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옥-
dc.contributor.author박민주-
dc.creator박민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0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005-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거문고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한 작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몇몇 작곡자들이 거문고의 폭넓은 음역과 여러 가지 특징 등을 이용하여 독주악기로서의 거문고 활용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주목하여 2014년 초연 된 정동희 작곡의 거문고 협주곡 <월파>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작품의 구조와 선율의 흐름 및 연주법을 분석하였다. 또한 작품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음악적 요소를 면밀히 분석하고 작곡자의 견해가 작품에 어떻게 발현되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작곡가와의 면담을 통해 그의 음악적 배경 및 성향, 작곡 동기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선율의 흐름과 박자의 변화에 따라 부분·악구를 나누어 세부적으로 구조화하고 선율진행과 리듬의 변화, 거문고 연주법을 중점에 두어 분석할 것이다. 작품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총 169마디의 단악장으로 구성된 거문고 협주곡 <월파>는 악보에 제시 된 부제에 따라 크게Ⅰ·Ⅱ·Ⅲ단락으로 나누고, 이를 세분화하여 총 7부분의 CadenzaⅠ-󰆲-󰆳-󰆴-CadenzaⅠ-󰆲¹-CadenzaⅡ로 나누었다. Free-4/4-12/8-4/4- Free-4/4-Free로 박자 변화가 나타나고, Cadenza의 형태로 Tempo rubato가 작품의 처음과 중간, 끝부분에 삽입되어 긴장과 이완이 표현되었다. 거문고 개방현의 조현은 악보 표기 상, 문현은 f, 괘상청·괘하청은 c΄, 무현은 c로 되어있으나 실제연주할 때의 거문고 음역은 문현은 F, 괘상청·괘하청은 c, 무현은 C로 나타났다. 둘째, Ⅰ단락은 제1마디-제60마디로 두 마디 단위 리듬의 모방을 통한 선율의 변화가 나타났다. 선율은 주로 반복과 유사진행의 형태로 변화가 나타났고, 관현악 선율과 독주선율의 동기선율과 모방선율이 주고받는 형태가 나타났다. Syncopation 리듬의 변화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한 박 단위부터 두 박 단위 혹은 한 마디 단위의 리듬형태로 리듬의 점진적 확대를 통한 모방이 나타났다. 전성+스타카토, 개방현(청), 자출, thrill 등의 연주기법을 사용하여 악센트의 간접 표현, 박자의 제시, 화음의 표현, 다이나믹 등이 표현되었다. 셋째, Ⅱ단락은 제61마디-제93마디로 주로 두 마디 단위의 동기선율과 모방선율이 나타났고, 선율의 병진행, 유사진행을 통한 모방이 나타났다. 선율의 상승진행이 나타났고, 이를 통해 분위기의 고조가 표현되었다. 의 기본 Syncopation 리듬에서 발전한 Syncopation 리듬들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리듬의 반복이 나타났고, 이를 통해 분위기가 고조되었다. 과 같은 리듬으로 단위박의 변화를 통해 분위기의 변화가 나타났다. 문현+유현(열린 음)+대현의 3화음의 표현과 개방현의 여음을 이용한 화음의 표현, 퇴성+추성 등의 거문고 연주 기법이 나타났다. 또한 지리링()의 사용과 뜰살을 통해 자연스러운 악센트의 표현도 나타났다. 넷째, Ⅲ단락은 제93마디-제169마디로 󰆴, CadenzaⅠ, 󰆲¹, Cadenza Ⅱ로 구성된다. 󰆴 부분과 󰆲¹부분의 선율은 Ⅰ단락, Ⅱ단락의 선율과 동일하게 동기 선율의 반복, 병진행, 반진행, 유사진행의 모방이 나타났다. 󰆲¹부분은 󰆲 부분의 선율이 일부 반복, 변형되어 전반적인 작품의 분위기에 통일성이 나타났다. 󰆴 부분은 의 기본 리듬이 바탕이 되어 독주선율 뿐 아니라 관현악 선율에서도 리듬의 모방이 나타났다. 또한 16분 음표를 기준 박으로 삼아 단위박이 변화하였다. 󰆲¹부분에서는 의 Syncopation 리듬 뿐 아니라 음색의 대비를 이용하여, 소리에 의한 Syncopation도 표현되었다. 또한 독주선율과 관현악 선율이 한 마디 안에서 동일한 리듬의 형태로 주고받는 부분이 나타났다. 󰆲¹부분의 후반부에서 괘상청→무현→유현의 순으로 재빠르게 술대를 움직여 소리를 내는 도약하강과 도약상행의 연주법이 두드러졌다. CadenzaⅡ에서는 상승선율의 각 음에 개방현(문현)을 같이 연주하여 분위기를 고조시켰고, 개방현(청, 문현)과 유현 음에 악센트를 넣어 마지막 음에 sfz (특히 세게)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작곡가 정동희는 거문고 협주곡 <월파>에서 시대의 흐름에 맞춰 거문고의 독특한 개성을 살려 여러 가지 음악 기법을 도입하고 접목시켰다. 관현악과 실내악에서 점차 설 자리가 없어지는 현 시점에 거문고만의 특색을 부각시킬 수 있는 창작곡의 출현이 연주자들에게 크게 귀감이 될 것이며 음악적 표현력 향상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거문고 음악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장르의 곡들이 창작되어 연주자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Recently, there have been works using Geomungo in various ways. Several composers are pursing actively to use Geomungo as a solo instrument by making use of a wide range of compass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Geomungo. Paying attention to such a periodic flow, this paper analyzed the Geomungo concerto <Wolpa> composed by Jeong Dong-Hui and premiered in 2014 centered on its structure, stream of the melody and execution. Beside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analysis on characteristic musical elements of the work and examined on how opinion of the composer is manifested in the work. Hence, through the interview with the composer, this study examines his musical background and disposition along with his composition motivation. Also, it structures the work in a detailed manner by dividing it into part·phrase according to a flow of the melody and a change of the time, and analyzes it centered on the melodic motion, rhythmic change and Geomungo execution. Analytic findings on the work show its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ly, Geomungo concerto <Wolpa>, composed of the single movement of 169 bars, was divided into Ⅰ·Ⅱ·Ⅲ paragraphs according to the subtitle suggested in the score and again segmented into 7 parts including CadenzaⅠ-󰆲-󰆳-󰆴-CadenzaⅠ-󰆲¹-CadenzaⅡ, A change