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선-
dc.contributor.author천성혜-
dc.creator천성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2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6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271-
dc.description.abstractThe linguistic difficulty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s noticeable in the pragmatic area. Thus, the medi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emphasizes not only construction or vocabulary, but also the aspect of social interactive skills. For such mediation of the linguistic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parents' role is important just like groups of other communication disorders. Since parents' responses to their children's speech is an important factor of their communication development, parents need to learn how to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when communicating with them. On top of children's communication development, the parents education plays a positive role in their responses when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The domestic parents education is mostly based on interview and counseling, and those are passive and one-time event, so that it is hard to change parents' awareness or behaviors. Therefore, the mechanical approach is recently used to apply the contents learnt to parents education. The foreign equipments are inefficient in the aspect of expense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researches on if they can be used in Korea. In case of the domestic utterances analysis application, there have been researches only targeti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It means that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es on various disorder groups. Thu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f the utterances analysis application could increas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 education when providing parents education to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also using the application during the mediation of parents education. Targeting 3-4year-ol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14 couples of their parents, through the 25-minute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 pre-evaluation measured the baselines like the number of utterance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rate of initiation, rate of responses, parents' giving cues, and turn-taking of convers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fter the pre-evaluation, total ten sessions of parents education were conducted. Each session of it was for around 1-1.5 hours, and the main contents were comprised of understanding of children's communication, setting up the future goals, following children's lead, keeping turns, promoting communication within games, understanding parents' words, using visual data, making daily routine in daily life, communicating by using songs, books, and toys, and making friends. After the 3rd session introducing strategies, they had time to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based on the strategies learnt from parents education for about 15 minutes. In this process, the whole parents and their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reconciling children's chronological age. The seven pairs of parents and children used the utterances analysis application during the mediation period while the rest seven pairs of them just filled out the journal of using strategies without using the application during the mediation period. After the whole mediation was completed, through the post-evaluation, th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evaluated in the same method with the pre-evaluation.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wing to the influence of the mediation of parents education, the number of utterances and rate of initiation of parents in the experimental/control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 rate of responses, giving cues, and turn-takings of convers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ffect of using the utterances analysis application was shown in the number of parents' utterances, the rate of children's initiation, and rate of responses. Based on the results above, first, parents education had influence on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parents' utterances and rate of initiation, and the increase of the rate of responses while they were more significantly large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utterances analysis application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in case of children, the rate of initiation turns of conversation was increased in the group using the application while it was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The rate of responses was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it was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It means that the feedback on the utterances analysis application provided in real-time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was helpful to make children play a leading role. Third, owing to the effect of parents education, giving cues and turn-taking of conversation were increased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refore, the use of the utterances analysis application providing feedbacks on the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a helpful way to generalize the effect of parents education at home.;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언어적 어려움은 화용 영역에서 두드러진다. 