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1 Download: 0

초등 교사들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인식과 실천

Title
초등 교사들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인식과 실천
Other Titles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n primary school trip
Authors
류수연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원
Abstract
Although school trips have become common practice in Korean primary schools, the implementation of these trips greatl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trips held per year, the degree of connection to the school’s curriculum, and the quality of each learning activity. Considering that primary school teachers are oftentimes solely responsible for selecting, planning, and organizing most of the trips each year, they offer an invaluable source of opinion regarding the practice of primary school tr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and their implementation of primary school field trip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how do primary teachers think and perceive school trips? Second, do teachers’ perceptions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trips? Third, do teachers’ perceptions affect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during school trips? Fourth, do teachers’ perceptions affect the meaning of geography education? Based on these four questions, we interviewed and surveyed 40 primary school teachers. The 40 teach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30 teachers in Group A and 10 teachers in Group B. Group A was randomly selected from teachers employ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Group B, serving as the positive control, is purposely composed of 10 teachers who are good at planning and organizing school trips. Total number of cases obtained from teachers is 72, in which 47 cases are from Group A and 25 cases are from Group B.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from Group A and B see field trips as being closely related to the school curriculum. In addition, both groups assigned not only learning value, but also entertainment and social value to school trips. Second, in terms of field trip implementation, teachers from both groups carried out most field trips in a grade-wide manner. For classroom-based trips, both group of teachers exceeded the number of trips required by their institutions, and this is greatly attributable to the teachers’ will and effort. In addition, most Group A teachers utilized a third-party organization to implement the trips, while most Group B teachers were solely in charge of the implementation. Third,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oth groups pursued connections with social studies. In Group A, most cases showed no connection to the school curriculum, and most students showed low level of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In Group B, most cases involved a strong connection to the national and class curriculum, and most students showed above-average level of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Four, teachers in Group A associated school trips and geography education around the expansion, feeling, and happiness of personal life, while teachers in Group B approached school trips as a way to learn more about geography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s on primary school trip affect the way they practice. Depending on whether the teacher see the planning and implementing of the trips as a burden or an opportunity, the quality of the trip will vary – even for the same location and program. Second, teachers who perceive school trips as another learning opportunity for the students make the best use of the trips. Teachers who have viewpoint on reinforcement and expansion upon the learned knowledge and skills, opportunity for making social participation make curriculum connection a lot, plan and practice the program in person and make students play active and leading role in learning activity.;초등학교에서 현장체험학습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보편적으로 시행되지만 운영에 있어서는 시행 횟수에서부터 위탁 여부, 교육과정 연계 정도, 교수학습활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현장체험학습을 선택,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이 교사라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장체험학습에 대해 교사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사들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인식이 현장체험학습의 계획과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 교사들은 현장체험학습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둘째, 교사의 인식에 따라 현장체험학습의 운영형태가 달라지는가? 셋째, 교사의 인식에 따라 현장체험학습에서의 교수학습활동이 달라지는가? 넷째, 교사의 인식에 따라 현장체험학습의 지리교육적 의의가 달라지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4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전화인터뷰와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40명의 교사들은 30명과 10명으로 각각 A와 B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A집단의 30명은 연구자의 의도를 배제하기 위해 서울시교육청 내의 초등학교에 소속된 교사를 임의로 선발하였다. B 집단의 10명의 교사들은 30명에 대한 대조군으로서, 이들은 현장체험학습에 관심이 많아 현장체험학습을 자주 실시하거나, 효과적으로 실시한다고 알려져 있는 교사들로 연구자가 의도적으로 선정하였다. 2가지 이상의 사례에 대해 응답한 교사들로 인해 수집된 사례의 수는 A집단 47건, B집단 25건으로 총 72건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 집단과 B 집단의 교사들은 현장체험학습을 교과와 관련된 시간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두 집단 모두 현장체험학습을 학습적인 가치 이외의 여가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 큰 가치를 부여한다. 사회참여적 측면의 가치는 B 집단에서만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장체험학습 운영에 있어 A와 B 집단의 교사들은 대부분 학년 단위로 시행하였으며 학급으로 시행하는 경우는 A와 B 집단 모두 학교에서 공통으로 정해진 횟수를 넘어 교사 개인의 의지와 노력에 의한 형태가 많다. A 집단에서는 외부 업체에 위탁하는 경우, B 집단에서는 교사 책임 운영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셋째, 교수학습활동에 대해서는 A와 B 집단 모두 사회과와의 연계성을 가장 많이 찾았다. 교육과정 연계성 측면에서 A 집단에서는 교육과정과는 연계되지 않은 형태의 현장체험학습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활동에 대한 학생책임감이 모두 낮은 모습을 보였다. B 집단에서는 국가와 학교/학급의 두 교육과정과 모두 연계된 형태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활동에 대해 보통 수준 이상의 책임감을 부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A 집단의 교사들이 현장체험학습의 의의를 사적 지리의 측면에서 개인의 일상세계의 확장, 느낌, 즐거움에 초점을 둔 것과는 다르게 B 집단은 교육내용과 매개체로서의 의의와 함께 학습 내용으로서의 지리, 즉 공적(公的) 지리의 측면에서 현장체험학습의 가치를 찾는 모습을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첫째,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실제 실행하는 방식과 연결된다. 교사가 현장체험학습을 부담 혹은 기회로 인식하는지에 따라 같은 장소, 같은 프로그램을 선택하더라도 다른 방식으로 실행하게 된다. 둘째, 현장체험학습을 교과교육의 장으로 인식하는 교사들이 현장체험학습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교과학습의 확장된 형태, 사회 학습 및 참여의 기회로 생각하는 경우 교육과정 연계성이 높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현장체험학습이 학급별로 추가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며, 교사가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직접 계획하고 실행하며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도록 활동을 설계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