of the time is shown into Free-4/4- 12/8-4/4-Free-4/4-Free and Tempo rubato as Cadenza is inserted to the intro, middle and the ending of the work, expressing tension and relaxation. As for the open strings of Geomungo, Munhyeon is shown as f, Gwaesangcheong ·Gwaehacheong as c΄ and Muhyeon as c on the notation of the score but Munhyeon is shown as F, Gwaesangcheong·Gwaehacheong as c and Muhyeon as C when they are performed actually. Secondly, paragraph Ⅰ, from the 1st bar-to the 60th bar, shows a change of the melody through imitation of 2 bars-unit rhythm. The melody causes a change mainly as repetitive and similar motions exchanging synchronistic and imitative melodies of the orchestral and solo melodies. It shows a rhythmic change of syncopation repetitively and imitation through gradual expansion of rhythm as a rhythmic type from one to two time unit or one bar unit. In addition, along with indirect expression of accent, it suggests the time and expresses the chord and the dynamic using execution including Jeonseong+staccato, open string(Cheong), Jachul and thrill . Thirdly, paragraphⅡ, from the 61st bar-to the 93rd bar, shows mainly synchronistic and imitative melodies of two bars unit and imitation through the parallel and similar processions of the melody. It also shows the upward motion of the melody, expressing a climax of the atmosphere. Syncopation rhythms developed from the basic Syncopation of are shown constantly. Repetition of the identical rhythms causes the atmosphere to reach a climax, A change of the atmosphere is shown from that of the unit time through the rhythm like . It shows expressions of 3 chords including Munhyeon+Yuhyeon(open sound)+Daehyeon, chords using Yeoeum of open strings and Geomungo execution including Toeseong+Chuseong. Besides, expression of natural accent may be found from using of Jiriring and Tteulsal. Fourthly, paragraph Ⅲ, from the 93rd bar-to the 169th bar, is composed of 󰆴, CadenzaⅠ, 󰆲¹, Cadenza Ⅱ. Melodies of parts 󰆴 and 󰆲¹, identical to those of paragraphs Ⅰ and Ⅱ, show repetition of the Syncopation and imitation of parallel, contrary and similar motions. Part 󰆲¹ shows the unity in the entire atmosphere of the work through repetition and transformation of some melodies of part 󰆲. Based on the basic rhythm , part 󰆴 shows the rhythmic imitation both in the solo and orchestral melodies. Furthermore, unit time was changed based on the semiquaver. In the part 󰆲¹, in addition to the Syncopation rhythm of , Syncopation by sound was expressed using contrast of timbre. Besides, melody of the solo and that of the orchestra are exchanged as the same rhythmic form in a bar. In the latter of part 󰆲, the remarkable executions are disjunct-downward and disjunct-upward making sounds by moving a plectrum quickly. In the CadenzaⅡ, a charged atmosphere is achieved by playing each sound of the rising melody with open strings(Munhyeon), and an indirect effect of sfz(sforzand) is expressed at the final sound by giving an accent to sounds of the open string(Cheong, Munhyeon) and Yuhyeon. As such, in the Geomungo concerto <Wolpa>, the composer Jeong Dong-Hui introduced and grafted a variety of musical techniques onto the work while utiliz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Geomungo and going with the periodic trend. At the point of losing its footing today in orchestral and chamber music, the advent of a creative piece emphasizing unique features of Geomungo will be an excellent model for players and give great aid to enhancing musical expressions. It is expected that many pieces of various genres may be created for developing Geomungo music and giving performers a new opportun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3 Ⅱ. 본론 5 A. 정동희의 작곡경향과 거문고 협주곡 <월파>의 작품 개요 5 1. 정동희의 작곡경향과 작품설명 5 2. 악곡 구조 7 B. 거문고 협주곡 <월파> 분석 10 1. Ⅰ단락: CadenzaⅠ, 부분 10 2. Ⅱ단락: 부분 29 3. Ⅲ단락: , CadenzaⅠ, ¹, CadenzaⅡ 부분 38 Ⅲ. 결론 60 참고문헌 63 부록악보 66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2983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정동희 작곡 거문고 협주곡 <월파>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거문고 독주선율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tic Study on Geomungo Concerto <Wolpa> Composed by Jeong Dong-Hui : Centered on Geomungo Solo Melody-
dc.format.pagevi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