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여성희-
dc.contributor.author장유진-
dc.creator장유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5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54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현행 과학과 교육과정 에서 중시된 자유탐구 수업에서 학생들이 능동적인 수업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자유탐구 학습 전략을 탐색하는데 연구 목적을 둔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자율형 E 사립 고등학교 1학급 26명을 연구 대상으로 정규수업 시간에 약 1년 4개월 동안 자유탐구 지도 및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자유탐구 수업을 직접 지도하면서 관찰 연구하였다. 수업 내용은 녹취 및 전사 기록하였으며, 교사의 반복적 검토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신미영 외(2009)와 강순희(1998)가 개발한 과학탐구 분석틀을 기반으로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자유탐구의 각 단계를 모두 어려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학생들은 자유탐구의 전 과정을 매우 어려워하나 특히 문제인식을 하지 못하면 탐구 주제설정을 하지 못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문제 인식을 잘 한 학생들은 가설설정과 의문생성 그리고 실험설계에서 결과 및 결론 도출 단계까지 잘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모든 과정 중에서 문제 인식단계가 매우 중요하다. 둘째, 탐구과정의 전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특히 가설설정과 실험설계 및 수행단계에서 변인 관계를 파악하지 못한 점을 보였다. 학생들은 변인에 관해 선수 학습하였으나 그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이미 과거에 탐구 과정을 수행해 본 경험이 있으나 그 경험을 현재의 학습과 연계시키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진 비계의 유형은 크게 3단계로 정서적 비계, 인지적 비계, 메타인지적비계이다. 정서적 비계에는 공감하기, 배려하기 등이 포함되며 인지적 비계는 힌트제공, 모델링, 강화, 경험 귀추적 비계, 자기명료화하기 등이 있다. 메타 인지적 비계는 설계 계획, 연구의 방향 탐색, 선택, 모니터링 등이 포함된다. 비계가 제공 되어진 탐구 단계는 주제선정하기, 가설설정하기, 실험설계하기, 결론 도출의 4가지이며 각 유형에 알맞은 맞춤 비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경험 귀추적 비계전략은 능동적으로 자유탐구 수행하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자신감과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학습자 수준별 비계 학습 지도 전략이다. 그러므로 제시된 질문 비계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새로운 탐구 주제를 발견하도록 도울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ree inquiry learning strategy for a process of student’s active study in science curriculum. A total of 26 subjects at a girl’s high school in Seoul,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about 16 month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observing classes which were instructed in free inquiry. All of the contents of clas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repetitively analyzed by a teacher. An analysis framework was amended, modified or supplemented based on the framework developed by Shin Miyoung(2009) and Kang Soonhee(1998).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ed. First, students tend to have difficulties in each steps. Especially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whole process or don’t understand questions couldn’t select a theme.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understand the subject didn’t have problem with setting up hypothesis, creating question and drawing conclusion in experiment design. Therefore, the stage of understanding question is mightily important in whole process. Second, students couldn’t understand relationship variables when they built up hypothesis and designed experiment. Although they have already studied variables, they didn’t fully understand. Third, students could not connect the experience and study even though they has performed inquiry processing. To solve this problem, there are three types of scaffolding: emotional scaffolding, cognitive scaffolding, and meta cognitive scaffolding. Emotional scaffolding includes sympathy, consideration etc. Cognitive scaffoldign contains offering clue, modeling, reinforcing, adductive experience scaffolding, clarifying oneself and so on. Meta cognitive scaffolding includes designing plan, investigating direction, choosing, monitoring and others. Among the inquiry processes, 4 categories were provided: choosing topic about research type, building up hypothesis, designing experiment, and drawing a conclusion. Also, appropriate scaffolding was suggested in each category. An adductive experiment scaffolding of this research is the helpful instruction strategy by level for students who couldn’t conduct the free inquiry. Therefore, students could find a new research topics by themselves by using the question scaffolding of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자유탐구 5 B. 탐구학습전략 6 C. 비계 설정(scaffolding) 8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5 A. 연구절차 15 B. 연구 참여자 18 C. 연구방법 19 D. 자료처리 및 분석 22 Ⅳ. 연구결과 23 A. 자유탐구 수업에서 고등학생들의 탐구 실행 과정 분석 23 1. 문제인식단계 에서 고등학생들의 탐구 과정의 문제점 분석 23 2. 가설설정 단계에서 고등학생들의 탐구 과정의 문제점 분석 29 3. 실험 설계 및 수행 단계에서 고등학생들의 탐구과정의 문제점 분석 35 4. 결과 및 결론 도출단계 에서 고등학생들의 탐구 과정의 문제점 분석 36 B. 자유탐구 수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교사의 비계전략 38 1. 탐구주제 설정 단계에서의 교사의 비계 38 2. 가설 설정 단계에서의 교사의 비계 46 3. 실험설계 단계에서의 교사의 비계 48 4. 결과 및 결론 도출 단계에서의 교사의 비계 54 5. 그 외의 단계에서의 교사의 비계 56 Ⅴ. 결론 및 논의 57 참고문헌 59 부록 1 탐구 단계별 교사의 질문식 비계 전략 64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86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교사의 귀추적 질문 비계를 활용한 고등학생들의 자유탐구 학습 지도 전략-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and analysis of free inquiry instruction strategy using adductive question scaffolding-
dc.format.pagev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