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2 Download: 0

탐구 기반 수업을 설계하는 과학 교사의 창의적 특성 탐색

Title
탐구 기반 수업을 설계하는 과학 교사의 창의적 특성 탐색
Other Titles
An exploration of the science teacher creativity characteristic in process of instruction design for scientific inquiry
Authors
조미영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성원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과학 수업에서 탐구 기반으로 새로운 수업을 고안하는 교사들의 교수 행위를 탐색하여 교사들의 창의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교사가 기존의 활동을 재구성하거나 새로이 개발하여 기존과 다른 참신한 수업 활동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은 창의적인 행위이다. 과학 교육과 관련된 많은 보고서에서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탐구를 수행할 수 있는 과학 수업이 좋은 수업임을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개발된 교과서 및 실험서는 대부분이 교사 중심의 확인 실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좋은 과학 수업을 위해서는 교사가 새로운 탐구 활동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수업 활동 고안은 교사 전문성과 더불어 교사의 창의적 특성이 발휘되어야 한다. 즉, 교사들은 창의적인 사고를 통해 교과 교육학적 지식을 기초로 한 아이디어를 보다 참신하고 효과적으로 산출하게 된다. 이에 연구자는 교사들의 탐구 기반 수업을 개발하는 행위를 탐색하여 그 안에서 발견되는 창의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연구 내용에 대해 탐구를 진행했다. 첫째, 교사의 창의적 특징을 탐색한다. 둘째, 교사가 창의적인 탐구 기반 수업을 설계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를 통해 교사 창의적 특징을 교사가 탐구 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맥락 안에서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비확률적이며, 의도적인 표집으로 표본을 선택하였고, 이때 표집의 기준을 다음의 두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과학 수업에서 탐구를 중시하고, 탐구 중심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서 노력해야하며, 둘째, 자신의 아이디어로 탐구 수업을 설계하여 운영해 본 경험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표집 기준에 부합하는 총 열한 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했다. 면담 내용은 새로운 탐구 수업을 설계하게 된 동기, 수업을 설계하는 과정, 설계한 수업의 특징 그리고 그러한 수업 개발 활동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자는 심층 면담과 함께 수업지도안 및 지도안 그리고 그들이 저술서 등도 연구 자료로 수집하였다. 연구자는 첫 번째의 연구문제를 탐색하기 위해 Amabile(1983)의 창의적 행위 요소(Components of creative performance)를 교직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분석틀로 활용하였다. 또한 창의적 행위의 과정 별 창의성의 영향성을 표현한 Amabile(1983)이 제시한 창의성의 요인 분석적 이론 모델을 수정하여 교사들의 수업 고안 과정을 분석하는 분석틀로 활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를 탐색하기 위해 연구자는 열한 명의 교사들의 특징을 Amabile의 창의적 행위 요소를 기본으로 한 분석틀을 기준으로 분석하였고, 각 사례의 분석결과를 비교하여 그 사이에서 탐색되는 다섯 가지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공통되는 특징의 첫 번째는 강한 과제 동기를 갖고 있었다. 두 번째는 융통적 사고를 기반으로 새로운 독창적인 활동을 개발한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학생들에게 추상적인 과학 개념을 직접 관찰하고 체험할 수 있는 모델과 활동을 개발하기 위해 비유적 사고를 활용하는 교사들의 특징이었다. 네 번째로 교사들은 자연 현상에 대한 강한 호기심을 갖고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탐구 수업을 착안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 특징은 교사들은 사회적 차원과의 교류를 통해 창의적 특성들을 강화하다는 것이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 탐색을 위해 연구자는 열한 명의 연구 참여자의 수업을 대표할 수 있는 교사 다섯 명을 선택하여 그들의 구체적인 수업 고안 과정을 제시하였다. 다섯 명의 교사들의 수업은 열린 탐구 활동 수업, 연역적 탐구 수업 중심에 질문과 시범 실험을 활용한 수업, 근거 기반 글쓰기 수업, 실험 중심 수업, 그리고 학습자 중심의 집단 지성 형성 수업으로 대표된다. 다섯 명의 교사들의 구체적인 수업 고안과 관련된 경험을 새로운 수업의 필요성, 탐구 소재 및 아이디어 탐색, 수업 개발, 수업 실행 그리고 결과 및 반성 다섯 단계로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 열한 명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고안 과정의 공통적 특징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단계인 새로운 수업의 필요성 단계에서는 과제 동기가 가장 주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탐구 소재 탐색 단계에서는 분야 관련 기술이 큰 역할을 하였다. 세 번째 단계인 수업 개발에서는 과제 동기 중 교수 지향, 영역 관련 기술 그리고 창의적 관련 기술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 번째 단계인 수업 실행에서는 교사들의 개방적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마지막 단계인 결과 및 반성에서는 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공통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of teacher creativity when they creatively design and develop to inquiry based activity. Many reports in science education said teacher have to provide real inquiry activity like a scientist to their students. In spite of these assertion, Students passively follow the procedure of inquiry in a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of textbook. Because making a problem and design a method of inquiry are not allow to students but teachers. Therefor teacher have to design a new inquiry based lesson for good teaching. Teaching practice seems to be creative process, if they re-construct and newly develop to lesson activity for improving of students understanding. Creative talents of teachers allow to make a new and valuable inquiry based science activity from their mind. Therefore we need to understand for teachers’creativity during their professional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wo research problems were drawn: (1) What are characteristic of the teacher creativity characteristic at teacher’s lesson design process and (2) In what ways teacher creatively design and develop to inquiry based activity. For data analysis, case study method were selected. Samples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Criteria of sampling is as follow: teacher have to (1) make more of doing a scientific inquiry and effort to make their class for inquiry based lesson and (2) also design a new inquiry based science lesson. Eleven science teacher were purposefully recruited as participants. Data was collected by using an in-depth interviews. Interview was focused on motivation and process of developing, characteristic of these activity and factor to effect their doing. Documents such as work sheets, teaching guides and books are also collected for analysis. I modified Amabile(1983)’s Components of creative performance and Componential framework of creativity for data analysis. To understand first categorized problem(1), researcher studied 11 teacher’s properties based on Amabile‘s analysis tools. After analyzing each cases, we take 5 characteristics from the results as following.  Teachers 1) had powerful motivation. 2) developed creative activities based on flexible thinking and 3) analogical thinking. 4) Teachers had curiosity about nature. 5) Teachers improved their creative ability by cooperating with collaboration in social levels. To understand second research question, researcher select 5 teachers who can represent 11 research participants, and study their class development. These 5 teacher’s class are characterized by “open-researching”, “deductive researching by QnA and demo experiments”, “Writing class based on argument”, “experiment oriented teaching”, “forming collective intelligence by students”. their development procedure are divided into following 5 steps, “need for new method of teaching” , “finding and searching idea”, “development of lesson plan”, “processing” and “Result & Reflection”. Also researcher analyzed 11 teachers case, and found following common features. 1) Task motivation & need for new method of teaching. 2) Domain Relevant skill and finding and searching idea. 3) Three creativity components(Task motivation, Domain relevant skill and creative relevant skill) & development of lesson plan. 4) Openness attitude & processing. 5) Social environment & Result -Refle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