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6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용 표현 교육 방안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용 표현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diomatic Expressions Education for the Chinese Student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Materials in China and South Korea
Authors
LI, SHASHA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순희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용 표현 교육 방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국과 한국의 국어(혹은 어문) 교재와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후에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교육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중국 어문 교재에서는 관용 표현 교육을 쓰기 교육에서 강력하게 실시하고 있으며, 한국 국어 교재에서는 관용 표현을 어휘, 문법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다. 양국의 관용 표현 교육 양상의 차이점으로 인해 중국 내 한국어 교재의 관용 표현 교육 양상은 한국 내 한국어 교재의 교육 양상과 상이하다. 이는 양국의 모국어 관용 표현 교육 양상이 한국어 관용 표현 교육에 영향을 준 현상이라고 본다. 즉, 중국 내 한국어 관용 표현 교육은 중국 어문 교육이 전이가 된 것이다. 이 방안은 중국인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한국어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고급 학습자들조차도 한국어 관용 표현의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대체로 관용 표현의 교육 방안이 발전되지 않으며 양국의 관용 표현의 상이점을 모르는 것에 기인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중 관용 표현 교육 양상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방안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는 교재 분석을 총 두 단계로 실시하여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관용 표현 교육 실태를 파악하기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국어와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하여 관용 표현 활용 방식을 고찰하고, 양국의 모국어 교육 양상의 상호 다른 점을 비교하도록 하겠다. 즉, 교재 분석을 바탕으로 모국어 관용 표현 교육 현황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1차 분석에서는 모국어 전이를 고려하여 한·중 양국의 모국어 교재 중에 관용 표현을 분석하여 특성을 정리하며, 2차 분석에서는 한·중 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관용 표현 교육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관용 표현을 효과적으로 이해하여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고안하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 1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문제와 기존의 관용 표현 교육의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한국어 관용 표현 교육을 위한 이론적인 배경을 논의하였다. 제2언어 교육에서의 전이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관용 표현을 이해할 때 나타난 언어 전이를 논의하였다. 또한 관용 표현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에 앞서 관용 표현의 기초 연구와 대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3장에서는 2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교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한국과 중국의 모국어 관용 표현의 실태를 살펴본 후에 중국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재를 검토하였다. 한·중 양국에서 출간된 교재를 각각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교재 중에 관용 표현 교육 양상과 등장 위치를 비교하여 긍정적인 문화 전이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와 부정적 문화 전이를 어떻게 극복하는가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4장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관용 표현 교육 방안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학습자들이 더 효과적인 의사 전달을 할 수 있게 만들고 관용 표현을 자연스럽게 구사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교재 분석을 통하여 중국과 한국의 모국어 관용 표현 교육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밝히고 한국과 중국의 교육 양상 차이를 고려한 관용 표현 교육 방안을 구축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teaching plan for idiomatic expressions intended for Chinese students learning Korean.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problems that were identified when the native (national) language teaching materials in China and South Korea were analyzed with respectto the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China, the teaching materials on Chinese for native speakers heavily emphasize idiomatic expressions as part of the writing curriculum. In contrast, in South Korea, idiomatic expressions are emphasized in the vocabulary and grammar curriculums. This clearly shows the different educational approaches used in China and South Korea when it comes to idiomatic expressions. As a consequence,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within China are different fromthe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within South Korea in the approaches used. This is attributed to how each country differs in theirnative language education for idiomatic expressions. That is,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within China is acting is being affected by a negative transfer stemming from the methods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The plan developed in this study targeted advanced Chinese students of the Korean language. Even thes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have difficulties acquiringthe use and understanding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Such difficulties are primarily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education of idiomatic expressions has not evolved and to the fact that there is no awarenes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ith respect to idiomatic expressions. Therefore, this study set out to resolve this issue. It compared how idiomatic expressions are taught differently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based on the findings, developed an educational plan of idiomatic expressions for Chinese students of Korean.  The analysis of the teaching materials was done in two stage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matters with regard to how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are taught to advanced Chinese students of Korean.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Korean idiomatic expression teaching materials targeting native speakers and those targeting foreign learners. This was done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native language education. That i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practices with regard to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based on this analysis of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 first-stag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idiomatic expression teaching materials were determined for the two countries, taking into account the effects of L1 transfer. In the second-stage analysis, Korean learning materials published in South Korea and China were analyzed to examinethe different aspects of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ur aim was to understand how idiomatic expressions are taught to learners of Korean, in order to develop an effective plan of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Chapter1 examin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s well as its research problems and previous studies on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Chapter2 discus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ransfer i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were examined. In addition, we discussed language transfer that takes place when an understanding of how idiomatic expressions work is gained. Lastly, basic research of idiomatic expressions was conductedin addition to contrastive analysis in prepa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lan. Chapter3 analyzed th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discussions in Chapter 2. First, current practices with regard to idiomatic expressions were examined for South Korea and China. Then, Korean learning materials targeting Chinese students were examined. The learning materials published in South Korea and China wereanalyzed and compared.  The section on idiomatic expressions in the learning materials was examined in order to investigate how positive cultural transfer takes place, and how to overcome negative cultural transfer.  Finally, in Chapter 4,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ceding analysis, an effective educational plan for idiomatic expressions was developed. The aim was to enablethe learners to perform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a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let them use idiomatic expressions more naturally.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native language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by analyzing teaching materials in the respective countries. Furthermore, it developed an educational plan of idiomatic expressions that takes into account the differing educational approaches used in South Korea and Chin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