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재숙-
dc.contributor.author신민서-
dc.creator신민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3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6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315-
dc.description.abstract가야금 산조는 제1세대인 김창조가 전수한 선율을 토대로 제3세대까지 유파를 형성해 왔다. 이 과정에서 제2ㆍ3세대 가야금 산조의 명인들은 스승의 선율을 그대로, 또는 선율이나 기능을 변화하여 전승하거나 새로운 선율을 창작하여 가야금산조를 구성하였을 것이며, 그 구성 내용은 유파나 계보, 세대에 따라 각자 다른 양상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김창조의 음악을 전승하는 가야금산조의 가락 중 3세대 이상으로 구성된 계보를 가지고 있고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을 통해 예술성을 인정받은 김죽파와 김윤덕의 계보에 해당하는 김창조ㆍ한성기ㆍ안기옥ㆍ정남희ㆍ김죽파ㆍ김윤덕의 가야금산조 전체 악장 중 조성과 단락의 구성이 가장 다양하게 나타나는 진양조만을 대상으로 유파별ㆍ계보별 선율 구성의 특징 및 세대별 선율구성과 전승양상을 살펴보았고 그 결과를 유파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세대 김창조의 선율구성을 살펴본 결과, 우조와 돌장의 구성선율은 어느 정도 정형화되었으며, 평조와 계면조는 산조의 특징 중 하나인 즉흥성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김창조를 전승하는 제2세대 한성기의 자료 3종을 분석하여 선율구성을 살펴본 결과, 김창조에 비해 동일선율의 비율이 높아지고 유사선율의 비율은 낮아졌다. 다시 말해 한성기는 김창조에 비해 즉흥성이 약화되었으며, 특히 우조와 계면조를 중심으로 선율이 정형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우조와 계면조에서 공통선율의 순서가 뒤바뀌는 등 구조에 변화가 나타났는데 이는 의도적이기보다는 아직까지 산조의 즉흥성이 살아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한성기에 나타나는 김창조선율의 전승양상의 경우, 대체로 단락 내 시작선율을 스승인 김창조의 것으로 하고 단락의 후반부에 새로운 선율을 추가하는 구성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선율의 단락 내 기능이 시작ㆍ중간ㆍ종지로 바뀜에 따라 중심음의 변화, 또는 선율의 후반부를 변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셋째, 김창조를 전승하는 제2세대 안기옥의 자료 3종을 분석하여 선율구성을 살펴본 결과, 김창조에 비해 동일선율의 비율이 다소 높아졌고, 유사선율은 급격히 줄었으며, 상이선율이 매우 많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한성기와 마찬가지로 우조와 계면조를 중심으로 선율이 정형화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또한 안기옥은 공통선율을 악조마다 중반부에 배치하고 앞과 뒤에 새로운 선율을 짜는 특징이 있었다. 안기옥에 나타나는 김창조선율의 전승양상의 경우, 김창조의 선율은 동일한 선율을 동일한 기능으로 사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기능이 바뀌어도 선율의 변형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즉 안기옥은 김창조의 선율을 변형하지 않고 전승하였으며 자신의 새로운 선율을 추가하는데 집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안기옥에게 배운 제2세대 정남희의 자료 5종을 분석하여 선율구성을 살펴본 결과, 안기옥에 비해 우조ㆍ돌장ㆍ평조에 공통선율이 많았으며, 우조선율은 공통선율 중에도 유사선율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즉 정남희는 우조ㆍ돌장ㆍ평조의 선율을 대체로 고정화하였고 그 중 우조선율의 변형을 통해 자신만의 선율의 독자성을 표현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계면조는 스승의 선율이외에 많은 창작선율을 추가하여 상이 선율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정남희에 나타나는 김창조와 안기옥선율의 전승양상의 경우, 진양조 선율을 구성할 때 김창조와 안기옥의 전승선율의 단락 내 동일한 기능의 선율을 나누고 새로운 선율을 삽입하는 등 선율의 구조변화와 새로운 선율의 창작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김창조와 한성기의 진양조 재구성 선율과 김죽파의 선율을 분석하여 전승양상을 살펴본 결과, 김죽파는 자신의 산조 중 진양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우조의 선율변형을 통한 활용과 계면조선율의 추가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선율의 구조면에서는 각 단락의 시작선율을 김창조의 선율로 구성하는 한성기의 선율구성법을 일부 차용하면서도 우조와 계면조의 일부 단락의 시작선율을 자신의 새로운 선율로 구성하여 자신만의 선율의 독자성을 표현한 것으로 여겨진다. 여섯째, 김창조와 안기옥, 정남희의 진양조 재구성 선율과 김윤덕의 선율을 분석하여 전승양상을 살펴본 결과, 김윤덕은 진양조를 구성할 때 선율을 추가하여 산조를 구성하기보다는 김창조와 안기옥의 전승선율을 중심으로 선율의 변형을 적절히 활용하였다. 또한 선율의 구조면에서 안기옥ㆍ정남희와 달리 김창조의 선율을 대체로 단락의 시작선율로 배치하는 등 선율의 교차ㆍ확장ㆍ단락 내 기능의 변화 등을 활용한 선율의 짜임새에 중점을 두었다. 