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38 Download: 0

부부갈등,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과 학대 및 방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부갈등,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과 학대 및 방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s of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Anger, Depression, Abuse and Neglect on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Authors
김정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본 연구는 부부갈등,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과 학대 및 방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0년 한국연구재단의 사회과학연구지원(Social Science Korea [SSK]) 사업으로 수행 중인 아동가족연구단 연구의 일부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서울시 및 수도권 소재 91곳의 국공립 및 민간 어린이집과 유치원 원장의 동의하에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만 3, 4세 자녀를 둔 1,517명의 어머니들로 자기보고식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부부갈등 척도는 Grych, Seid와 Fincham(1992)이 개발한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PIC])’를 권영옥과 이정덕(1997)이 번안하여 타당화한 K-CPIC의 하위 요인들 중 부부갈등의 빈도와 강도 요인을 도현심, 김민정, 김상원, 최미경과 김재희(2011)가 부모보고용으로 수정한 것이다. 어머니의 분노 척도는 전겸구, 김동현과 이준석(2000)의 척도를 도현심 등(2011)이 수정한 것이고, 어머니의 우울 척도는은 Radloff(1977)의 역학연구용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를 신승철 등(1991)이 번안하여 표준화 및 요인구조에 대한 횡문화적 검토를 수행한 것이다. 어머니의 학대 및 방임 척도는Straus, Hamby, Finkelhor, Moore와 Runyan(1998)의 학대 및 방임 척도인 부모-아동 갈등해결 척도(Parent-to-Child version of the Conflict Tactics Scales [CTSPC])를 도현심 등(2011)이 번역 및 역번역한 것이다. 유아의 문제행동 척도는 Crick, Casas와 Mosher(1997)의 교사용 유아기 사회적 행동 척도(Preschool Social Behavior Scale-Teacher Form [PSBS-T])를 김민정(2008)이 어머니용으로 수정·번안한 것이다. 예비 분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및 t 검정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측정도구의 문항 간 내적합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부갈등,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과 학대 및 방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경로를 종합하여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은 어머니의 학대 및 방임을 포함한 직접 경로 모두 유아의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부부갈등은 어머니의 분노와 우울, 방임을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부갈등은 어머니의 분노와 학대를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부부갈등은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을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부부갈등은 어머니의 학대 및 방임을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부부갈등,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과 학대 및 방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를 탐색함에 있어 학대와 방임의 경로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어머니의 분노는 학대 및 방임을 통해서, 어머니의 우울은 방임을 통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정적 영향을 이르게 됨을 밝혔다. 어머니의 분노가 우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아 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분노가 어머니의 우울 뿐 아니라 학대 및 방임에 영향을 미쳐 유아의 문제행동에 이르게 하는 중요한 선행 변인이라는 점을 밝혔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대와 방임의 상관관계가 낮을 뿐만 아니라 학대를 포함한 모형과 방임을 포함한 모형 간에 차이가 발견됨으로써, 학대와 방임을 각각 독립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부부갈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결과는 부부갈등의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결과를 줄이기 위하여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어머니들의 긍정적 양육행동 증진을 위한 개입이 반드시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나아가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접근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돕는 부모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anger, depression, abuse and neglect on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A total of 1,517 mothers of 3 and 4 year-old preschoolers living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items related to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anger, depression, abuse and neglect, and their preschooler problem behavior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rital conflict had no direct effect in both pathways including child abuse and neglect. Second, marital conflict had indirect effects on preschooler problem behaviors caused by maternal anger, depression and neglect. Mothers experiencing high levels of marital conflict revealed high levels of anger, depression and child neglect, which led to higher rates of problem behaviors in their children. Third, maternal anger and abuse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reschooler problem behaviors. Fourth, maternal anger and depression also mediated the impact of marital conflict on preschooler problem behaviors. Finally, marital conflict had influence on preschooler problem behavior through abuse and neglec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ild neglect model was more influential than the child abuse model in the pathways among marital conflict, maternal anger, depression and preschooler problem behaviors. Maternal anger played a significant role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Both cultivating positive marital relationships and regulating maternal anger and depression should be emphasized i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high-risk par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