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영란-
dc.contributor.author이수민-
dc.creator이수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3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38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과학 선호도가 높은 학생들에서 과학 선호 요인을 찾고, 각 요인이 과학 선호도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과학 선호도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므로, 고등학생이 되어서도 과학 선호도가 높은 학생들에서 과학 선호 요인을 찾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의 한 여자고등학교 2학년 211명 중 과학 선호도 설문지와 교사 추천을 통해 과학 선호도가 높은 6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설문지의 주관식 서술형 문항과 반구조화 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과학 선호 요인은 무엇이며, 과학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성취도와 계열에 따라 나타나는 특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부모요인, 과학 경험, 과학의 내용, 교사요인이 학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개개인에 따라 각 요인이 미친 영향력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다양한 형태의 과학 경험은 학생들에게 과학에 대한 자신감과 유능감을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성취도에 따라 과학실험, 부모요인, 과학 내용, 교사요인은 다른 방식으로 작용하였다. 성취도가 낮은 학생은 부모와 교사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었고, 실험에서의 수공적 활동, 과학 내용이 일상생활과 연관된다는 점 등이 과학을 좋아하는 이유라고 하였다. 반면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은 실험의 탐구적 측면과 이론 적용, 과학의 신비한 내용과 자연에 대한 경외심 등을 과학을 좋아하는 이유로 답하였다. 셋째, 계열에 따라 같은 과학경험이라도 다른 방식으로 과학 선호도에 영향을 미쳤다. 실생활에 응용된다는 점은 계열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선호요인이었다. 반면 과학의 논리성, 응용력, 표현의 간결함 등이 과학을 좋아하는 이유라고 한 점은 이공계열 학생들에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과학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흥미 뿐 아니라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학 경험을 제공하고, 이를 위해 매 수업마다 유능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같은 교육활동이라도 성취도, 진로 등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igh preference for science shown in certain students, and determine the effects each factor had on building their preference. The analysis of these factor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llection of base data, which may be used to design education programs that will improve student attitudes toward science in the future.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lead high-school students to exhibit a preference for science is meaningful in that students start with a high preference for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but lose interest in subsequent years as they advance in their studie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6 students, selected from among 211 students from a girls' high school in Seoul. The selected students showed a high preference for science in the Science Preference Survey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Education Societies, 2002) and teacher recommendations.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was then subject to coding (Miles & Huberman, 2009)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drove the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and what effect those factors had. The effects of levels of achievement and chosen career path were also observed in relation to the preference factors. The evaluation of these preference factors revealed that, first, scientific experience, parental influence, an interest in scientific knowledge, and other such factors were influential. The richer their experience with science was, the more confidence and scientific ability each student displayed. Therefore, regardless of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or career path, in order to aid students in fostering a preference for science, classes and evaluative methods that help students feel more competent in science must be provided, as well as scientific experience that can develop their confidence in science. Second, parents, scientific experience, the study of science itself and its content, teachers, and other such factors influenced preferenc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tudents'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Lastly, preference factors (scientific experience and content) had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whether the student was in the liberal arts or science and engineering. This demonstrated that the same education programs may affect preference for science more effectively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 identified key factors are more flexibly used to approach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A. 과학 선호도 4 1. 과학 선호도 4 2. 과학 선호 요인 5 B.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9 1. 자신감 9 2. 유능감 9 C. 과학에 대한 태도 10 1. 교육과정 목표 측면에서의 과학에 대한 태도 10 2. 여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11 Ⅲ. 연구방법 12 A. 절차 및 도구 12 B. 연구 대상 15 C. 자료 수집 및 분석 16 Ⅳ. 연구결과 17 A. 학생들의 과학 선호 요인 17 B. 성취도가 다른 학생들에서 과학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6 1. 가족 요인이 학습자의 과학 선호도에 미친 영향 26 2. 과학 실험 활동이 과학 선호도에 미친 영향 33 3. 과학의 내용과 본성에 대한 이해가 과학 선호도에 미친 영향 37 4. 교사 요인이 과학 선호도에 미친 영향 41 C. 계열이 다른 학생들에서 과학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4 1. 과학 영재 교육 경험이 과학 선호도에 미친 영향 44 2. 이공계열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과의 특성과 과학 선호 이유 47 Ⅴ. 결론 및 제언 49 참고문헌 51 부록. 한국 과학 선호도 조사 설문지 56 ABSTRACT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49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과학 선호도가 높은 학생들에서 나타나는 선호 요인의 질적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인문계 여자 고등학생 사례 연구-
dc.title.translatedA quantitative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high preference toward science : Case study on female high-school students in the liberal arts-
dc.format.pagev, 60 p.-
dc.contributor.examiner여성희-
dc.contributor.examiner정종우-
dc.contributor.examiner정영란-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