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은아-
dc.contributor.author장지현-
dc.creator장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8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6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858-
dc.description.abstract줄풍류는 거문고를 중심으로 가야금, 해금, 세피리, 대금, 양금, 단소, 장구 등으로 편성한 현악기 위주의 풍류음악을 가리킨다. 풍류음악은 조선후기에 정기적으로 풍류를 즐기며 서로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한 풍류방의 연주모임에서 비롯되었다. 오늘날 전해지는 줄풍류는 국립국악원을 주축으로 하는 경제 풍류와 향제 풍류인 내포 풍류, 호남 풍류 등이 있다. 본고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김윤덕의 가야금 선율과 거문고 선율은 호남 줄풍류에 영향을 끼친 주요한 선율로서 이 선율이 어떻게 경제 풍류와 다르게 나타나고 향제 풍류로서 가야금과 거문고의 선율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김윤덕 줄풍류의 현악기 선율을 비교하기 위해 Ⅲ장에서 국립국악원과 김윤덕 줄풍류의 가야금 선율 및 거문고 선율을 비교하고, Ⅳ장에서 김윤덕 줄풍류의 가야금 및 거문고 선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국악원 줄풍류와 김윤덕 줄풍류는 전체 251각으로 각 수는 동일하고 분장(分章)의 구성은 국립국악원 31장 김윤덕 41장으로 나타났다. 악곡별 구성을 살펴보면 상령산은 국악원 4장 17각, 김윤덕 5장 17각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령산은 국악원과 김윤덕 모두 5장 18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령산은 국악원 4장 14각, 김윤덕 5장 18각으로 구성되어 있고, 가락덜이는 국악원 3장 10각, 김윤덕 3장 15각으로 각 수의 차이가 나타났다. 상현도드리는 국악원 4장 35각, 김윤덕 3장 26각으로 장 수와 각 수의 차이가 나타났다. 하현도드리는 국악원 4장 26각, 김윤덕 3장 26각으로 각 수는 동일하나 장 수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염불도드리는 국악원 4장 51각, 김윤덕은 5장 51각으로 각 수는 동일하지만 장 수의 차이가 나타났다. 타령은 국악원과 김윤덕 모두 32각으로 각 수가 동일하나 국악원은 4장 김윤덕은 5장으로 장 수의 차이가 나타났고 군악은 국악원 4장 48각, 김윤덕은 7장 48각으로 각 수는 동일하나 장 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국립국악원 줄풍류와 김윤덕 줄풍류의 가야금 및 거문고 선율을 각각 비교하여 동일선율, 유사선율, 상이선율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동일선율을 제외한 유사선율 형태는 총 4개의 유형이 나타난다. 유사선율형은 슬기둥 주법이 나타나는 제①형, 왼손 추성 또는 퇴성 주법이 나타나는 제②형, 음을 추가하는 제③형, 음을 덜어내는 제④형이 나타난다. 상이선율 형태는 총 4개의 유형이 보이며, 상이선율형은 서로 다른 음으로 진행하는 제󰊱형, 서로 다른 음으로 진행하며 왼손 추성 또는 퇴성 주법이 나타나는 제󰊲형, 서로 다른 음으로 진행하며 음이 추가되는 제󰊳형, 서로 다른 음으로 진행하며 음을 덜어내는 제󰊴형이 나타났다. 셋째, 국립국악원 줄풍류와 김윤덕 줄풍류의 가야금 및 거문고 선율 구성을 한 박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가야금은 동일선율 72%, 유사선율 6%, 상이선율 17%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 중 동일선율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상현도드리이며 상이선율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하현도드리이다. 거문고는 동일선율 83%, 유사선율 5%, 상이선율 10%의 비율이 나타났다. 이 중 동일선율의 가장 비중이 높은 것은 가락덜이고 상이선율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군악이다. 넷째, 김윤덕 줄풍류 가야금․거문고 선율 구성을 한 박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동일선율 64%, 유사선율 4%, 상이선율 31%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 중 동일선율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가락환입이고 상이선율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군악이다. 위와 같은 결론은 가야금의 경우 국립국악원 줄풍류 연주 시 정악 가야금을 사용하는 반면, 향제 줄풍류인 김윤덕 줄풍류는 산조 가야금을 사용하여 이에 따른 음의 구성의 차이가 있어 상이선율의 비율이 거문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김윤덕의 가야금과 거문고 선율의 특징은 동일선율의 비율이 높으며 상이선율은 군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이는 가야금과 거문고 가락의 리듬 분할이 빈번이 출현하는데 기인한다.;Julpungryu indicates the tasteful music which consists of string instruments, such as gayageum, haegeum, sepiri, daegeum, yanggeum, danso, janggu, and geomungo in the center. The tasteful music is originated from the performance gathering of the pungryu room, which was to promote the friendship regularly while enjoying the taste of the ar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Julpungryu introduced these days are the Gyeongje Pungryu which is centered around the National Gukak Center, and the Hyangje Pungnyu such as the Naepo Pungryu and the Honam Pungryu. The gayageum melody and the geomungo melody of Yundeok Kim, which will be studied in this dissertation, are main melodies that affected the Honam Julpungryu. This dissertation will closely look at what kind of differences those melodies have with the Gyeongje Pungnyu, and what kind of differences those melodies show in gayageum and geomungo as the Hyangje Pungnyu. This dissertation will compare the gayageum melody and the geomungo melody of Julpungryu Yundeok Kim Julpungryu to Julpungryu of the National Gukak Center in the Chapter Ⅲ to compare melodies of string instruments of Julpungryu of Yundeok Kim. In Chapter Ⅳ, the gayageum melody and the geomungo melody of Yundeok Kim were compared. Results of comparisons are as follows. First, Julpungryu of Yundeok Kim and Julpungryu of the National Gukak Center both had the identical amount of gaks, a total of 251gak. The formations of bunjang were different as the National Gukak Center has 31jang and Yundeok Kim has 41jang. When looking into the formation of the music, Sangryeongsan was formed differently as the National Gukak Center’s has 4jang 17gak, whereas Yundeok Kim’s has 5jang 17gak. Jungryeongsan was formed with 5jang 18gak for both the National Gukak