 별 형태소인식 능력과 암묵적학습 능력 간의 상관관계 42 D.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43 참고문헌 44 부록1. 형태소인식과제의 예시 51 부록2. 인공문법학습과제 52 ABSTRACT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27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읽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형태소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orphological Awareness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Typical development.-
dc.format.pageviii, 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