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채현경-
dc.contributor.author강민지-
dc.creator강민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8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6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83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unting Cantata” (Was mir behagt, is nur die muntre Jagd!) BWV 208 by Johann Sebastian Bach (1685-1780)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 and lyrics in order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his early large-scale vocal music within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how a variety of national music styles were integrated and how a composer who never composed any opera combined dramatic components into the narrative cantata genre.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ckground of Bach’s creative environments during the Weimar period,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It also identifies the ways in which the new environment affected his cantata compositions compared with previous periods, including his opinion of the genre itself and specifically what prompted him to begin writing his own cantata. Next, the study describ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ecular cantata in the 18th century and examines the unique types and features of Bach’s secular cantata, thereby contextualizing the position of “Was mir behagt, ist nur die muntre Jagd” BWV 208 (sometimes call “The Hunting Cantata”) within music history. The focus of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 and lyrics. In particular, it analyzes a variety of devices employed by Bach to enhance the meaning of the text, from the simplest technique of word-painting, which was utilized for the effective delivery of the lyrics, to more elaborate composition techniques, such as granting symbolic motives to a specific object. In Bach’s music books, he clearly classified the existing 20 secular cantata into the two categories, namely, ‘drama per musica’ and ‘cantate,’ with different titles in general. However, although the “Hunting Cantata” was designated as a cantate, it representes a mixture of genres, given that it includes mythical characters that served as themes in operas and provided dramatic components of action in the beginning of the piece. It can thus be surmised that the nature of the musical drama, therefore, mirrors the format of an opera. Bach’s attempts at hybridity is revealed in his integration of musical styles. For example, the persuasive expression of the lyrics that were prevalent in the Italian music—the dotted rhythm and the application of a slow tempo with dignity—appeared in French orchestral music and was then appropriated and combined with a German style of choral-singing. This was a significant attempt to introduce the new possibilities of large-scale vocal music compositions, which did not yet existed, but which eventually culminated in the musical achievement of the Leipzig church cantata cycl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secular cantata, a topic that has been thus far neglected. Moreover, i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to observe a composer’s development as a vocal music composer, as well as the musical aspects of vocal music at that time based on the exploration of the secular Hunting Cantata. In particular, there are divided opinions regarding Bach’s lack of opera compositions, yet it can be surmised that he was able to resolve his creative desire to compose in a genre that was otherwise forbidden by the Church by combining various styles and dramatic components within the secular cantata, which were deemed acceptable. ;본 연구의 목적은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80)의 현존하는 세속칸타타 중 가장 오래 된 작품인 <나의 즐거움은 오직 사냥 뿐!