요컨대 제2세대는 제1세대에 비해 진양조를 구성할 때 우조와 계면조의 선율이 점차 정형화 되고 있었으며, 구조의 변화를 통한 선율의 짜임새 보다는 각자 새로운 선율의 추가에 집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3세대의 경우 제2세대에 비해 선율을 추가하는 경우가 줄어들었으며, 선율을 변형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공통점이 있었다. 또한 선율의 짜임새를 고려하여 기능이 변화하는 경우와 선율을 변형하는 활용이 늘어났고 그 방법 또한 어느 정도 규칙성을 가지는 면을 볼 수 있었다.;Gayageum Sanjo has developed diverse school from the first generation Kim Chang-jo, to the Third generation which was based on the melody of Kim Chang-jo. In this process, Each performer composed their own Gayageum Sanjo with melody of teachers, modified melody or function of teachers, and newly created melody. Therefore, the contents of Sanjo had different aspect by school, pedigree and generation. This Study is about the aspects and features of Gayageum Sanjo melody by school and pedigree. Object of the study was focused on Kim Juk-pa and Kim Yoonduk School: Kim Chang-jo, Han Sung-gi, An Gi-ok, Jung Nam-hee, Kim Juk-pa, and Kim Yoon-duk. Their Sanjo were handed down Kim Chang-jo melody over third generation, and recognized its artistic value by designation of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The Analysis is concentrated on Jinyangjo, which showed various formation of Jo (scale) and paragrap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melodic organization of Kim Chang-jo, the first generation, the melody of Ujo and Doljang were partly standardized. The melody of Pyungjo and Gyemyeonjo showed strong improvisation, which is one main characteristic of Sanjo. Second, by analyzing three scores to find melodic organization of Han Sung-ki, the second generation who was handed down Kim Chang-jo, the same melody with Kim Chang-jo appeared more while the similar melody appeared less. In other words, the improvisation of Han sung-ki was weaker than Kim Chang-jo, and the melody standardized especially on Ujo and Gyemyeonjo. Still, the alterations of structure were partly appeared on Ujo and Gyemyeonjo, such as switched order of common melody. This seems not intentional but significant for the evidence of improvisatory features which had been still alive. About the remains of Kim Chang-jo melody on Han Sung-ki Sanjo, the paragraph mostly started with melodies of Kim Chang-jo, and new melody added on the latter. As the function of melody changed to beginning-middle-finish in each paragraph, main tone or the latter part of paragraph were sometimes changed. Third, by analyzing three scores to find melodic organization of An Gi-ok, the second generation who was handed down Kim Chang-jo, the same melody with Kim Chang-jo were a little more appeared, and the similar melody were decreased drastically, while the different melody were relatively increased. This shows the melody was standardized, especially on Ujo and Gyemyeonjo, like Han Sung-ki Sanjo. Also, the paragraph of An Gi-ok Sanjo was consisted of common melody on the middle, and new melody on former and latter. About the remains of Kim Chang-jo melody on An Gi-ok Sanjo, the same melody was used with same function. Even though the function was changed, the melody was hardly modified. That is to say, the melody of An Gi-ok Sanjo handed down Kim Chang-jo without transformation, and new melody by him was added. Fourth, by analyzing five scores to find melodic organization of Jung Nam-hee, the second generation who was handed down An Gi-ok, overlapped