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4 Download: 0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Title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Other Titles
A study on understanding about fictiveness of modem novel and reconstruction of time in modern novel
Authors
박시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영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 사고를 과학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것의 적용을 통해 학생들의 사고력 향상에 대한 효과 및 과학 학습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 음식과 건강, 비만과 다이어트, 생태 관광으로 구성된 30차시 분량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서울시 소재 고등학교 1, 2학년 여학생 22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이 과학에 대한 태도, 창의적 사고력, 논리적사고력, 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일 집단 전후 검사 설계(One-Group Pre test-Post test Design)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심층 면담을 실시한 후 근거이론(The Grounded Theory)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경험에 대한 총체적·맥락적 이해를 돕고, 현대의 복잡한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러티브 사고 활동이 강조된 디지털 스토리텔링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감성과 인지를 활성화하고, 여러 학문적 지식과 경험을 통합하여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키고, 기존의 강의식·실험식 수업 방법과 상호 보완적으로 과학 학습에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창의적 사고력, 논리적 사고력, 메타인지 향상에 효과적이었다(p< .05). 본 연구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은 토의 및 토론, 발표와 평가, 피드백 등의 상호작용과 온라인 정보검색, 글쓰기, 디지털 스토리 제작 등 학습자 주도의 다양한 학습 활동을 통해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어 과학에 대한 태도가 향상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이야기 구성을 통해 내러티브적 상상과 창의적 잠재력을 표현할 수 있었고, 일상의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내러티브 사고와 패러다임 사고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창의적 사고력, 논리적 사고력, 메타인지 등 다양한 사고 능력이 향상될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수업의 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과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과학 학습에 능동적 참여라는 과학 학습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과학에 대해 흥미가 낮은 학생들에게 과학을 친근하게 느끼게 하고, 과학 학습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키고 과학 학습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여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패러다임 사고 중심의 과학 학습 활동에서 내러티브 사고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한 방법을 보여줌으로써 내러티브 사고와 패러다임 사고의 상호보완적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그 의의를 가진다. 따라서 학생들의 진로와 계열별 교육과정 특성에 맞게 다양한 내용과 주제로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하여 정교화 한다면 정규 과학 수업에서도 폭 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교육 현장에서 융합교육이 실천되는 여건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hat utilizes narrative thinking in science education and through its application, to ascertain th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thinking ability and the change of cognition to science learning. Hence, this study developed 30 sessions of the Digital storytelling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hich consisted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and health, obesity and diet, and ecology tour, and then was applied to 22 high school freshmen and sophomore girls in Seoul. Additionally, the program was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science, creative thinking, logical thinking, and meta-cognition by utilizing the One-Group Pre test-Post test Design and also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fter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veloped the Digital storytelling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at emphasizes narrative thinking activity in order to help the overall and contextual understanding of human experience and to solve the complicated issues of modern life. Due to the program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utilizing the learner’s sensibility and recognition, and being able to recompose the knowledge, by the learner himself, through integrating various academic knowledge and experiences, it can be used in science education complementarily with the traditional lecture and lab based teaching methods and can cultivate scientific literacy. Secon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at utilizes the digital storytelling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creative thinking, logical thinking and meta-cognition (p<.05). In this study, the program enhanced attitudes toward science since it motivated interest in science learning, and curiosity through student interactions such as debate and discussion, presentation, and evaluation and feedback, and through the learner-centered diverse learning activities such as searching for information online, writing, and digital story production. Additionally, students could express their narrative imagination and creative potential, and could enhance their various thinking abilities such as creative thinking, logical thinking and meta-cognition due to being able to utilize the narrative thinking and paradigm thinking complementarily while solving daily issues. Third, after analyzing the students’ interview data about the experience of digital storytelling class that was developed by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changes in cognition about science learning such as positive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active participation of science learning. This suggests that science learning that utilizes digital storytelling made students with low interest in science feel comfortable, and could also be valuably used for science learning by making it easily approachable. Thu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cience learning that utilizes digital storytelling showed a diverse educational effect by producing the enhancement of th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nd by induc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ing science. This has significant meaning as the basis for the complementary utilization of narrative thinking and paradigm thinking by showing a way how narrative thinking can be applied to paradigm thinking-based science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if a program was created and refined with the various contents and themes which were tailored to the students’ career and the characteristic of departmental curriculum, it could be utilized widely on regular science classes and would provide the way to implement the environ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in a real educational situ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