따라서 자페 범주성 장애 아동의 중재는 구문이나 어휘 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측면을 강조하게 된다. 이러한 중재에 있어서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언어발달에는 다른 의사소통 장애군과 마찬가지로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아동의 발화에 대한 부모의 반응은 아동의 의사소통 발달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부모가 아동과 의사소통할 때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 부모교육은 아동의 의사소통 발달뿐만 아니라 부모가 아동과의 상호작용시 어떻게 반응해야하는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부모교육은 면담과 상담이 가장 많은데 이러한 방법들은 수동적이고 일회적이기 때문에 부모의 의식이나 행동에까지 변화를 주기는 어렵다. 따라서 부모교육에서 배운 내용을 가정에서 적용하기 위해서 기기적인 접근이 최근에 사용된다. 국외의 기기들은 비용면에서 비효율적이며, 국내에서 사용이 가능한지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국내의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언어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만 연구가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장애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부모교육 중재 동안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어플리케이션이 부모교육 중재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3-4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과 그 부모 14쌍으로, 사전평가에서 25분간의 부모-아동 상호작용을 통해 부모와 아동의 발화 수, 개시 비율, 반응 비율 그리고 부모의 단서주기 및 부모-아동 대화차례 주고받기에 대한 기초선 측정을 하였다. 사전평가를 거친 이후 총 10회기에 걸친 부모교육이 실시되었다. 부모교육은 매 회기 1시간-1시간 30분 정도 실시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아동의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 앞으로의 목표 세우기, 아동의 주도 따르기, 차례 지키기, 게임 안에서 의사소통 촉진하기, 부모의 말 이해하기, 시각적 자료 이용하기, 일상생활에서 일과 만들기, 노래, 책, 장난감을 이용하여 의사소통하기, 친구 사귀기로 구성되었다. 전략이 소개되는 3회기 이후에는 약 15분 간 부모교육에서 배운 전략을 토대로 아이와 상호작용을 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체 부모-아동을 아동의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두 집단으로 나누어 7쌍의 부모-아동은 중재기간 동안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나머지 7쌍의 부모-아동은 중재기간 동안 어플리케이션 사용 없이 전략 사용 일지만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전체 중재가 종료된 뒤 사후 평가를 통하여 사전 평가와 동일한 방식으로 부모-아동 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교육 중재의 영향으로 실험·통제 집단 부모의 발화 수와 개시 비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반응 비율, 단서주기, 대화차례 주고받기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효과로는 부모의 발화 수와 아동의 개시 비율 및 반응 비율에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첫째, 부모교육은 부모의 발화 수와 개시 비율의 감소 및 반응 비율의 증가에 영향을 주었으며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실험집단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아동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집단의 경우 대화차례 개시 비율이 증가하였고 통제 집단은 감소하였으며, 반응 비율은 실험집단은 감소하였고 통제 집단은 증가하였다. 이는 상호작용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의 피드백이 아동을 주도적으로 만드는 데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한. 셋째, 부모교육의 효과로 단서주기와 대화차례 주고받기가 증가하였으나, 두 집단 간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부모-아동 상호작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은 부모교육 효과를 가정에서 일반화 시키는 것에 도움을 주는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 정의 6 1. 자폐 범주성 장애 6 2. 발화 6 3. 상호작용 기술 6 4. 단서주기 7 Ⅱ. 이론적 배경 8 A.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특성 8 B.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부모교육 9 C. 기기를 활용한 중재 11 Ⅲ. 연구 방법 13 A. 연구대상 13 B. 연구 도구 및 과제 15 1. 부모교육 프로그램 15 2.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 16 C. 연구 절차 19 1. 사전 자료 수집 19 2. 부모교육 실시 20 3. 가정 내 상호작용 전략 사용 22 4. 사후 자료 수집 23 D. 자료 분석 23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24 F. 신뢰도 24 1. 검사자 내 신뢰도 24 2.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 분석 신뢰도 25 G. 중재충실도 25 Ⅳ. 연구결과 27 A. 중재 전후에 따른 집단간 부모의 발화 수 및 개시반응 비교 27 B. 중재 전후에 따른 집단간 아동의 발화 수 및 개시반응 비교 32 C. 집단간 부모의 단서주기 횟수 비교 36 D. 집단간 부모-아동 대화차례 주고받기 횟수 비교 39 Ⅴ. 결론 및 논의 43 A. 결론 및 논의 43 1. 중재 전후에 따른 집단간 부모의 발화 수 및 개시반응 비교 43 2. 중재 전후에 따른 집단간 아동의 발화 수 및 개시반응 비교 45 3. 집단간 단서주기 횟수 비교 46 4. 집단간 부모-아동 대화차례 주고받기 횟수 비교 47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7 참고문헌 49 부록1. 발화 분석 기준 59 부록2. 부모교육 회기 수업자료 예시 60 부록3. 부모-아동 상호작용 일지 61 부록4. 중재충실도 체크리스트 (부모용) 62 부록5. 중재충실도 체크리스트 (연구자용) 63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198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과 부모의 발화 개시 및 반응과 대화차례 주고받기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parental education using utterance-analyzing application on initiation, response, and turn-taking in convers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eir Parents-
dc.creator.othernameCheon, Seonghye-
dc.format.pageix, 67 p.-
dc.contributor.examiner심현섭-
dc.contributor.examiner임동선-
dc.contributor.examiner김영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