melody were more appeared than An Gi-ok in Ujo, Doljang and Pyungjo part. Especially on Ujo part, similar melody appeared considerably. In other words, Jung Nam-hee immobilized the melody of Ujo, Doljang and Pyungjo, and expressed his identity by modification of Ujo part. On Gyemyeonjo, the proportion of different melody were higher since created melody were a lot more added than melody of teachers. About the remains of Kim Chang-jo and An Gi-ok melody on Jung Nam-hee Sanjo, the change of structure were appeared on Jinyangjo, by dividing same functional melody of Kim Chang-jo and An Gi-ok and inserting new melody. This means the Sanjo of Jung Nam-hee was more focused on creating new melody. Fifth, by analyzing reconstituted Jinyangjo melody of Kim Chang-jo and Han Sung-ki Sanjo and Kim Juk-pa melody to study transmission aspects, Kim Juk-pa put emphasis on application of Ujo melodic transformation and addition of Gyemyeonjo melody. Organizing method of Han Sung-ki which starts paragraph by Kim Chang-jo melody was partly borrowed. Though some paragraph on Ujo and Gyemyeonjo were begun with new melody, and it expresses a unique characteristic of Kim Juk-pa Sanjo. Sixth, by analyzing reconstituted Jinyangjo melody of Kim Chang-jo, An Gi-ok, Jung Nam-hee and Kim Yoon-duk melody to study transmission aspects, Kim Yoon-duk utilized transformation of Kim Chang-jo and An Gi-ok melody, rather than creating new. Also, unlike An Gi-ok and Jung Nam-hee, the paragraph mostly put Kim Chang-jo melody on beginning. Which shows Kim Yoon-duk Sanjo was focused on the organization, with utilization of melodic intersection, extension, and functional alteration. In conclusion, the second generation were more gradually standardized Ujo and Gyemyeonjo melody than the first generation. Each Sanjo mostly concentrated on the addition of new melody than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change of structure. On the third generation, they had common in aspects of decreasing new melody and transforming more. The transformation were about function or melody considering the organization, and it was pretty regula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선행연구의 검토 4 C.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8 II. 김창조계 가야금산조의 선율분석과 재구성 17 A. 김창조계 가야금산조의 선율 분석 17 B. 김창조계 갸아금산조의 구조 변화 양상 45 C. 김창조계 가야금산조 선율의 재구성 73 D. 소결론 119 III. 계보별 가야금 산조의 구성 122 A. 김죽파류 가야금산조 계보의 선율비교와 구조변화 122 B.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계보의 선율비교와 구조변화 143 C. 소결론 181 IV. 김창조계 가야금산조 공통선율의 활용 양상 184 A. 공통선율 분석 184 B. 구조 내 기능 및 선율유형에 따른 활용 양상 235 C. 소결론 248 V. 결론 252 참고문헌 255 부록 1. 참고악보 259 부록 2. 김죽파와 김윤덕의 생애 343 ABSTRACT 3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8040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김죽파·김윤덕류의 전승과정에 나타난 김창조계 가야금산조의 구성 양상-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진양조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spects of Kim Chang-jo Gayageum Sanjo Organization in Kim Juk-pa, Kim Yoon-duk School Transmission Process : Focused on Jinyangjo-
dc.format.pagexvii, 351 p.-
dc.contributor.examiner강영근-
dc.contributor.examiner곽은아-
dc.contributor.examiner김선옥-
dc.contributor.examiner임진옥-
dc.contributor.examiner문재숙-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