(Was mir behagt, is nur die, muntre Jagd!)> BWV 208을 음악과 가사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의 초기 대규모 성악곡의 음악적 특성을 시대적 사회문화적 콘텍스트 안에서 탐색하는 것이다. 특히 당시 만연했던 다양한 민족적 음악 양식들이 어떻게 융합됐으며, 한편의 오페라도 작곡하지 않은 작곡가가 서사적인 칸타타 장르에 어떻게 극적인 요소들을 혼합하여 라이프치히 칸타타 사이클로 정점을 이루는 극적인 음악 장르를 만들어 냈는지, 그 과정을 알아보는 것이 가장 큰 주안점이다. 본 논문은 먼저 바흐가 바이마르시기의 창작 활동환경의 배경을 문헌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이전 시기와 비교해서 새로운 환경의 어떤 다른 점들이 칸타타 작곡에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한다. 이는 바흐가 ‘칸타타’라는 새로운 장르를 작곡하기 시작할 때 이 장르에 대한 그의 생각과 계기를 이해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이탈리아에서 탄생한 18세기 세속 칸타타의 총체적인 특징을 간단하게 서술하고, 바흐 세속 칸타타의 독특한 유형과 특징을 탐구하여 ‘사냥칸타타’라고도 불리는 바흐의 세속칸타타 <나의 즐거움은 오직 사냥 뿐!> BWV 208의 음악사적인 위치를 다시 생각해 볼 것이다. 본 연구자는 작품 분석에서 음악과 가사와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바흐가 가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 가사 그리기(word- painting)의 가장 단순한 기법에서부터 동일한 대상에 상징적 모티브를 부여하는 등의 현저하게 뛰어난 작곡 기법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시도를 면밀하게 분석한다. 바흐는 그의 악보집에서 현존 하는 20곡의 세속 칸타타 작품을 크게 두 가지, 즉 음악극(dramma per musica)과 칸타타(cantate) 유형으로 서로 다른 명칭을 부여하며 분명히 분류한다. 그런데 이 곡은 단지 칸타타로 명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오페라의 주제였던 신화의 주인공을 포함하고, 곡의 시작 부분에 ‘행위(action)’로서 극적인(dramatic) 요소를 부여하는 등의 오페라의 전신인, 음악극에서 볼 수 있는 특성들이 포함되어 장르의 혼합을 보여준다. 바흐의 혼합(hybridity)의 시도는 음악 양식의 융합에서도 볼 수 있다. 즉 이탈리아 음악에 만연한 가사의 설득력 있는 표현, 프랑스식 관현악 합주에서 보여주는 붓점 리듬과 위엄 있는 느린 템포의 사용은 코랄식의 노래 부르기의 독일 양식과 적절하게 혼합되며, 후에 라이프치히 교회 칸타타 사이클에서 정점을 이룬 음악적 성취로 이제껏 볼 수 없었던 대규모 성악 작곡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중요한 시도라 판단된다. 본 연구자는 이 연구가 그 동안 간과되었던 세속 칸타타의 음악적 특성을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지만, 초기 세속 칸타타인 ‘사냥 칸타타’연구를 통해 당시 성악곡의 음악적 양상은 물론 작곡가의 성악곡 작곡가로서의 진화를 볼 수 있는 계기를 재공 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 특히 오페라를 한편도 작곡하지 않은 바흐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그는 칸타타라는 장르를 통해서 극적인 요소를 부여하며 그의 교회에서의 직책이 허용하지 않았던 때도 있었지만, 그의 창의적 욕구가 양식과 장르의 혼합을 통해 어느 정도 해소 됐을 것이라 추측해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들어가며: 무엇이 혼합 되었나 1 Ⅱ. 바이마르 시기 바흐의 음악활동과 작곡가로서의 위상 5 Ⅲ. 바흐의 세속 칸타타 14 A. 18C 초기 독일 세속 칸타타 14 B. 바흐의 세속 칸타타: 음악극(dramma per musica) vs. 칸타타(cantate) 16 Ⅳ. 바흐 칸타타 <나의 즐거움은 오직 사냥 뿐!> BWV 208 분석 20 A. 전체 구성 21 B. 모던 칸타타 형식과 프랑크의 가사 24 C. '사냥 칸타타' BWV 208 분석: 가사와 음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26 1. 상징적 모티브의 사용 27 2. 가사 그리기 기법의 사용 34 3. 텍스처의 변화를 통한 강조 기법 51 Ⅴ. 나가며: 두 장르와 민족적 양식의 혼합이 만든 바흐의 새로운 성악전통 69 참고문헌 73 부록 1. J. S. 바흐 사냥 칸타타 BWV 208 원어 및 한글 번역 가사 77 부록 2. J. S. 바흐의 현존하는 세속 칸타타 목록 81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1870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바흐의 세속 칸타타에서 보이는 혼합적(Hybridity) 특성들-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J. S. 바흐 사냥 칸타타 <나의 즐거움은 오직 사냥 뿐! (Was mir behagt, is nur die muntre Jagd!)> BWV 208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tylistic hybridity in the secular cantata “Was mir behagt, ist nur die muntre Jagd!” by J. S. Bach-
dc.creator.othernameKang, Min Jee-
dc.format.pagevi, 87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1032-
dc.contributor.examiner채현경-
dc.contributor.examiner김은하-
dc.contributor.examiner신혜승-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