Center and Yundeok Kim. Seryeongsan was formed differently as the National Gukak Center had 4jang 17gak, whereas Yundeok Kim’s was formed with 5jang 18gak. Garakdeori showed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gak as the National Gukak Center had 3jang 10gak and Yundeok Kim had 3jang 15gak. Sanghyeondodri was formed differently where they had different numbers of jangs and gaks; the National Gukak Center had 4jang 35gak and Yundeok Kim had 3jang 26gak. Haheyondodri had an identical number of gaks but a different number of jangs, the National Gukak Center had 4jang 26gak, and Yundeok Kim had 3jang 26gak. Yeombuldodri had an identical number of gaks but a different number of jangs, the National Gukak Center had 4jang 51gak, and Yundeok Kim had 5jang 51gak. Both the National Gukak Center and Yundeok Kim had 32gaks for Taryeong, but the National Gukak Center had 4jang, and Yundeok Kim had 5jang. For the military music, the National Gukak Center had 4jang 48gak and Yundeok Kim had 7jang 48gak, so there was a difference found in the number of jangs. Secondly, when comparing tunes of gayageum and geomungo for the National Gukak Center’s Julpungryu and Julpungryu of Yundeok Kim, tunes were separated into the identical tune, similar tune, different tune. There were four types of similar tunes besides the identical tune. The similar tune type was categorized as follows; the number ① type shows the seulgidung playing style, the number ② type shows left-handed chuseong and toiseong playing styles, the number ③ type shows adding notes, and the number ④ type shows taking out notes. There were four types of different tunes; the number 󰊲 type goes with different notes, the number 󰊲 type shows goes with different notes along with left-handed chuseong and toiseong playing styles, the number 󰊳 type goes with different notes while adding more notes, and the number 󰊴 type goes with different notes while taking out notes. Thir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melody formation of gayageum and geomungo for the National Gukak Center’s Julpungryu and Julpungryu of Yundeok Kim based on the standard of one beat, gayageum had 72% of the identical melody 6% of the similar melody and 17% of the different melody. Among these, Sanghyeondodri had the highest ratio of the identical melody and Hahyeondodri had the highest ratio of the different melody. Geomungo had 83% of the identical melody, 5% of the similar melody, and 10% of the different melody. Among these, Garakdeori had the highest ratio of the identical melody, and the military music had the highest ratio of the different melody. Fourth, when reviewing the melody formation of gayageum and geomungo for Julpungryu of Yundeok Kim based on the standard of one beat, the ratio showed 64% of the identical melody, 4% of the similar melody, and 31% of the different melody. Among these, Garakhwanip had the highest ratio of the identical melody, and the military music had the highest ratio of the different melod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ormation of tunes because the National Gukak Center and Yundeok Kim uses different gayageums. The National Gukak Center uses the jeongak gayageum when playing Julpungryu, whereas the Hyangje Julpungryu of Yundeok Kim uses the sanjo gayageum. Hence, the ratio of the different melody is higher than geomungo. Furthermore, characteristics of melodies of gayageum and geomungo for Yundeok Kim is that it has a high ratio of the identical melody, and the different melody is most frequently shown in the military music. This results from the rhythm separation of melodies of gayageum and geomungo.-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2 C.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6 Ⅱ. 줄풍류의 형성 9 A. 국립국악원 줄풍류의 형성배경 9 B. 김윤덕 줄풍류의 형성배경 10 C. 악장 구성 13 Ⅲ. 국립국악원 줄풍류와 김윤덕 줄풍류의 현악기 선율 비교 16 A. 가야금 선율 비교 16 1. 상령산 16 2. 중령산 25 3. 세령산 33 4. 가락덜이 38 5. 상현도드리 42 6. 하현도드리 46 7. 염불도드리 53 8. 타령 61 9. 군악 71 B. 거문고 선율 비교 90 1. 상령산 90 2. 중령산 97 3. 세령산 106 4. 가락덜이 110 5. 상현도드리 112 6. 하현도드리 116 7. 염불도드리 121 8. 타령 127 9. 군악 134 C. 소결 149 Ⅳ. 김윤덕 줄풍류의 가야금거문고 선율 분석 152 A. 본풍류 152 1. 본영산 152 2. 중령산 159 B. 잔풍류 165 1. 세령산(잔영산) 165 2. 가락환입 169 3. 상현도드리 172 4. 하현도드리 177 5. 염불도드리 182 6. 타령 188 7. 군악 192 C. 소결 201 Ⅴ. 결론 203 참고문헌 206 참고자료 213 부록악보 226 ABSTRACT 2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3982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김윤덕 가야금과 거문고 줄풍류의 선율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the melody of gayageum and geomungo Julpulryu of Yundeok Kim-
dc.format.pagexx, 253 p.-
dc.contributor.examiner강영근-
dc.contributor.examiner김선옥-
dc.contributor.examiner안현정-
dc.contributor.examiner임진옥-
dc.contributor.examiner곽은아-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